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조선후기 西園雅集圖와 그 다층적 의미 : 金弘道 작품을 중심으로 = Late-Joseon Paintings on the Theme of ‘Elegant Gathering in the Western Garden’ and Their Multilayered Significance: The Case of Paintings by Kim Hong-d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626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Xiyuan yaji tu (The Elegant Gathering in the Western Garden) depicts a gathering of renowned literati of Northern Song in Xiyuan, the garden of Wang Shen’s house, located in the capital city of Kaifeng. The illustrious company of sixteen includes the likes of the Daoist priest Chen Jingyuan, the monk Yuantong, and Su Shi, Li Gonglin and Mi Fu. This painting has long been understood as a praise of an elegant gathering between literati. In this paper, I pay attention to the long-neglected fact that the gathering was one among members of the Jiufadang, or the Old Law Party of Northern Song, to underline its political significance. I also explore the ideological and philosophical aspects of this meeting insofar as it is one in which Su Shi, who integrated Buddhism and Daoism into one system of thought, occupies a central position.

      This Chinese painting theme is presumed to have reached Joseon around the 17th century. Around this time, the influence of the late Ming Dynasty made its literati lifestyle, often associated with gardens, wildly popular in Joseon. Joseon literati held to the ideal of the so-called Three Perfections, which means the equal cultivation of three arts,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Su Shi’s works as a poet, calligrapher and a painter were highly popular in Joseon, also around this period. Once into the 18th century, both the members of its royal house and upper class were fond of paintings on the theme of the Elegant Gathering, owned by many in their private collections. Members of the Joseon literati also liked to compare their own gatherings to the one depicted in Elegant Gathering.

      Elegant Gathering was perceived by the Joseon literati in various different ways. For some, it was a scene of a banquet among a group of politically like-minded people, while for others, the painting portrayed a poetry meeting where verses were improvised based on motifs from Su Shi’s poems. The understanding of this scene depicted in Elegant Gathering varied according to individual political persuasions. Those who belonged to the Noron group, which dominated the political scene of Joseon at that time saw Elegant Gathering as a leisurely encounter between learned people, while those others belonging to the Namin and Sobuk Groups regarded it as a poetic gathering centered around Su Shi. Paintings on the theme of Elegant Gathering were produced, besides, in Joseon, mainly by people who admired Su Shi. The old surviving Elegant Gathering, produced in Joseon, was by Yun Du-seo, a member of the Namin group. In late Joseon, many painters, led by Kim Hong-do, tried their hand with Elegant Gathering, producing numerous versions of this theme.

      Kim Hong-do’s works of Elegant Gathering appear to have been directly influenced by Qiu Ying’s works, both in terms of distribution of human subjects and overall composition. Kim Hong-do, however, readapts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format, and the landscapes in the background reflect the predominant style of late Joseon. He also adds auspicious motifs, absent in the Chinese versions of this theme. Even though they are variations on the same theme, these paintings differ according to the time of creation, type of target audience and the artist’s intent. The scene depicted on the handheld fan appears foremost an ideal literati gathering, while a political subtext is more apparent in the one on the six-panel folding screen, which also draws attention to the thought of Su Shi. Finally, the gathering scene on the eight-panel folding screen appears to be meant as an edifying scene and is evocative of literary and artistic ideals of the time.
      번역하기

      Xiyuan yaji tu (The Elegant Gathering in the Western Garden) depicts a gathering of renowned literati of Northern Song in Xiyuan, the garden of Wang Shen’s house, located in the capital city of Kaifeng. The illustrious company of sixteen includes th...

      Xiyuan yaji tu (The Elegant Gathering in the Western Garden) depicts a gathering of renowned literati of Northern Song in Xiyuan, the garden of Wang Shen’s house, located in the capital city of Kaifeng. The illustrious company of sixteen includes the likes of the Daoist priest Chen Jingyuan, the monk Yuantong, and Su Shi, Li Gonglin and Mi Fu. This painting has long been understood as a praise of an elegant gathering between literati. In this paper, I pay attention to the long-neglected fact that the gathering was one among members of the Jiufadang, or the Old Law Party of Northern Song, to underline its political significance. I also explore the ideological and philosophical aspects of this meeting insofar as it is one in which Su Shi, who integrated Buddhism and Daoism into one system of thought, occupies a central position.

      This Chinese painting theme is presumed to have reached Joseon around the 17th century. Around this time, the influence of the late Ming Dynasty made its literati lifestyle, often associated with gardens, wildly popular in Joseon. Joseon literati held to the ideal of the so-called Three Perfections, which means the equal cultivation of three arts,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Su Shi’s works as a poet, calligrapher and a painter were highly popular in Joseon, also around this period. Once into the 18th century, both the members of its royal house and upper class were fond of paintings on the theme of the Elegant Gathering, owned by many in their private collections. Members of the Joseon literati also liked to compare their own gatherings to the one depicted in Elegant Gathering.

