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층모형을 활용한 교사들의 교내 수업개선 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 Influence on Teachers’ Instructional Improvement Effort Inside the School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attributes of principalsand teachers on teachers’ instructional improvement effort inside the school using hierarchicallinear modeling. The responses of 192 principals and 6,377 teachers were used from the dataof ‘the Actual Status and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in Korea (2013). The results were asfollows. First, teachers’ instructional improvement effort inside the school was explaineddifferently in principal factors. Second, teacher-level attributes, ‘homeroom teacher ornon-homeroom teacher, major, and teaching years had an positive effect on teachers’instructional improvement effort inside the school while sex and school type did not affect‘instructional improvement effort within the school’. Third, the positive perception of theprincipal of the teachers reduced teachers’ instructional improvement effort outside the school.
      Fourth, the perception of the principal of the teachers was however significantly related toteachers’ instructional improvement effort within the school. It means that the more positiveperception of the teachers a principal has, the more the teacher made an effort to improvetheir instructional skills in school. Fifth, the perception of the principal of the teachers wasnot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the teacher of the principal. Finally, principal employmentmethod, principal’s education management purpose, and perception of the principal of teachersexplained the difference of teachers’ instructional improvement effort inside the school overprincipals but the portion which was not explained by the three principal-level variablesabove remains.
      번역하기

      The main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attributes of principalsand teachers on teachers’ instructional improvement effort inside the school using hierarchicallinear modeling. The responses of 192 principals and 6,377 teach...

      The main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attributes of principalsand teachers on teachers’ instructional improvement effort inside the school using hierarchicallinear modeling. The responses of 192 principals and 6,377 teachers were used from the dataof ‘the Actual Status and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in Korea (2013). The results were asfollows. First, teachers’ instructional improvement effort inside the school was explaineddifferently in principal factors. Second, teacher-level attributes, ‘homeroom teacher ornon-homeroom teacher, major, and teaching years had an positive effect on teachers’instructional improvement effort inside the school while sex and school type did not affect‘instructional improvement effort within the school’. Third, the positive perception of theprincipal of the teachers reduced teachers’ instructional improvement effort outside the school.
      Fourth, the perception of the principal of the teachers was however significantly related toteachers’ instructional improvement effort within the school. It means that the more positiveperception of the teachers a principal has, the more the teacher made an effort to improvetheir instructional skills in school. Fifth, the perception of the principal of the teachers wasnot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the teacher of the principal. Finally, principal employmentmethod, principal’s education management purpose, and perception of the principal of teachersexplained the difference of teachers’ instructional improvement effort inside the school overprincipals but the portion which was not explained by the three principal-level variablesabove remai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의 교내 수업개선 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다층모형을 이용하여 교장・교사수준별로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학교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연구 2013’ 데이터를 사용하여 총 192명 교장과 6,377명 교사들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교내 수업개선 노력’에 대하여 교장차이에서 설명할수 있는 변량의 비율은 10%로 교사들의 교내 수업개선 활동은 학교교장들 역량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의 양성교육기관 유형과 근속기간, 담임여부는 교사들 교내수업개선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성별과 학교유형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학교장의 해당학교 교사들에 대한 긍정적 견해는 교사들의 ‘교외 수업개선 활동’ 학교 평균에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특히 학교장의 해당학교 교사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가 높은 학교일수록 교사들의 ‘교외 수업개선 노력’에 미치는 영향력이 부적으로 작용하였다. 넷째, 교장들의 해당학교 ‘교사들에 대한 견해’는 교사들의 ‘교내 수업개선 노력’에 유의미하게 영향력을 나타냈다. 다섯째, 교장의 해당학교 교사들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는 교사들의 해당학교 ‘교장에대한 긍정적인 견해에 영향력을 나타내지 않았다. 여섯째, 학교장의 ‘임용방식’, ‘교육경영목표’는 교사들의 ‘교내 수업개선 노력’ 평균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의 교내외 교외 수업개선 노력에 있어 교장 간 차이를 설명해 줄 수 있는 교장 수준에서의 영향요인들이 탐색되어야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의 교내 수업개선 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다층모형을 이용하여 교장・교사수준별로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학교교육 실태 및 수준...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의 교내 수업개선 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다층모형을 이용하여 교장・교사수준별로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학교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연구 2013’ 데이터를 사용하여 총 192명 교장과 6,377명 교사들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교내 수업개선 노력’에 대하여 교장차이에서 설명할수 있는 변량의 비율은 10%로 교사들의 교내 수업개선 활동은 학교교장들 역량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의 양성교육기관 유형과 근속기간, 담임여부는 교사들 교내수업개선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성별과 학교유형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학교장의 해당학교 교사들에 대한 긍정적 견해는 교사들의 ‘교외 수업개선 활동’ 학교 평균에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특히 학교장의 해당학교 교사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가 높은 학교일수록 교사들의 ‘교외 수업개선 노력’에 미치는 영향력이 부적으로 작용하였다. 넷째, 교장들의 해당학교 ‘교사들에 대한 견해’는 교사들의 ‘교내 수업개선 노력’에 유의미하게 영향력을 나타냈다. 다섯째, 교장의 해당학교 교사들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는 교사들의 해당학교 ‘교장에대한 긍정적인 견해에 영향력을 나타내지 않았다. 여섯째, 학교장의 ‘임용방식’, ‘교육경영목표’는 교사들의 ‘교내 수업개선 노력’ 평균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의 교내외 교외 수업개선 노력에 있어 교장 간 차이를 설명해 줄 수 있는 교장 수준에서의 영향요인들이 탐색되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승호, "학교 안 교사학습공동체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54 (54): 85-113, 2016

