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聲調 方言의 非語頭 長音에 관한 問題 -만두소:(LLR), 그래:도(LRH) ; 아랫마:(LLF), 바래:고(LFL) 유형- = On The Length of Non-initial Syllable in Tonal Diale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071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enerally, an intonation existing in the eastern parts of Korea such as Geongsang, Hangyung and Yeongdong provinces plays an important role. However, many researchers think that length also has a meaningful function in tonal dialect. In this paper, I ...

      Generally, an intonation existing in the eastern parts of Korea such as Geongsang, Hangyung and Yeongdong provinces plays an important role. However, many researchers think that length also has a meaningful function in tonal dialect. In this paper, I insis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ngth in Gyeongbuk dialect and Seoul dialect should be different. So far, there have been no particular opinions about the falling pitch after the second syllable such as LFL(caphigo) and LLFL(namurɛgo). However, the questionnaire items on the rising tone of the second syllable and the third syllable have not been properly considered. As a result, the rising tone in everyday conversation has not been well recognized. In other words, in the second and third syllables that the rising tone did not seem to appear. In this paper, I argue that the length of non-initial syllable is another characteristic of tonal dialect through kƜrɛdo(LRH), Noh Mu-hyeon(LRH), Moon Jae-in(LRH), ʧalgara(LRH), kaʤimalgo(LLRH), t'ǝnabwado(LLRH), etc. This will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tonal types that appear in other dialects. Also, I would like to emphasize the phase of Korean tone while showing 7 tonal types for 2 syllable words and 11 tonal types for 3 syllable words (breath-group).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임석규, 2019, 성조 방언의 비어두 장음에 관한 문제, 어문연구, 181 : 7~25 경상남북도, 함경도, 강원도 영동 지역의 말은 성조가 유의미한 기능을 갖는다고 한다. 그런데 아직도 성조 외에 음장...

      임석규, 2019, 성조 방언의 비어두 장음에 관한 문제, 어문연구, 181 : 7~25 경상남북도, 함경도, 강원도 영동 지역의 말은 성조가 유의미한 기능을 갖는다고 한다. 그런데 아직도 성조 외에 음장도 유의미한 것으로 파악하는 연구자가 많다. 이 글에서는 성조 방언의 장음과 음장 방언의 장음은 그 성격이 명백히 다르다는 것을 밝힌다. 그동안 하강조(LFL 바래:고, LLFL 나무래:고)에 대해서는 큰 이견이 없었지만 비어두의 상승조에 대해서는 조사 항목조차 제대로 꾸리지 못했다. 그러니 자연 발화에서 비어두에서 상승조가 나타나더라도 그것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향까지 보였다. 그 결과 성조 방언의 상승조를 음장 방언의 장음과 동일시하게 되었고, 급기야 이 상승조는 비어두에서 나타나지 않는다고 이해하게 된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경북 영주의 만두소:(LLR), 그래:도(LRH), 잘가:라(LRH), 노무:현(LRH), 문재:인(LRH), 가지마:고(LLRH), 떠나봐:도(LLRH) 등을 통해 비어두의 상승조를 성조 방언의 또 다른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를 통해 다른 방언권에서 실현되는 성조 현상에 대한 이해도 깊어질 것이다. 아울러 한 기식군을 이루는 성조형의 경우, 2음절은 7개 유형, 3음절은 11개 유형을 제시하면서 한국어의 성조 언어로서의 지위도 강조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 현, "활용형의 재분석에 의한 용언 어간 재구조화" 국어학회 37 : 85-113, 2001

      2 이문규, "형태소 성조형 중심의 국어 성조론" 한국문화사 2017

      3 최명옥, "현대국어의 성조형과 그 분포" 진단학회 88 : 555-581, 1999

      4 최명옥, "현대국어의 성조소체계" 국어학회 31 : 23-52, 1998

      5 곽충구, "함북 육진방언의 음운론" 태학사 1994

      6 허웅, "최현배 선생 환갑기념논문집" 사상계사 479-519, 1954

      7 김세환, "청송 지역어의 음운론적 연구" 국어연구회 180 : 2005

      8 金星奎, "중세국어의 聲調 변화에 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4

      9 김완진, "중세국어성조의 연구" 탑출판사 1977

      10 최영미, "정선방언의 성조 체계와 그 역사적 변천에 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1 김 현, "활용형의 재분석에 의한 용언 어간 재구조화" 국어학회 37 : 85-113, 2001

