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바디우의 사유체계와 분리공리 = The Axiom Schema of Separation and its Philosophy in Badio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670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 Research topics: This article elaborates on the ont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axiom schema of separation, which is focused on Alain Badiou’s philosophy.
      · Research background: The axiom of separation is the most basic prerequisite for understanding Badiou’s philosophy.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point that what is needed to understand Badiou’s philosophy is the consideration of the axiom of separation.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The research on the axiom of separation, which is fundamental in Badiou’s mathematical ontology, is not advanced.
      · Research method: This paper analyzes the ontological significance of the separation axiom, focusing on literature related to Badiou’s theories.
      · Research results: The axiom of separation proves the non-existence of the one and whole.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Language is a mediation from consistent multiplicity to inconsistent multiplicity which is implied in the situation.
      번역하기

      · Research topics: This article elaborates on the ont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axiom schema of separation, which is focused on Alain Badiou’s philosophy. · Research background: The axiom of separation is the most basic prerequisite for unders...

      · Research topics: This article elaborates on the ont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axiom schema of separation, which is focused on Alain Badiou’s philosophy.
      · Research background: The axiom of separation is the most basic prerequisite for understanding Badiou’s philosophy.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point that what is needed to understand Badiou’s philosophy is the consideration of the axiom of separation.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The research on the axiom of separation, which is fundamental in Badiou’s mathematical ontology, is not advanced.
      · Research method: This paper analyzes the ontological significance of the separation axiom, focusing on literature related to Badiou’s theories.
      · Research results: The axiom of separation proves the non-existence of the one and whole.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Language is a mediation from consistent multiplicity to inconsistent multiplicity which is implied in the situ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 연구 주제: 바디우(Alain Badiou)가 중점적으로 논구한 분리공리의 정체와 분리공리의 존재론적 해석에 관한 연구이다.
      · 연구 배경: 분리공리는 바디우의 사유체계 전반에 걸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전제조건이다. 그러므로 현대철학에서 새로운 사유를 모색하고자 하는 바디우의 철학적 시도를 엄밀히 이해하기 위해 분리공리의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바디우의 수학적 존재론에서 공집합공리(공백의 존재론적 의의)에 관한 연구는 다소 개진된 상황이지만 분리공리를 주제로 연구한 성과는 미진한 상태이다.
      · 연구방법: 바디우의 주저와 집합론의 텍스트에 관한 문헌연구 중심으로 분리공리의 존재론적 의의를 분석한다.
      · 연구결과: 분리공리는 러셀의 역리에 영향을 받지 않는 조건에서 일자의 비존재/전체의 비실존을 선언한다. 그리고 이 선언은 바디우의 사유체계 전반에 걸쳐 가장 중요한 전제조건에 해당한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현대철학계는 바디우의 수학적 존재론에 주목한다. 국내외에서 그의 독창적 존재론과 사건 논의를 활용하는 후속연구가 점차 진척되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그러한 후속연구가 바디우의 분리공리를 재전유할 수 있는 개념적 이정표 역할을 기대한다.
      번역하기

      · 연구 주제: 바디우(Alain Badiou)가 중점적으로 논구한 분리공리의 정체와 분리공리의 존재론적 해석에 관한 연구이다. · 연구 배경: 분리공리는 바디우의 사유체계 전반에 걸쳐서 가장 기본�...

      · 연구 주제: 바디우(Alain Badiou)가 중점적으로 논구한 분리공리의 정체와 분리공리의 존재론적 해석에 관한 연구이다.
      · 연구 배경: 분리공리는 바디우의 사유체계 전반에 걸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전제조건이다. 그러므로 현대철학에서 새로운 사유를 모색하고자 하는 바디우의 철학적 시도를 엄밀히 이해하기 위해 분리공리의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바디우의 수학적 존재론에서 공집합공리(공백의 존재론적 의의)에 관한 연구는 다소 개진된 상황이지만 분리공리를 주제로 연구한 성과는 미진한 상태이다.
      · 연구방법: 바디우의 주저와 집합론의 텍스트에 관한 문헌연구 중심으로 분리공리의 존재론적 의의를 분석한다.
      · 연구결과: 분리공리는 러셀의 역리에 영향을 받지 않는 조건에서 일자의 비존재/전체의 비실존을 선언한다. 그리고 이 선언은 바디우의 사유체계 전반에 걸쳐 가장 중요한 전제조건에 해당한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현대철학계는 바디우의 수학적 존재론에 주목한다. 국내외에서 그의 독창적 존재론과 사건 논의를 활용하는 후속연구가 점차 진척되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그러한 후속연구가 바디우의 분리공리를 재전유할 수 있는 개념적 이정표 역할을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기숙, ""순수다자"로서의 존재와 "일자"로서의 진리-알랭 바디우의 "존재와 사건"-"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12) : 241-262, 2006