      Elegant Gathering was perceived by the Joseon literati in various different ways. For some, it was a scene of a banquet among a group of politically like-minded people, while for others, the painting portrayed a poetry meeting where verses were improvised based on motifs from Su Shi’s poems. The understanding of this scene depicted in Elegant Gathering varied according to individual political persuasions. Those who belonged to the Noron group, which dominated the political scene of Joseon at that time saw Elegant Gathering as a leisurely encounter between learned people, while those others belonging to the Namin and Sobuk Groups regarded it as a poetic gathering centered around Su Shi. Paintings on the theme of Elegant Gathering were produced, besides, in Joseon, mainly by people who admired Su Shi. The old surviving Elegant Gathering, produced in Joseon, was by Yun Du-seo, a member of the Namin group. In late Joseon, many painters, led by Kim Hong-do, tried their hand with Elegant Gathering, producing numerous versions of this theme.

      Kim Hong-do’s works of Elegant Gathering appear to have been directly influenced by Qiu Ying’s works, both in terms of distribution of human subjects and overall composition. Kim Hong-do, however, readapts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format, and the landscapes in the background reflect the predominant style of late Joseon. He also adds auspicious motifs, absent in the Chinese versions of this theme. Even though they are variations on the same theme, these paintings differ according to the time of creation, type of target audience and the artist’s intent. The scene depicted on the handheld fan appears foremost an ideal literati gathering, while a political subtext is more apparent in the one on the six-panel folding screen, which also draws attention to the thought of Su Shi. Finally, the gathering scene on the eight-panel folding screen appears to be meant as an edifying scene and is evocative of literary and artistic ideals of the tim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서원아집도는 北宋의 수도 開封에 있었던 王詵의 정원인 西園에서 道士 陳景元과 승려 圓通을 포함하여 蘇軾, 李公麟, 米芾 등 저명한 문인 16명의 모임을 그린 것이다. 지금까지 이 그림은 문인들의 우아한 모임을 칭송하는 장면이라고 이해되었다. 그러나 필자는 서원아집이 북송시대 소식을 중심으로 한 구법당 세력의 모임이라는 정치적인 측면과 유교를 중심으로 불교와 도교를 통합한 소식의 태도를 공유한 모임이라는 사상적인 측면에 주목하여 서원아집도를 새롭게 해석하려고 하였다.
      중국의 서원아집도가 조선에 전래된 것은 대략 17세기 경으로 추정된다. 이 시기는 明末 문인문화의 영향으로 庭園ㆍ詩社문화가 성행하고, 詩ㆍ書ㆍ畵 일치의 三絶과 풍류에 대한 동경이 사대부 사이에서 유행했으며, 소식의 작품이 인기도 높았던 때였다. 18세기에는 서원아집도가 왕실과 사대부를 중심으로 활발히 소장ㆍ감상되고 자신들의 모임을 서원아집에 비유하는 경우도 많았다.
      당시 사대부들은 서원아집을 유흥적인 풍류모임, 정치적 지향이 같은 집단의 모임, 소식의 시에 次韻하는 시회와 같이 다양하게 인식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은 정치적 성향에 따라 달랐다. 당시 정치를 주도했던 老論系 문인들은 서원아집을 유흥이 강조된 풍류모임으로 인식한 반면에, 南人ㆍ小北系 인물들은 소식에 초점을 맞추어 서원아집을 고아한 모임으로 높게 평가하였다. 그리고 소식을 애호했던 인물들에 의해 서원아집도의 제작이 주로 이루어졌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서원아집도는 南人인 尹斗緖가 제작한 것이다. 조선 후기에는 金弘道를 중심으로 서원아집도가 활발하게 제작되었다. 이 논문은 김홍도의 <선면 서원아집도>와 <서원아집도 6폭병풍>, 그리고 傳 김홍도의 <서원아집도 8폭병풍>에 주목하여, 양식과 의미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김홍도는 인물의 배치와 구성에 있어서 明代 仇英의 화풍과 직접적인 관련성을 보였다. 그러나 화면에 따라 구도를 바꾸고, 산수 배경에는 조선 후기 화풍의 특징을 반영했으며 길상적인 소재를 새롭게 추가하여 자신의 작품을 완성하였다. 그리고 동일한 주제의 그림일지라도 제작시기와 감상자, 제작목적에 따라 작품의 의미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선면>은 이상적인 문인모임을 상징하였고, <6폭병풍>은 소식의 사상이 반영된 정치적인 의미를 지녔으며, <8폭병풍>은 당시 문예론을 반영한 교훈적 의미를 지닌 것으로 해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조선 후기 서원아집도의 의미는 다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번역하기

      서원아집도는 北宋의 수도 開封에 있었던 王詵의 정원인 西園에서 道士 陳景元과 승려 圓通을 포함하여 蘇軾, 李公麟, 米芾 등 저명한 문인 16명의 모임을 그린 것이다. 지금까지 이 그림은 ...