      2 김효정, "학교 내 교사 협력이 교사의 학교 개혁 실천에 미치는 영향 탐색"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77-99, 2011

      3 김영한, "특수학교 수업개선을 위한 수업공개 운영 실태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38 (38): 201-218, 2003

      4 김송자, "초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사례 연구" 교육연구소 34 (34): 227-247, 2013

      5 박남수, "중등교사의 교직이수 유형별 전문성 및 만족도 차이" 교육과학연구소 42 (42): 1-25, 2011

      6 이경호, "전문가학습공동체 구축을 위한 교장의 역할 탐색"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195-221, 2011

      7 이상수, "수행공학을 적용한 수업컨설팅 모형" 한국교육공학회 26 (26): 87-120, 2010

      8 송인발, "수업전문성 지향 교사협력활동의 측정도구 개발" 교육연구소 17 (17): 225-249, 2016

      9 김병수,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한 학습공동체 사례 연구-초등학교 국어 수업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학회 (50) : 7-34, 2014

      10 강정찬, "수업 개선을 위한 현장연구방법으로서 설계기반연구(DBR)" 한국교육방법학회 23 (23): 323-354, 2011

      1 이승호, "학교 안 교사학습공동체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54 (54): 85-113, 2016

      2 김효정, "학교 내 교사 협력이 교사의 학교 개혁 실천에 미치는 영향 탐색"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77-99, 2011

      3 김영한, "특수학교 수업개선을 위한 수업공개 운영 실태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38 (38): 201-218, 2003

      4 김송자, "초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사례 연구" 교육연구소 34 (34): 227-247, 2013

      5 박남수, "중등교사의 교직이수 유형별 전문성 및 만족도 차이" 교육과학연구소 42 (42): 1-25, 2011

      6 이경호, "전문가학습공동체 구축을 위한 교장의 역할 탐색"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195-221, 2011

      7 이상수, "수행공학을 적용한 수업컨설팅 모형" 한국교육공학회 26 (26): 87-120, 2010

      8 송인발, "수업전문성 지향 교사협력활동의 측정도구 개발" 교육연구소 17 (17): 225-249, 2016

      9 김병수,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한 학습공동체 사례 연구-초등학교 국어 수업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학회 (50) : 7-34, 2014

      10 강정찬, "수업 개선을 위한 현장연구방법으로서 설계기반연구(DBR)" 한국교육방법학회 23 (23): 323-354, 2011

      11 이동배, "교장지도성이 교사공동체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교사수업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행정학회 32 (32): 245-270, 2014

      12 양민석, "교장공모제 시행 학교와 학교장의 특성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3 (33): 173-202, 2015

      13 박진영, "교육청 주관 수업컨설팅에 참여한 중등교사의 경험 분석" 한국교육학회 53 (53): 237-265, 2015

      14 서근원, "교육공동체의 교육인류학적 재해석: 산들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인류학회 8 (8): 127-179, 2005

      15 정제영, "교원의 전문성 계발 노력 실태 및 영향요인 탐색" 한국교육행정학회 33 (33): 1-23, 2015

      16 정제영, "교사의 전문성 계발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의 교육환경 요인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321-342, 2014

      17 한희진, "교사공동체가 중학생의 수학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8 (28): 117-140, 2011

      18 구원회, "교사 전문성 발달 과정의 특성이 전문성 신장에 주는 시사점 탐색"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7 (17): 467-504, 2016

      19 이혜정, "공교육 내실화를 위한 교사 전문성 신장방안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18 (18): 77-102, 2010

      20 Kim, S. C., "What is innovation school?" Mamedream 2011

      21 Kim, G. H., "The influence of high school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on the beginning teachers’teaching efficacy: Focus on the mediated effect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 Chung-Ang University 2016

      22 Choi, S. I.,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ers' professionalism through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for class analy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9

      23 Kim, S. C.,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processes in the cooperative learning association of korea" Sungkyunkwan University 2006

      24 Hong, J. N., "Case study on teachers' class professionality of through class research society of innovation schools: Research of class research society with various subjects teacher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6

      25 Oh, C. S., "Case study on innovation diffusion process of teachers’ learning community" Korea University 2014

      26 Lee, E. J.,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on teacher and student : Focused on teacher efficacy, achievement, and student's perception of teacher professionalism" Ewha Womans University 2016

      27 Yun, H. G., "An analysis of awareness and hampered factors of open class of Middle School Teacher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2

      28 Lee, G. S., "An action research for reflective practice of home economics teacher through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ctivity" K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15

      29 Jung, H. Y.,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and teaching behaviors of teachers" Dong-A University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3 1.544 0.5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