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테크놀로지’와 ‘참여’는 Covid-19의 장기화로 인한 비대면 사회에서 온라인을 통해 외부와의 연결과 교류로 이어진현 사회의 특성을 대변하는 의미로 제시될 수 있다. 포스트 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926901
2021
-
607
KCI등재
학술저널
323-345(23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참여’는 Covid-19의 장기화로 인한 비대면 사회에서 온라인을 통해 외부와의 연결과 교류로 이어진현 사회의 특성을 대변하는 의미로 제시될 수 있다. 포스트 코...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참여’는 Covid-19의 장기화로 인한 비대면 사회에서 온라인을 통해 외부와의 연결과 교류로 이어진현 사회의 특성을 대변하는 의미로 제시될 수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따른 사회전반의 변화는 지역사회의 핵심구성이자 지역유산을 보존․보전의 책임을 지닌 박물관에도 영향을 미치며 지역공동체와 적극적인 소통과 관계로 이어지는 박물관의 모습을 실천하고 있다. 곧, 참여적 박물관에서 지역 참여적 접근이 적극적으로 이뤄지기 위해서는 공동목표에 이르는 구성원 간의 협력과 주도적 참여로 이어지는 교수설계 및 실질적인 단계가 요구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박물관이 지역사회와 연결을 통해 주민과의 소통과 교류, 활발한 논의의 장으로 이어질 수 있는 지역연계 참여적 박물관에서의 구체적인 접근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참여적 박물관을 위한 실천적 접근으로서 지역연계 참여적 학습과 함께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특성을 반영한 유비쿼터스 학습 환경, 박물관 스탭의 애자일 조직을 위한 실천으로서의 조직․문화적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연계 참여적 박물관 교육을 위한 총 여섯 단계에 이르는 구체적인 학습단계와 세부 활동을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살아가는 학습자를 위해 지역사회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지역연계 참여적 박물관으로서 실천적이고 궁극적으로 나가야 하는 교육방법으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gital technology’ and ‘participation’ represent current society that connect and exchange through online in non-contact society caused by COVID-19. The changes era are key components of local community, affecting museums responsible for pre...
‘Digital technology’ and ‘participation’ represent current society that connect and exchange through online in non-contact society caused by COVID-19. The changes era are key components of local community, affecting museums responsible for preserving local heritage, and practicing participatory museums for active communication with community. For participatory museum to have active participation, instructional design and practical steps are required for members to cooperate and participate in achieving goal. This research attempted to propose specific approach for community‐connected participatory museum to connect with communication, exchange and active discussion. As a practical approach for participatory museums, six stages of learning and detailed activities were derived, taking into account the ubiquitous learning environment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st-COVID-19 era, and organization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museum staff, along with community-connected participatory learning. In conclusion, for learners in post COVID-19 era, this study tried to explore possibility of community‐connected participatory museum as practical education method in communit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미향, "학교와 지역사회 간 연계 ․협력에 기반한 마을교육공동체의 개념 탐색" 원격교육연구소 16 (16): 27-52, 2020
2 김진숙,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중요해진 역량, ‘디지털시민성’" 176 : 22-25, 2020
3 장혜승, "코로나19에 대응하는 주요국 교육정책과 시사점" 2020
4 송민희, "참여적 박물관을 위한 구체적 실천방안으로서 ‘지역연계 참여적 학습 개념틀’ 탐색연구" 한국문화교육학회 15 (15): 249-275, 2020
5 정명화, "지역사회경험학습의 전문대학 적용을 위한 이론적 기초" 한국통합교육학회 8 (8): 99-119, 2013
6 이연수, "지역사회 박물관의 아웃리치를 통한 협력: 현황과 실천 방안을 중심으로" 한국조형교육학회 (71) : 161-178, 2019
7 한정선, "지식정보 역량 개발 지원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지수 개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8 송지영, "전문대학 시각디자인과의 지역사회경험학습을 통한 현장실무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40) : 53-67, 2015
9 류지헌, "유비쿼터스 학습환경에서의 적응적 수업체제 적용을 위한 논의" 한국교육방법학회 20 (20): 75-91, 2008