      서원아집도는 北宋의 수도 開封에 있었던 王詵의 정원인 西園에서 道士 陳景元과 승려 圓通을 포함하여 蘇軾, 李公麟, 米芾 등 저명한 문인 16명의 모임을 그린 것이다. 지금까지 이 그림은 문인들의 우아한 모임을 칭송하는 장면이라고 이해되었다. 그러나 필자는 서원아집이 북송시대 소식을 중심으로 한 구법당 세력의 모임이라는 정치적인 측면과 유교를 중심으로 불교와 도교를 통합한 소식의 태도를 공유한 모임이라는 사상적인 측면에 주목하여 서원아집도를 새롭게 해석하려고 하였다.
      중국의 서원아집도가 조선에 전래된 것은 대략 17세기 경으로 추정된다. 이 시기는 明末 문인문화의 영향으로 庭園ㆍ詩社문화가 성행하고, 詩ㆍ書ㆍ畵 일치의 三絶과 풍류에 대한 동경이 사대부 사이에서 유행했으며, 소식의 작품이 인기도 높았던 때였다. 18세기에는 서원아집도가 왕실과 사대부를 중심으로 활발히 소장ㆍ감상되고 자신들의 모임을 서원아집에 비유하는 경우도 많았다.
      당시 사대부들은 서원아집을 유흥적인 풍류모임, 정치적 지향이 같은 집단의 모임, 소식의 시에 次韻하는 시회와 같이 다양하게 인식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은 정치적 성향에 따라 달랐다. 당시 정치를 주도했던 老論系 문인들은 서원아집을 유흥이 강조된 풍류모임으로 인식한 반면에, 南人ㆍ小北系 인물들은 소식에 초점을 맞추어 서원아집을 고아한 모임으로 높게 평가하였다. 그리고 소식을 애호했던 인물들에 의해 서원아집도의 제작이 주로 이루어졌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서원아집도는 南人인 尹斗緖가 제작한 것이다. 조선 후기에는 金弘道를 중심으로 서원아집도가 활발하게 제작되었다. 이 논문은 김홍도의 <선면 서원아집도>와 <서원아집도 6폭병풍>, 그리고 傳 김홍도의 <서원아집도 8폭병풍>에 주목하여, 양식과 의미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김홍도는 인물의 배치와 구성에 있어서 明代 仇英의 화풍과 직접적인 관련성을 보였다. 그러나 화면에 따라 구도를 바꾸고, 산수 배경에는 조선 후기 화풍의 특징을 반영했으며 길상적인 소재를 새롭게 추가하여 자신의 작품을 완성하였다. 그리고 동일한 주제의 그림일지라도 제작시기와 감상자, 제작목적에 따라 작품의 의미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선면>은 이상적인 문인모임을 상징하였고, <6폭병풍>은 소식의 사상이 반영된 정치적인 의미를 지녔으며, <8폭병풍>은 당시 문예론을 반영한 교훈적 의미를 지닌 것으로 해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조선 후기 서원아집도의 의미는 다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姜景勳, "표암강세황의 가문과생애」,『한국서예사특별전23豹奄 姜世晃" 우일출판사 405-413, 2003