      2 장태순, "팬데믹과 타자의 개념: 바디우와 지젝의 타자 이해를 중심으로" 이화인문과학원 14 (14): 7-27, 2021

      3 조태구, "코로나19와 프랑스 철학 ― 낭시와 바디우 그리고 한국" 국제비교한국학회 29 (29): 49-80, 2021

      4 이흥천, "집합론" 경문사 2015

      5 박일형, "진리의 윤리학과 벌거벗은 생명: 바디우와 베케트" 한국현대영미드라마학회 24 (24): 57-78, 2011

      6 바디우, 알랭, "존재와 사건" 새물결 2013

      7 이헌수 ; 박영용 ; 김영철, "일차방정식과 일차함수에 대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 한국학교수학회 19 (19): 395-415, 2016

      8 장태순, "영, 하나, 여럿‒알랭 바디우의 다자 개념‒" 한국철학회 (131) : 151-170, 2017

      9 오진영, "양자중력설로 연구한 바디우의 공백(Ø)에 관한 윤리적 의의 - 자유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윤리학회 1 (1): 169-196, 2015

      10 홍기숙, "알랭 바디우의 진리와 주체 - 라깡을 넘어서" 한국현상학회 (80) : 33-56, 2019

      1 홍기숙, ""순수다자"로서의 존재와 "일자"로서의 진리-알랭 바디우의 "존재와 사건"-"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12) : 241-262, 2006

      2 장태순, "팬데믹과 타자의 개념: 바디우와 지젝의 타자 이해를 중심으로" 이화인문과학원 14 (14): 7-27, 2021

      3 조태구, "코로나19와 프랑스 철학 ― 낭시와 바디우 그리고 한국" 국제비교한국학회 29 (29): 49-80, 2021

      4 이흥천, "집합론" 경문사 2015

      5 박일형, "진리의 윤리학과 벌거벗은 생명: 바디우와 베케트" 한국현대영미드라마학회 24 (24): 57-78, 2011

      6 바디우, 알랭, "존재와 사건" 새물결 2013

      7 이헌수 ; 박영용 ; 김영철, "일차방정식과 일차함수에 대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 한국학교수학회 19 (19): 395-415, 2016

      8 장태순, "영, 하나, 여럿‒알랭 바디우의 다자 개념‒" 한국철학회 (131) : 151-170, 2017

      9 오진영, "양자중력설로 연구한 바디우의 공백(Ø)에 관한 윤리적 의의 - 자유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윤리학회 1 (1): 169-196, 2015

      10 홍기숙, "알랭 바디우의 진리와 주체 - 라깡을 넘어서" 한국현상학회 (80) : 33-56, 2019

      11 박일형, "아도르노에서 바디우까지 베케트 연구의 이론적 전개" 영미문학연구회 (24) : 238-262, 2008

      12 유미영 ; 최영기, "수학적 대상으로서의 공집합" 한국수학교육학회 35 (35): 413-423, 2021

      13 박일형, "베케트와 산문의 윤리 - 『어떠한지』에 대한 바디우의 독해" 21세기영어영문학회 29 (29): 93-113, 2016

      14 조만수, "베케트 희곡의 새로운 해석 : 들뢰즈와 바디우를 통하여" 프랑스학회 (72) : 215-236, 2015

      15 장태순, "벗어남의 예술로서의 영화: 알랭 바디우의 영화 사유" 철학연구회 (136) : 143-163, 2022

      16 오진영, "바디우의 사건(1)" 한국윤리교육학회 (45) : 247-274, 2017

      17 서용순, "바디우 철학에서의 존재, 진리, 주체: 『존재와 사건』을 중심으로" 철학연구소 27 : 79-115, 2011

      18 이현정, "놀이와 교육의 메타의미: 알랭 바디우를 통해 유아교육 읽기" 좋은땅 2021

      19 남수영, "거짓으로서의 영화: 영화의 매체특정성에 대한 고찰" 한국비평이론학회 24 (24): 79-112, 2019

      20 Badiou, A., "Éloge des mathématiques" Flammarion 2015

      21 Badiou, A., "Theoretical Writings" Continuum 2004

      22 Griffin, N., "The prehistory of Russell’s paradox" (6) : 349-371, 2004

      23 Kunen, K., "Set theory, An introduction to independence proofs" Elsevier 1980

      24 Potter, M., "Set theory and its philosophy: A critical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25 Badiou, A., "Mathematics of the Transcendental" Bloomsbury 2014

      26 Badiou, A., "L’Étre et l’Événement" Seuil 1988

      27 Badiou, A., "L’Éthique: Essai sur la Conscience du Mal" Hatier 1993

      28 Badiou, A., "L’Immanence des vérités" Fayard 2018

      29 Badiou, A., "Logiques des Mondes" Seuil 2006

      30 Badiou, A., "Deleuze: La clameur de l’Etre" Fayard 2013

      31 Badiou, A., "Conditions" Seuil 1992

      32 Badiou, A., "Being and Event" Bloomsbury 2005

      33 Watkin, W., "Badiou and indifferent being" Bloomsbury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04-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Semyung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Human and Social Sciences -> Semyung University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