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비자 니즈파악을 통한 친환경제품 개발에 관한 연구 = Study on Environmentally-friendly Product Development through Consumer Needs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230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현재 기업에서 사용하는 제품 전과정에 걸친 환경성을 평가하는 친환경제품 개발 전략의 수정 필요성에서 시작되었다. 소비자는 사용단계에서의 환경성을 중요시 여기기 때문에 ...

      본 연구는 현재 기업에서 사용하는 제품 전과정에 걸친 환경성을 평가하는 친환경제품 개발 전략의 수정 필요성에서 시작되었다. 소비자는 사용단계에서의 환경성을 중요시 여기기 때문에 지금과 같은 원료 채취, 운송, 제조, 사용 및 폐기 등 복잡한 과정의 환경영향 측정을 통한 전과정평가를 이해하기 어렵다. 소비자들의 친환경제품에 대한 인식과 사용 단계에서의 필요를 알고자 구체적인 제품으로 친환경기저귀를 선정하여 인식조사를 실시하였고, 성공적인 시장진입을 위한 제품 개발 전략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평상시 가지고 있는 환경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친환경제품에 대한 긍정적 수용도가 높았고 직접적인 제품 구매와 연관이 있었으며 제품 구매 시 직접적 혜택을 주는지 여부와 기능을 만족시키는 제품력이 중요한 판단 기준이었다. 소비자들이 인지하는 ‘친환경성’은 기업에서 전과정 평가를 통해 도출되는 정량적인 환경성이 아니고 기능적 차원에서 제품의 주 속성과 연관되어야 하고 제품 사용을 통한 실질적 가치와 연관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친환경제품이 시장에서 소비자의 선택을 받기 위해서는 기업에서 친환경제품 개발 시 제품의 환경성을 분석하는 단계에서 소비자 니즈를 파악하고 친환경제품이 주는 가치와 혜택을 소비자의 언어로 커뮤니케이션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tarts from the need for modification relating to a current company's environmentally-friendly product development that is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considering the life-cycle of the products. Consumers often find it difficult to ...

      This study starts from the need for modification relating to a current company's environmentally-friendly product development that is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considering the life-cycle of the products. Consumers often find it difficult to understand life cycle assessments because they think environmental attributes pertain to the "most important" stage, the usage stage. In order to explore consumers’ perceptions of environmental -friendly products and their needs during product usage stages, a consumer survey is conducted with mothers who use diapers and the results will be applied to environmental-friendly product development. This study found that those who showed high acceptability of environmental-friendly products had relatively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and that providing direct benefits or excellent product quality turned out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s when making purchases. Consumers’ cognitive environmental attributes are no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by life cycle assessment but impact assessments due to the specific attributes relating to the main function and the actual value of the product used. In order to be selected by consumers in the future, consumer needs analysis has to be integrated with the company’s environmental-friendly product development process and the value/benefit from the product should be provided so that consumers can easily understan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친환경제품 개발
      • Ⅲ. 친환경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니즈, 선호관점
      • Ⅳ. 조사결과를 통한 친환경제품 개발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친환경제품 개발
      • Ⅲ. 친환경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니즈, 선호관점
      • Ⅳ. 조사결과를 통한 친환경제품 개발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하상선, "친환경설계를 위한 환경성정보의 비교"" 187-196, 2000

      2 이수형, "친환경 제품의 평가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외재적 단서의 영향 - 주방 세제의 환경 마크를 중심으로 -" 한국환경교육학회 26 (26): 128-143, 2013

      3 양인목, "친환경 제품의 정의와 제품의 환경 속성에 대한 연구: 관련 선행 연구 문헌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정책학회 19 (19): 17-48, 2011

      4 박윤서, "친환경 인증 마크가 제품태도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54-70, 2012

      5 박필주, "전자제품의 친환경 제품 설계 방법 개발 및 휴대폰에의 적용" 대한환경공학회 26 (26): 817-827, 2004

      6 이미현, "의류제품의 가격, 상표명, 취급상점이 품질지각, 가치지각,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20 (20): 235-241, 2001

      7 임미선, "소비자의 친환경제품 선택강화를 위한 메시지 개발연구" 288-295, 2014

      8 이성균, "소비자의 친환경 의식은 친환경 제품의 구매로 이어지는가?" 한국소비자학회 24 (24): 47-72, 2013

      9 문선정, "그린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 25 (25): 291-301, 2012

      10 Klara, Robert., "Which one is the actual green product?" 51 (51): 10-13, 2010

      1 하상선, "친환경설계를 위한 환경성정보의 비교"" 187-196, 2000

      2 이수형, "친환경 제품의 평가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외재적 단서의 영향 - 주방 세제의 환경 마크를 중심으로 -" 한국환경교육학회 26 (26): 128-143, 2013

      3 양인목, "친환경 제품의 정의와 제품의 환경 속성에 대한 연구: 관련 선행 연구 문헌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정책학회 19 (19): 17-48, 2011

      4 박윤서, "친환경 인증 마크가 제품태도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54-70, 2012

      5 박필주, "전자제품의 친환경 제품 설계 방법 개발 및 휴대폰에의 적용" 대한환경공학회 26 (26): 817-827, 2004

      6 이미현, "의류제품의 가격, 상표명, 취급상점이 품질지각, 가치지각,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20 (20): 235-241, 2001

      7 임미선, "소비자의 친환경제품 선택강화를 위한 메시지 개발연구" 288-295, 2014

      8 이성균, "소비자의 친환경 의식은 친환경 제품의 구매로 이어지는가?" 한국소비자학회 24 (24): 47-72, 2013

      9 문선정, "그린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 25 (25): 291-301, 2012

      10 Klara, Robert., "Which one is the actual green product?" 51 (51): 10-13, 2010

      11 Gallastegui, I. G, "The use of eco-labels : A review of the literature" 12 (12): 316-331, 2002

      12 Luch, M. G., "The Sustainability Liability : Potential Negative Effects of Ethically on Product" 74 : 18-31, 2010

      13 "ISO/TR 14062. Environmental management-Integrating environmental aspects into product design and development"

      14 Ottman, J. A., "Green Marketing" NTC Business Books 1993

      15 Cason, T. N., "Environmental labeling and incomplete consumer information in laboratory markets" 43 : 113-134, 2002

      16 Albino, V., "Environmental Strategies and Green Product Development: an Overview on Sustainability-Driven Companies" I4 : 83-96, 2009

      17 Henion, K. E., "Ecological Marketing" Columbus 1976

      18 Case, S, "Eco-Labels: Making environmental purchasing easier?" 12 (12): 32-35, 2004

      19 Chen, C, "Design for the Environment : A Quality-Based Model for Green Product Development" 47 (47): 250-264, 2001

      20 Yim, H. J, "Consumer behavior on eco product : Why consumers do not buy eco product" 3 (3): 771-778, 2003

      21 Berchicci, L., "Bridging Environmental Issues with New Product Development" I4 : 272-285,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51 0.694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