      2 임어당, "쾌활한 천재 蘇東坡酥傅" 지식산업사 2001

      3 김을림, "추사 김정희 여(1786 4856)와 소동파상" 추사연구 2004

      4 흥선표, "조선후기 회화 애호풍조와 繼f活動" 한국미술연구소 5 : 119-138, 1997

      5 송희경, "조선후기 아회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2005

      6 강관식, "조선후기 궁중화원 연구(상)규장각의 자비대령화원을중심으로" 들베개 2001

      7 유보은, "조선시대 서원아집도 연구" 고려대학교대학원 2006

      8 박현모, "정조의 탕평정치 연구2: '醫國論'의 관점에서 본 정조의 리더십" 한국학중앙연구원 26 (26): 153-175, 2003

      9 이동주, "우리나라의 옛 그림" 학고재 1995

      10 이창희, "옥소 권섭의 끔세계 내 사는곳이 마치 그림 같은데" 다운샘 2003

      1 姜景勳, "표암강세황의 가문과생애」,『한국서예사특별전23豹奄 姜世晃" 우일출판사 405-413, 2003

      2 임어당, "쾌활한 천재 蘇東坡酥傅" 지식산업사 2001

      3 김을림, "추사 김정희 여(1786 4856)와 소동파상" 추사연구 2004

      4 흥선표, "조선후기 회화 애호풍조와 繼f活動" 한국미술연구소 5 : 119-138, 1997

      5 송희경, "조선후기 아회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2005

      6 강관식, "조선후기 궁중화원 연구(상)규장각의 자비대령화원을중심으로" 들베개 2001

      7 유보은, "조선시대 서원아집도 연구" 고려대학교대학원 2006

      8 박현모, "정조의 탕평정치 연구2: '醫國論'의 관점에서 본 정조의 리더십" 한국학중앙연구원 26 (26): 153-175, 2003

      9 이동주, "우리나라의 옛 그림" 학고재 1995

      10 이창희, "옥소 권섭의 끔세계 내 사는곳이 마치 그림 같은데" 다운샘 2003

      11 허권수, "송대문학 특집 : 소동파 시문의 한국적 수용" 영남충국어문학회 14 : 49-69, 1988

      12 이범학, "북송후기의 경치와 당쟁사의 재검토-신법당의 입장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4 : 277-292, 1991

      13 박지훈, "북송대 宣仁太后의 攝政" 한국증국학회 43 : 247-265, 2001

      14 오주석, "단원 김홍도" 열화당 1998

      15 오주석, "단원 김홍도" 솔 2006

      16 우홍, "그림 속의 그림" 이산 1999

      17 부르그린드 융만, "구미 박물관 소장의 <서원아집도〉2점에 대한소고" 사회평론 334-352, 2006

      18 이온하, "관아재 조영석의 생애와회화 연구" 고려대학교대학원 2003

      19 이내옥, "공재 윤두서" 시공사 2003

      20 강혜선, "경조의 당송팔대가선집『八子百躍 과『八家手圈" 문헌과해석사 1998

      21 姜景勳, "重菴 姜彛天 文學 硏究 18세기 近畿 南人·小北文塩의 展開와관련하여" 동국대학교대학원 2002

      22 衣若芬, "赤壁漫遊學西國雅集:蘇軾硏究論集" 錄装書局 2001

      23 이순미, "贍拙 姜熙彦의 怪畵 硏究" 흥익대학교대학원 1995

      24 透黃燮, "豹菴 姜世茪의 繪書硏究" 일지사 1988

      25 서은숙, "西園雅集의 역사적 실재성과 그 의미" 연세대학교대학원 원우회 92-115, 2002

      26 박미숙, "西園雅集圖 硏究" 성신여자대 학교대학원 1991

      27 兼乧融, "西國譴集學美術史學對-種循案硏究万法的判" 朶雲 1993

      28 문명숙, "蘇軾寺에 나타난思想」,『中國吾文學" 11 : 115-139, 1986

      29 揚錘基, "蘇械西國譴集考辨" 香倦中文大學 1997

      30 李澤厚, "美의 역정" 동문선 1991

      31 이경구, "版同 金門의 문물 수용론과 文藝활동" 일지사(한국학보) 29 : 138-167, 2003

      32 朴銀順, "朝鮮後期 寫意的 眞景山水畵의 形成과 展開" 미술사연구회 (16) : 333-364, 2002

      33 유미나, "朝鮮 中期 吳派畵風의 전래-《千古最盛》帖을 중심으로" 한국미술사학회 245 (245): 73-116, 2005

      34 조미원, "明未淸初 ±大夫와 猾累" 중국어문학연구화 17 (17): 441-457, 2001

      35 유순영, "明代 吳涖의 蘇州實累圖" 흥익대학교대학원 2003

      36 양종국, "北宋代 黨爭의 전개과경과 성격고찰" 고려대학교 중문학연구소 67-113, 1988

      37 金細蕃, "做 �15& 일파의 言續書像 수용과 제작」,『강좌미술사" 한국미술사연구소 1513-, 2006

      38 衣若芬, "一椿歷史的公案-西國雅集" 대만중앙연구원 중국문철연구소 1997

      39 James Cahill, "The Lyric Joruney, Joney Peo Platting in China Japan" Havard University Press 1996

      40 Ellen Mae Johnston Laing, "Scgolars and Sages : A study In Chinese Fifure Painting" University of Michigan 1967

      41 Ellen Mae Johnston Laing, "Real of Ideal : The Problem of the Elegant gathering in the Westtern Garden' in Chinese Historical and Art Historical Records" 3 : 419-435, 1968

      42 정은진, "<檀園雅集>에 대하여" 우리한문학회 9 (9): 387-413, 2003

      43 손정희, "19세기 벽오사 회화연구" 동국대학교대학원 1999

      44 정호훈, "17세기 전반京畿南人의 世界觀과 政胎鯤"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11 : 191-267, 2001

      45 양흥숙, "17-18세기 官譯의 對曰貿易" 부경역사연구소 159-177,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2 1.02 1.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2 1.04 1.59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