      2 이문규, "형태소 성조형 중심의 국어 성조론" 한국문화사 2017

      3 최명옥, "현대국어의 성조형과 그 분포" 진단학회 88 : 555-581, 1999

      4 최명옥, "현대국어의 성조소체계" 국어학회 31 : 23-52, 1998

      5 곽충구, "함북 육진방언의 음운론" 태학사 1994

      6 허웅, "최현배 선생 환갑기념논문집" 사상계사 479-519, 1954

      7 김세환, "청송 지역어의 음운론적 연구" 국어연구회 180 : 2005

      8 金星奎, "중세국어의 聲調 변화에 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4

      9 김완진, "중세국어성조의 연구" 탑출판사 1977

      10 최영미, "정선방언의 성조 체계와 그 역사적 변천에 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11 임석규, "이병근교수정년퇴임기념국어학논총" 태학사 1167-1184, 2006

      12 신승원, "의성지역어의 음운론적 분화 연구" 홍익출판사 2000

      13 임석규, "영주 지역어의 음운론적 연구" 국어연구회 160 : 1999

      14 김주원, "영남방언 성조의 특성과 그 발달" 한국어문학회 69 : 91-115, 2000

      15 김차균, "영남 방언 성조 비교" 역락 2003

      16 김성규, "어휘소 설정과 음운 현상" 국어연구회 77 : 1987

      17 김봉국, "삼척 지역어의 성조 연구" 국어연구회 150 : 1998

      18 방언연구회, "방언학사전" 태학사 2001

      19 이혁화, "무주·영동·김천 방언의 음운론적 대비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20 신기상, "동부경남방언의 고저장단" 월인 1999

      21 최명옥, "동남방언의 성조형과 그 분포" 대한민국 학술원 67-88, 1990

      22 임석규, "동남방언의 성조소에 대한 재검토" 국어국문학회 135 : 21-40, 2003

      23 임석규, "동남방언의 성조 실현, 그 기저성조와 율동제약" 한국방언학회 (23) : 31-58, 2016

      24 임석규, "동남방언 음운론 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안" 국어학회 (43) : 63-96, 2004

      25 이기문, "국어음운사연구" 탑출판사 1972

      26 이상규, "국어방언학" 학연사 2003

      27 이문규, "국어 성조론에서의 성조형의 개념과 위상" 한글학회 (301) : 5-42, 2013

      28 김영만, "고금 성조 비교 재론: 다음절어의 유형과 비교공식" 한글학회 149 : 387-420, 1972

      29 정연찬, "경상도방언성조연구" 탑출판사 1977

      30 김차균, "경상도 방언의 성조 체계" 과학사 1980

      31 임석규, "경북북부지역어의 음운론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32 이문규, "경북방언의 '나가더라'류 성조형 연구" 문학과 언어 연구회 25 : 109-126, 2003

      33 박숙희, "경북 동해안 방언의 성조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5

      34 김봉국, "강원도 남부지역 방언의 음운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35 이문규, "‘말(語)-류’ 성조형의 방언 간 대응 양상과 의의" 한국어문학회 (128) : 53-79, 2015

      36 Goeun Kim, "Tone of Gyeongnam Dialect" The Korean Association for Dialectology (28) : 83-108, 2018

      37 임석규, "Tonal Pattern in Verb ‘ka-’ and Fossils"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and Literary Research 36 (36): 187-206, 2008

      38 Seokkyu Im, "The phonological study on verb paradigms of the ‘po-(see)’ type in the northern Kyeongbuk Dialect" The Korean Association for Dialectology 25 : 95-122, 2017

      39 Sehwan Kim, "A Study on the tone of Gyeongbuk dialect" The Korean Association for Dialectology (28) : 63-81,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9-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942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