10 전형길, "외국인 학부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경험 연구 - 유학생 4명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 리터러시 학회 11 (11): 33-66, 2020
1 김미향, "학교와 지역사회 간 연계 ․협력에 기반한 마을교육공동체의 개념 탐색" 원격교육연구소 16 (16): 27-52, 2020
2 김진숙,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중요해진 역량, ‘디지털시민성’" 176 : 22-25, 2020
3 장혜승, "코로나19에 대응하는 주요국 교육정책과 시사점" 2020
4 송민희, "참여적 박물관을 위한 구체적 실천방안으로서 ‘지역연계 참여적 학습 개념틀’ 탐색연구" 한국문화교육학회 15 (15): 249-275, 2020
5 정명화, "지역사회경험학습의 전문대학 적용을 위한 이론적 기초" 한국통합교육학회 8 (8): 99-119, 2013
6 이연수, "지역사회 박물관의 아웃리치를 통한 협력: 현황과 실천 방안을 중심으로" 한국조형교육학회 (71) : 161-178, 2019
7 한정선, "지식정보 역량 개발 지원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지수 개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8 송지영, "전문대학 시각디자인과의 지역사회경험학습을 통한 현장실무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40) : 53-67, 2015
9 류지헌, "유비쿼터스 학습환경에서의 적응적 수업체제 적용을 위한 논의" 한국교육방법학회 20 (20): 75-91, 2008
10 전형길, "외국인 학부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경험 연구 - 유학생 4명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 리터러시 학회 11 (11): 33-66, 2020
11 배은석, "에코뮤지엄의 관점에서 본 지역박물관의 활동-속초시립박물관을 중심으로-"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32) : 163-186, 2018
12 안나, "애자일 문화의 영향요인과 성과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2020
13 홍혜주, "소셜 오브젝트(Social Object)를 활용한 참여적 박물관(Participatory Museum)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한국문화교육학회 14 (14): 1-33, 2019
14 권성호, "소셜 미디어 시대의 디지털 리터러시 재개념화" 1 (1): 65-82, 2011
15 박양우, "박물관, 미술관과 비엔날레의 거버넌스로서의 주민참여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예술경영학회 (40) : 147-176, 2016
16 김아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17 신자은, "미국 윙루크 뮤지엄 -21세기 커뮤니티 박물관의 사회적 역할-" 한국박물관학회 (36) : 93-117, 2019
18 박정아, "모바일 환경에 의한 언택트(Untact) 전시 공간 사례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5 (15): 75-86, 2020
19 김은영, "모두를 위한 플랫폼: 다문화 시대 사회통합을 위한 박물관 교육에 대한 논의" 1 : 31-39, 2017
20 박예림, "메이커교육에 의한 참여적 박물관 교육프로그램 사례 개발과 적용" 한국조형교육학회 (74) : 107-134, 2020
21 김용련, "마을교육공동체" 살림터 2019
22 최일식, "디지털 전환 시대에 창직에 대한 통찰적인 분석과 시사점" 6 (6): 1-10, 2020
23 박상훈,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활용 방안"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111-119, 2020
24 박주연, "디지털 시대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관한 탐색적 연구: Jenkins의 참여문화 향상을 위한 ‘리터러시 핵심능력’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1 (21): 69-87, 2013
25 홍혜주, "디지털 박물관 활용을 통한 학교 학습공간의 변혁적 확장" 한국조형교육학회 (69) : 123-150, 2019
26 이애화,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디지털 역량의 개념적 특성과 한계" 교육연구소 21 (21): 179-200, 2015
27 정호경, "도시 활성화를 위한 지역문화다양성 연구 - 런던 동부 문화소외지역의 문화거점 공간을 중심으로 -"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9) : 187-201, 2017
28 곽재원, "뉴 노멀에서 뉴 퓨처로 가는 신 조직문화"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2021
29 장재웅, "네이키드 애자일" 미래의 창 2019
30 김정효, "국가 수준 미술과 교육과정의 OECD 역량 반영 분석: 초・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내용 맵핑(CCM: Content Curriculum Mapping) 을 중심으로" 한국조형교육학회 (71) : 29-60, 2019
31 양지연, "공동체와 커뮤니티 박물관 : 사회적 역할과 조건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문화교육학회 7 (7): 107-130, 2012
32 Eyler, J. S., "Where’s the learning in service learning" Jossey-Bass 1999
33 Rickards, C. R., "Utilizing the College-Level Community Engagement Assessment Rubric to identify strengths, weaknesses and opportunities for growth in Drexel University’s College of Arts and Sciences" 8 (8): 68-85, 2019
34 Vial, G., "Understanding digital transformation: A review and a research agenda" 28 (28): 118-144, 2019
35 Simon, N., "The participatory museum" Museum 2.0. 2010
36 Stiehm, J. H., "The U.S. Army War College: Military Education in a Democracy" Temple University Press 2002
