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집합투자증권상품의 투자계약 취소권에 관한 연구- 라임펀드 사건을 중심으로 - = The Requirements for Revocation of Investment Contracts in Relation to Collective Investment Products – with Emphasis on the Lime Fund Case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606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amendment of the Fina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s Act on July 24, 2015, the regulation on private investment funds was greatly eased. Starting from this period, the degree of freedom in the operation of private investment funds has increased, and the market size of private investment funds has grown rapidly, and investment damage cases from private investment funds have often appeared since 2018. Recently, investment damage to the Optimus Fund of 500 billion won was reported to the media before the aftermath of the 2 trillion won of the Lime Fund. Investments have the potential for loss. However, if managements and sellers violate legal and contractual obligations, it should be viewed as damage, not a loss. Market soundness cannot be secured by allowing investors to take this investment damages. Although many institutional supplements have been added to protect investors, the reason why the damage to investors continues is the regulation centered on managers. It is difficult to prevent the damage of investors who have subscribed to financial investment products by trusting the seller without knowing about the manager or the operating structure in the current legal structure, where the seller is responsible for completing the formal sales process. The sellers should take the primary responsibility for reviewing, maintaining, defecting the quality of the product, and then the seller should be in a form that demands fundamental responsibility from the manager. The recent revision by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which strengthens the responsibilities of sellers and trustees, can also be understood with the same purpose. Legally, the seller's responsibility can be demanded through the exercise of the contractual right to cancel, which is the basic principle of civil law based on the contract with the seller. In order to exercise the right to revoke, the contract must be concluded by mistake or fraud. The case has enough facts to take this into account. In this article, we will explain the structural problems of the lime fund that caused the loss, as well as the reasons for the mass production of investment damages, and analyze legally to clarify the requirements for the exercise of revocation rights among the contractual rights of investors.
      번역하기

      With the amendment of the Fina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s Act on July 24, 2015, the regulation on private investment funds was greatly eased. Starting from this period, the degree of freedom in the operation of private investment fund...

      With the amendment of the Fina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s Act on July 24, 2015, the regulation on private investment funds was greatly eased. Starting from this period, the degree of freedom in the operation of private investment funds has increased, and the market size of private investment funds has grown rapidly, and investment damage cases from private investment funds have often appeared since 2018. Recently, investment damage to the Optimus Fund of 500 billion won was reported to the media before the aftermath of the 2 trillion won of the Lime Fund. Investments have the potential for loss. However, if managements and sellers violate legal and contractual obligations, it should be viewed as damage, not a loss. Market soundness cannot be secured by allowing investors to take this investment damages. Although many institutional supplements have been added to protect investors, the reason why the damage to investors continues is the regulation centered on managers. It is difficult to prevent the damage of investors who have subscribed to financial investment products by trusting the seller without knowing about the manager or the operating structure in the current legal structure, where the seller is responsible for completing the formal sales process. The sellers should take the primary responsibility for reviewing, maintaining, defecting the quality of the product, and then the seller should be in a form that demands fundamental responsibility from the manager. The recent revision by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which strengthens the responsibilities of sellers and trustees, can also be understood with the same purpose. Legally, the seller's responsibility can be demanded through the exercise of the contractual right to cancel, which is the basic principle of civil law based on the contract with the seller. In order to exercise the right to revoke, the contract must be concluded by mistake or fraud. The case has enough facts to take this into account. In this article, we will explain the structural problems of the lime fund that caused the loss, as well as the reasons for the mass production of investment damages, and analyze legally to clarify the requirements for the exercise of revocation rights among the contractual rights of investo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지난 2015년 7월 24일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이하 ‘자본시장법’)은 개정을 통해 사모펀드에 대한 규제를 대폭 완화하였다. 기존 자본시장법에서는 4종류로 구분하던 사모펀드 규제 체계를 2종류로 구분하여 규제 체계를 더욱 단순화하였다. 이 시기를 기점으로 사모펀드의 운용에 높은 자유도가 허용되어 사모펀드의 시장규모가 급격히 성장하였고, 2018년부터 사모펀드 발 투자피해 사례가 심심치 않게 등장하더니 2조 원대 라임펀드의 충격이 다 가시기도 전에 5천억 원대 옵티머스펀드 투자피해가 언론에 보도되고 있다. 투자에 손실이 따를 수 있음은 부정할 수 없는 부분이나, 운용자 및 판매자가 법률 및 계약상 의무를 위반하는 경우는 손실이 아니라 피해라고 보아야 한다. 이러한 부분을 투자자가 감수하도록 하여서는 시장건전성을 확보할 수 없다. 투자자보호를 위해 많은 제도적 보완이 추가되고 있지만, 투자자 피해 사례가 끊이지 않는 이유 중에는 현행의 운용사 중심의 규제도 있다고 본다. 판매자는 형식적인 판매 절차만 완수한 것으로 책임을 면하는 현재 구조에서 운용사나 운용구조에 대해 잘 알지 못한 채 판매자를 신뢰하여 금융투자상품에 가입한 투자자들의 피해를 막기 어렵다. 판매자가 하자있는 상품을 판매한 경우 그 제조상의 책임이 없을지라도 구매자는 판매자에게 책임을 물어 교환 또는 환불을 요구할 수 있는 계약상 일반원리에 비추어도 현재 금융투자상품의 판매 구조는 불합리하다고 볼 수 있다. 판매자들이 상품의 질에 대한 검토, 유지관리 혹은 하자에 대해 일차적인 책임을 지고, 이후 판매자가 운용사에게 근본적인 책임을 요구하는 형태가 되어야 한다. 최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판매자와 수탁기관의 책임을 강화하는 개선 안 또한 같은 취지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손실을 발생시킨 라임펀드의 구조적 문제와 함께 투자손실이 아닌 투자피해가 양산된 원인을 설명하고, 법리적으로 분석하여 투자자의 계약상 권리 중 취소권의 행사 요건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지난 2015년 7월 24일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이하 ‘자본시장법’)은 개정을 통해 사모펀드에 대한 규제를 대폭 완화하였다. 기존 자본시장법에서는 4종류로 구분하던 사모펀드 ...

