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대부시조에 나타난 겨울철 여가활동의 양상 = The Leisure-Activity on Scholar-Sijo in the Winter Seas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1798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시조에 나타난 겨울철 사대부의 여가활동의 양상을 분석하여 우리 민족이 누렸던 여가문화의 한 단면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여가활동이 국민들 사이에...

      본고는 시조에 나타난 겨울철 사대부의 여가활동의 양상을 분석하여 우리 민족이 누렸던 여가문화의 한 단면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여가활동이 국민들 사이에 새로운 문화코드로 떠오르면서 웰빙(well-being)이 주목을 받고 있다. 웰빙 [참살이] 이란 물질의 가치나 명예를 얻기보다는 신체와 정신이 건강한 삶을 살아가는 것을 행복의 잣대로 삼는다. 그러므로 참살이는 육체 건강과 마음의 안정을 최우선 가치로 한다. 최근에는 참살이가 여가산업의 한 분야로 변질되면서 상류층의 문화로 왜곡되고 있다고도 한다. 하지만 진정한 여가활동은 경제력을 바탕으로 잘 먹고 잘 살고 폼 나게 사는 것이 아니라, 정신적 만족을 통해 행복을 느끼며 건강하게 사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생활은 우리나라의 사대부들이 어지러운 세상을 만나 자연과 벗하며 자연의 질서를 존중했던 것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 사대부들은 고약한 세상을 만나면 산림이나 고향으로 돌아와 자연과 함께 하면서 시조나 가사를 지었다. 사대부 시조는 어느 계절에 창작되느냐에 따라 그 소재와 주제가 달라진다. 이글은 겨울철을 소재로 하고 있는 사대부시조를 통해서, 지금 우리 사회에 화두가 되고 있는 참살이와 비슷한 모습으로 건강한 정신과 육체를 소유하며 살아간 사대부들의 여가활동을 찾아보고자 한다. 겨울철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사대부시조에는 사대부들이 체험한 여가활동의 양상이 1) 겨울의 정취와 삶의 재충전, 2) 안전한 먹거리와 건강한 삶, 그리고 3) 더불어 사는 삶과 즐거운 취미생활 등 3가지로 나누어진다. 주5일 근무제가 시행되고 있는 오늘날 우리들은 옛 시조에 나타난 여유와 느림의 미학에 바탕을 둔 사대부의 겨울철 여가활동을 살펴봄으로써 심신이 건강한 여가활동을 즐길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larify the aspect on the Leisure-Activity of the Scholar-Sijo in the winter season. The Aspect on the Leisure-Activity of Sijo in the winter season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 Three type are the recreation and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larify the aspect on the Leisure-Activity of the Scholar-Sijo in the winter season.
      The Aspect on the Leisure-Activity of Sijo in the winter season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 Three type are the recreation and the sentiment of the winter season, the health-care and the food fad, and the self-discovery and the happy life. The type of the recreation and the sentiment of the winter season is represented of the winter scenery and the complacency in the second chapter, the type of the health-care and the food fad is represented of the wholesome food and the simplification of life in the third chapter, the type of the self-discovery and the happy life is represented of the winter harvesting and the sense of well-being in the fourth chapter.
      In order to study the Aspect on the Leisure-Activity of Sijo in the winter season which have succeeded up to present without interruption, it is to gather more materials, widen an appreciative eye our leisure-activity and deepen the till now study continuous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겨울의 정취와 삶의 재충전
      • 3. 안전한 먹거리와 건강한 삶
      • 4. 더불어 사는 삶과 즐거운 취미생활
      • 〈국문초록〉
      • 1. 서론
      • 2. 겨울의 정취와 삶의 재충전
      • 3. 안전한 먹거리와 건강한 삶
      • 4. 더불어 사는 삶과 즐거운 취미생활
      • 5.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을수, "한국시조대사전(상,하)" 아세아문화사 1991

      2 임재해, "한국민속과 오늘의 문화" 지식산업사 1994

      3 신은경, "풍류" 보고사 1999

      4 최동국, "조선조 산수시가의 이념과 미의식" 성균관대 1992

      5 임종찬, "장시조의 문예학적 연구" 부산대 1983

      6 류해춘, "웰빙시대의 시조미학(여름편)" (15) : 131-137, 2004

      7 류해춘, "웰빙시대의 시조미학(봄편)" (18) : 135-150, 2005

      8 류해춘, "웰빙시대의 시조미학(겨울편)" 17 : 135-148, 2004

      9 류해춘, "웰빙시대의 시조미학(가을편)" (16호) : 149-162, 2004

      10 심재완, "역대시조전서" 세종문화사 1972

      1 박을수, "한국시조대사전(상,하)" 아세아문화사 1991

      2 임재해, "한국민속과 오늘의 문화" 지식산업사 1994

      3 신은경, "풍류" 보고사 1999

      4 최동국, "조선조 산수시가의 이념과 미의식" 성균관대 1992

      5 임종찬, "장시조의 문예학적 연구" 부산대 1983

      6 류해춘, "웰빙시대의 시조미학(여름편)" (15) : 131-137, 2004

      7 류해춘, "웰빙시대의 시조미학(봄편)" (18) : 135-150, 2005

      8 류해춘, "웰빙시대의 시조미학(겨울편)" 17 : 135-148, 2004

      9 류해춘, "웰빙시대의 시조미학(가을편)" (16호) : 149-162, 2004

      10 심재완, "역대시조전서" 세종문화사 1972

      11 김광득, "여가와 현대사회" 백산출판사 1997

      12 강남국, "여가사회의 이해" 형설출판사 1999

      13 신연우, "시조속의 생활,생활속의 시조" 북힐스 2000

      14 김대행, "시가 시학 연구" 이화여대출판부 1991

      15 허왕욱, "생활정서로 그려낸 시조미학" 이회출판사 2003

      16 조규익, "만횡청류" 박이정 1996

      17 李澯旭, "時調 朗誦의 콘텐츠화 硏究" 한국시조학회 19 : 5-36, 2003

      18 한국여가문화학회, "well-being과 여가문화(발표요약집)" 2004

      19 J.Dumazedier, "Toward a Society of Leisure" The Free Press 1967

      20 S.de Grazia, "Of time,Work,and Leisure" Doubleday & Company Inc 1964

      21 Aristotle, "Nichomachean Ethics" Random House 1948

      22 김용찬, "18세기의 시조문학과 예술사적 위상" 월인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5 1.045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