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기혼여성 임금근로자의 일-가정양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Married Women Paid-Worker’s Work-Family Reconciliation for Job Satisfa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9586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quires into the influence of the married women paid-worker’s work-family reconciliation for her job satisfaction, with its final aims at groping for the political improvement for her work-family reconciliation that can improve her job satisfaction based on this. This study analyzed 888 married women paid-workers to the study objective of the First data in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ies to achieve this purpose, with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the married women paid-worker’s work-family reconciliation level was showed relatively low, which was negatively judged. Specially, the complications produced due to the influence of work on the home life was showed critical, where the married women worker’s household work time was shown 4 times more than her husband’s to have more household and childcare burden, and to be hard to carry out her work and home life. Specially, the implementation rate of family-friendly practices in the work was shown generally low, which is considered to have the political access.
      Second, the married women paid-worker’s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her work-family reconciliation level was low in case of personal factor with both the influence of work on the home life and of home life on the work more critical, and with the traditional value of gender role. In case of family factor, her job satisfaction level was higher with her higher satisfaction level of her husband’s sharing in the household duties, and with her husband’s higher supportiveness to her work. Also, in the workplace factor, her job satisfaction level was higher with her higher monthly salary, with the shorter average weekly working hours, with the regular employment than irregular employment, with more critical sexual discrimination in the work, with the more family-friendly practices executed in the work.
      Third, the married women worker’s job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whether the family-friendly practices was executed or not in the work was higher for the worker with all the maternity protection system, child rearing support, flexible working system offered by the work than for the worker without them, and with more family-friendly practices offered.
      Based on the study result abovementioned, the political plan for work and family life to improve the married women worker’s job satisfaction can be presented as following. First, the counseling program and service will be necessary for the married women worker’s to relieve their work-family reconciliation complications. Also, the gender role value education program for the married women worker’s husband will be necessary. And, the legal enforcement for the married women worker’s job to increase the family-friendly practices with the financial support of government for the small disposable workplace will be necessary, and with the institutional arrangement enforced for her husband’s household and child care participation such as the paid maternity leave and the eliminated female-side directional childcare leaves to reduce the married women paid-worker’s work-family reconciliation complications.
      번역하기

      This study inquires into the influence of the married women paid-worker’s work-family reconciliation for her job satisfaction, with its final aims at groping for the political improvement for her work-family reconciliation that can improve her job s...

      This study inquires into the influence of the married women paid-worker’s work-family reconciliation for her job satisfaction, with its final aims at groping for the political improvement for her work-family reconciliation that can improve her job satisfaction based on this. This study analyzed 888 married women paid-workers to the study objective of the First data in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ies to achieve this purpose, with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the married women paid-worker’s work-family reconciliation level was showed relatively low, which was negatively judged. Specially, the complications produced due to the influence of work on the home life was showed critical, where the married women worker’s household work time was shown 4 times more than her husband’s to have more household and childcare burden, and to be hard to carry out her work and home life. Specially, the implementation rate of family-friendly practices in the work was shown generally low, which is considered to have the political access.
      Second, the married women paid-worker’s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her work-family reconciliation level was low in case of personal factor with both the influence of work on the home life and of home life on the work more critical, and with the traditional value of gender role. In case of family factor, her job satisfaction level was higher with her higher satisfaction level of her husband’s sharing in the household duties, and with her husband’s higher supportiveness to her work. Also, in the workplace factor, her job satisfaction level was higher with her higher monthly salary, with the shorter average weekly working hours, with the regular employment than irregular employment, with more critical sexual discrimination in the work, with the more family-friendly practices executed in the work.
      Third, the married women worker’s job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whether the family-friendly practices was executed or not in the work was higher for the worker with all the maternity protection system, child rearing support, flexible working system offered by the work than for the worker without them, and with more family-friendly practices offered.