      지난 2015년 7월 24일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이하 ‘자본시장법’)은 개정을 통해 사모펀드에 대한 규제를 대폭 완화하였다. 기존 자본시장법에서는 4종류로 구분하던 사모펀드 규제 체계를 2종류로 구분하여 규제 체계를 더욱 단순화하였다. 이 시기를 기점으로 사모펀드의 운용에 높은 자유도가 허용되어 사모펀드의 시장규모가 급격히 성장하였고, 2018년부터 사모펀드 발 투자피해 사례가 심심치 않게 등장하더니 2조 원대 라임펀드의 충격이 다 가시기도 전에 5천억 원대 옵티머스펀드 투자피해가 언론에 보도되고 있다. 투자에 손실이 따를 수 있음은 부정할 수 없는 부분이나, 운용자 및 판매자가 법률 및 계약상 의무를 위반하는 경우는 손실이 아니라 피해라고 보아야 한다. 이러한 부분을 투자자가 감수하도록 하여서는 시장건전성을 확보할 수 없다. 투자자보호를 위해 많은 제도적 보완이 추가되고 있지만, 투자자 피해 사례가 끊이지 않는 이유 중에는 현행의 운용사 중심의 규제도 있다고 본다. 판매자는 형식적인 판매 절차만 완수한 것으로 책임을 면하는 현재 구조에서 운용사나 운용구조에 대해 잘 알지 못한 채 판매자를 신뢰하여 금융투자상품에 가입한 투자자들의 피해를 막기 어렵다. 판매자가 하자있는 상품을 판매한 경우 그 제조상의 책임이 없을지라도 구매자는 판매자에게 책임을 물어 교환 또는 환불을 요구할 수 있는 계약상 일반원리에 비추어도 현재 금융투자상품의 판매 구조는 불합리하다고 볼 수 있다. 판매자들이 상품의 질에 대한 검토, 유지관리 혹은 하자에 대해 일차적인 책임을 지고, 이후 판매자가 운용사에게 근본적인 책임을 요구하는 형태가 되어야 한다. 최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판매자와 수탁기관의 책임을 강화하는 개선 안 또한 같은 취지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손실을 발생시킨 라임펀드의 구조적 문제와 함께 투자손실이 아닌 투자피해가 양산된 원인을 설명하고, 법리적으로 분석하여 투자자의 계약상 권리 중 취소권의 행사 요건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경제, "펀드 돌려막기 또 터졌다. 옵티머스 5000억 환매중단"