37 Hegley, D., "The Agile museum. In: MW2016: Museums and the web 2016"
38 Reilly, E., "SHALL WE PLAY?" Annenberg Innovation Lab at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2012
39 Boss, S., "Reinventing project-based learning: Your field guide to real-world projects in the digital age"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2014
40 Smith, G. A., "Place-and community-based education in schools" Routledge 2010
41 Bienkowski, P., "Our Museum: What happened next?" Paul Hamlyn Foundation 2018
42 OECD, "OECD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2030-Concept note: Transformative competencies for 2030"
43 Chynoweth, A., "Museums and Social Change : Challenging the Unhelpful Museum" Routledge 2020
44 Kadoyama, M., "Museums Involving Communities: Authentic Connections" Routledge 2018
45 Sabiescu, A., "Museum Experience Design: Crowds, Ecosystem, Technology" Springer 259-276, 2018
46 Roberts, N., "Leveraging 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 to facilitate a firm's customer agility and competitive activity: An empirical investigation" 28 (28): 231-270, 2012
47 Merritt, E., "Failure Failing Toward Success: The Ascendance Of Agile Design"
48 Felt, L. J., "Explore locally, excel digitally : A participatory learning after-school program for enriching citizenship on-and offline" 4 (4): 213-228, 2012
49 Chatterjee, H., "Engaging the senses : Object-bas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Routledge 2016
50 Sandkuhl, K., "Digital transformation in higher education–The role of enterprise architectures and portals"
51 Lankshear, C., "Digital literacy and digital literacies: Policy, pedagogy and research considerations for education" 12-24, 2006
52 Hwang, G. J., "Definition, framework and research issues of smart learning environments- a context-aware ubiquitous learning perspective" 1 (1): 1-14, 2014
53 Adedoyin, O. B., "Covid-19 pandemic and online learning: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54 Jenkins, H., "Confronting the challenges of participatory culture: Media education for the 21st century. An occasional paper on digital media and learning"
55 Melaville, A., "Community-based learning: Engaging students for success and citizenship" Coalition for Community Schools
56 Bedri, Z., "Community-based Learning: A Primer. Dublin:Technological University Dublin" 6 (6): 1-26, 2017
57 Finley, A., "Civic learning and democratic engagemen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civic engagement in post‐secondary education" Association of American Colleges and Universities 2011
58 류방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 학교의 미래" 한국교육개발원 2018
59 강인애, "21세기 맥락에서 본 구성주의의 진화 – 교수 학습이론으로서의 ‘카니발 페다고지(Carnival Pedagogy)’의 가능성에 대한 탐색 -" 한국문화교육학회 11 (11): 53-72, 2016
60 교육부, "2020년 학교예술교육 활성화 기본계획"
61 이현숙, "2018년 국가수준 초․중학생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8
62 홍혜주, "'지역연계 참여적 박물관 프로그램' 사례 연구" 한국조형교육학회 (78) : 177-207, 2021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내용 요소와 기능, 성취기준 구성을 위한 해외 교육과정 비교 연구
그룹홈 거주 아동기 학대피해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 다중 사례 연구
동서의 시간 개념 이해와 수묵 실기수업에서의 적용 가능성 연구 : 도가의 순환·변화의 시간관과 들뢰즈의 차이·반복의 시간관을 중심으로
학교공공미술교육 강화를 위한 교사 교육연구회 활용 방안 : 경기도교육청 교육연구회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6-07-2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Society For Art Education Of Korea -> Society for Art Education of Korea | |
2005-06-15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조형교육외국어명 : ART EDUCATION REVIEW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6 | 0.86 | 0.8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2 | 0.76 | 0.941 | 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