      Based on the study result abovementioned, the political plan for work and family life to improve the married women worker’s job satisfaction can be presented as following. First, the counseling program and service will be necessary for the married women worker’s to relieve their work-family reconciliation complications. Also, the gender role value education program for the married women worker’s husband will be necessary. And, the legal enforcement for the married women worker’s job to increase the family-friendly practices with the financial support of government for the small disposable workplace will be necessary, and with the institutional arrangement enforced for her husband’s household and child care participation such as the paid maternity leave and the eliminated female-side directional childcare leaves to reduce the married women paid-worker’s work-family reconciliation complica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기혼여성 임금근로자의 일-가정양립정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직무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일-가정양립을 위한 정책적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을 갖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여성가족패널 제1차년도 자료 중 연구의 목적에 맞는 기혼여성 임금근로자 888명을 대상으로 분석하고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기혼여성 임금근로자의 일-가정양립정도는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 기혼여성 임금근로자가 느끼는 일-가정양립정도는 부정적이라고 판단된다. 특히 일이 가정생활에 미치는 영향으로 인한 갈등이 심한 편으로 나타났으며, 기혼여성 임금근로자 본인의 가사노동시간이 남편의 가사노동시간 보다 4배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나 가사와 육아부담이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직장생활과 가정생활을 병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직장 내 가족친화제도의 시행율은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나 직장 내 가족친화제도의 시행율을 높일 수 있는 정책적 접근이 필요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둘째, 기혼여성 임금근로자의 일-가정양립정도에 따른 직무만족은 개인요인의 경우, 일이 가정생활에 미치는 영향과 가정생활이 일에 미치는 영향 모두 그 정도가 심할수록 직무만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통적인 성역할 가치관을 가지고 있을수록 직무만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요인의 경우는 남편의 가사분담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본인이 일하는 것에 대한 남편의 지지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장요인의 경우는 월평균급여가 많을수록, 주당 평균근무시간이 적을수록, 정규직이 비정규직보다, 직장 내 성차별이 심할수록, 직장 내 시행되는 가족친화제도가 많을수록 직무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혼여성 임금근로자의 직장 내 가족친화제도 시행유무에 따른 직무만족은 모성보호제도, 자녀양육지원, 탄력적 근무제도 모두 직장에서 제공되는 사람이 제공되지 않는 사람보다 직무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공되는 가족친화제도가 많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기혼여성 임금근로자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한 일-가정양립의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일-가정양립갈등의 해소를 위하여 기혼여성 임금근로자들을 위한 상담 프로그램 및 서비스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기혼여성 임금근로자의 남편을 대상으로 한 성역할 가치관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기혼여성 임금근로자의 직장 내 가족친화제도의 시행율을 높이기 위한 제도의 법적 강화와 함께 중소영세사업장에 대한 정부의 재정 지원이 필요하며, 기혼여성 임금근로자의 일-가정 양립갈등을 줄이기 위하여 배우자출산휴가제도의 유급화, 육아휴직의 여성편향성 제거 등 남편들의 가사, 육아 참여에 대한 제도적 장치를 강화시킬 필요가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기혼여성 임금근로자의 일-가정양립정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직무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일-가정양립을 위한 정책적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본 연구는 기혼여성 임금근로자의 일-가정양립정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직무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일-가정양립을 위한 정책적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을 갖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여성가족패널 제1차년도 자료 중 연구의 목적에 맞는 기혼여성 임금근로자 888명을 대상으로 분석하고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기혼여성 임금근로자의 일-가정양립정도는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 기혼여성 임금근로자가 느끼는 일-가정양립정도는 부정적이라고 판단된다. 특히 일이 가정생활에 미치는 영향으로 인한 갈등이 심한 편으로 나타났으며, 기혼여성 임금근로자 본인의 가사노동시간이 남편의 가사노동시간 보다 4배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나 가사와 육아부담이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직장생활과 가정생활을 병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직장 내 가족친화제도의 시행율은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나 직장 내 가족친화제도의 시행율을 높일 수 있는 정책적 접근이 필요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둘째, 기혼여성 임금근로자의 일-가정양립정도에 따른 직무만족은 개인요인의 경우, 일이 가정생활에 미치는 영향과 가정생활이 일에 미치는 영향 모두 그 정도가 심할수록 직무만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통적인 성역할 가치관을 가지고 있을수록 직무만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요인의 경우는 남편의 가사분담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본인이 일하는 것에 대한 남편의 지지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장요인의 경우는 월평균급여가 많을수록, 주당 평균근무시간이 적을수록, 정규직이 비정규직보다, 직장 내 성차별이 심할수록, 직장 내 시행되는 가족친화제도가 많을수록 직무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혼여성 임금근로자의 직장 내 가족친화제도 시행유무에 따른 직무만족은 모성보호제도, 자녀양육지원, 탄력적 근무제도 모두 직장에서 제공되는 사람이 제공되지 않는 사람보다 직무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공되는 가족친화제도가 많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기혼여성 임금근로자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한 일-가정양립의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일-가정양립갈등의 해소를 위하여 기혼여성 임금근로자들을 위한 상담 프로그램 및 서비스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기혼여성 임금근로자의 남편을 대상으로 한 성역할 가치관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기혼여성 임금근로자의 직장 내 가족친화제도의 시행율을 높이기 위한 제도의 법적 강화와 함께 중소영세사업장에 대한 정부의 재정 지원이 필요하며, 기혼여성 임금근로자의 일-가정 양립갈등을 줄이기 위하여 배우자출산휴가제도의 유급화, 육아휴직의 여성편향성 제거 등 남편들의 가사, 육아 참여에 대한 제도적 장치를 강화시킬 필요가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목적 2
      • 3. 연구문제 3
      • 4. 연구의 한계점 3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목적 2
      • 3. 연구문제 3
      • 4. 연구의 한계점 3
      • Ⅱ. 이론적 배경 5
      • 1. 선행연구 동향 5
      • 2. 기혼여성 근로자의 특성 8
      • 3. 일-가정양립 11
      • 4. 직무만족 17
      • Ⅲ. 연구방법 22
      • 1. 연구설계 22
      • 2. 분석대상 23
      • 3. 측정도구 23
      • 4. 자료수집 26
      • 5. 자료분석방법 27
      • Ⅳ. 분석 결과 29
      •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9
      • 2. 기혼여성 임금근로자의 일-가정양립 30
      • 3. 기혼여성 임금근로자의 직무만족 35
      • 4. 일-가정양립 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38
      • Ⅴ. 고찰 49
      • 1. 기혼여성 임금근로자의 일-가정양립 49
      • 2. 기혼여성 임금근로자의 직무만족 49
      • 3. 일-가정양립 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50
      • 4. 직무만족 향상을 위한 개입방안 51
      • Ⅵ. 결론 54
      • 참고문헌 56
      • Abstract 60
      • 부 록 6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