      2 지원림, "타인의 欺罔行爲에 의하여 유발된 錯誤의 取消 ― 對象判決: 대법원 2005.5.27. 선고 2004다43824 판결 (판례공보 229호, 1025면) ―" 한국민사법학회 (32) : 87-116, 2006

      3 이석준, "총수익스왑(TRS Total return swap)에 관한 연구 - 상법상 상호주식 규제여부에 대한 서울남부지법 2015. 6. 11. 2014가합4256 판결을 중으로 -" 한국상사판례학회 29 (29): 41-97, 2016

      4 이데일리, "창업자, 배신자, 수혜자‘책임공방...피해는 투자자몫"

      5 이동진, "착오개념과 취소요건 – 비교법적 고찰로부터의 시사(示唆) –" 한국법학원 178 : 5-53, 2020

      6 류혁선, "전문투자자 제도에 대한 소고" 은행법학회 12 (12): 3-36, 2019

      7 임재연, "자본시장법" 박영사 2018

      8 금융감독원, "사모펀드 현황평가 및 제도개선 방안 최종안"

      9 송덕수, "사기에 의한 의사표시와 착오의 관계 - 대법원 2005. 5. 27. 선고 2004다43824 판결* -" 법조협회 59 (59): 300-348, 2010

      10 김성욱, "법률행위의 착오와 관련한 몇 가지 법적 문제" 한국재산법학회 32 (32): 61-78, 2016

      1 한국경제, "펀드 돌려막기 또 터졌다. 옵티머스 5000억 환매중단"

      2 지원림, "타인의 欺罔行爲에 의하여 유발된 錯誤의 取消 ― 對象判決: 대법원 2005.5.27. 선고 2004다43824 판결 (판례공보 229호, 1025면) ―" 한국민사법학회 (32) : 87-116, 2006

      3 이석준, "총수익스왑(TRS Total return swap)에 관한 연구 - 상법상 상호주식 규제여부에 대한 서울남부지법 2015. 6. 11. 2014가합4256 판결을 중으로 -" 한국상사판례학회 29 (29): 41-97, 2016

      4 이데일리, "창업자, 배신자, 수혜자‘책임공방...피해는 투자자몫"

      5 이동진, "착오개념과 취소요건 – 비교법적 고찰로부터의 시사(示唆) –" 한국법학원 178 : 5-53, 2020

      6 류혁선, "전문투자자 제도에 대한 소고" 은행법학회 12 (12): 3-36, 2019

      7 임재연, "자본시장법" 박영사 2018

      8 금융감독원, "사모펀드 현황평가 및 제도개선 방안 최종안"

      9 송덕수, "사기에 의한 의사표시와 착오의 관계 - 대법원 2005. 5. 27. 선고 2004다43824 판결* -" 법조협회 59 (59): 300-348, 2010

      10 김성욱, "법률행위의 착오와 관련한 몇 가지 법적 문제" 한국재산법학회 32 (32): 61-78, 2016

      11 이은영, "민법총칙" 박영사 2005

      12 곽윤직, "민법총칙" 박영사 2007

      13 송덕수, "민법총칙" 박영사 2020

      14 이데일리, "모자펀드 TRS계약...꼬일대로 꼬였다"

      15 금융감독원, "라임자산운용에 대한 중간 검사결과 및 향후 대응방안"

      16 조선비즈, "라임자산운용, 미공개 정보 이용 혐의로 검찰 조사"

      17 MK 뉴스, "라임손실 두배로 키운 TRS...투자자들 계약전 설명 못들었다"

      18 박영목, "뉴질랜드 계약상 착오에 관한 법률에 대한 검토" 법학연구원 (86) : 413-448, 2017

      19 금융감독원, "금융분쟁조정위원회, 무역금융펀드 투자원금 전액 반환 결정"

      20 이동진, "계약위험의 귀속과 그 한계 : 사정변경, 불능, 착오" 한국비교사법학회 26 (26): 41-92, 2019

      21 양창수, "계약법" 박영사 2012

      22 송덕수, "강행법규 위반과 착오 - 대상판결: 대법원 2009. 4. 23. 선고 2008다96291, 96307 판결 -" 법학연구소 21 (21): 285-314,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2 1.12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5 1.12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