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근대계몽기 지역 학회지와 지역 문학의 근대적 태동 = A Study on Local Magazines and the Modern Signs of Local Literatures in the Era of Modern Enlighten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906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modern signs of local literatures in the local magazines in the era of modern enlightenment. At a transition to the modern times, intellectuals of the time established local societies based on their regions and conducted journal activities as part of the movement. In addition, most of the activities of these local societies and journals were based on 'enlightenment' and 'education', and were also a movement of intellectuals who tried to restore their sovereignty. These local societies, also seen as a 'cultural enlightenment movement' to prevent Japanese aggression, became seen as institutions of education and culture.
      These local journal activities were also intended to enlighten and cultivate the region and to educate in the new theology. In order to proceed with this movement dynamically, each regional journal had to assum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and reflection on the area in which it was based. In addition, within these concerns and practices, 'locality' or 'regionality', which is the foundation of intellectuals, was inspired.
      Therefore, despite the similar era and transitional keywords such as 'enlightenment', 'education', and 'jagang', intellectuals in each region thought about their 'locality' and tried to capture its sensitivity and practice of 'locality'.
      All of these intellectuals were concerned with their 'locality', expressed their perceptions of problems in accordance with their 'locality', and attempted to act with reflection, criticism, encouragement and practice. In the end, new and modern literature was produced by these practical intellectuals, with thei local sensitivity of such intellectuals was acting as the driving force for the new literature.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modern signs of local literatures in the local magazines in the era of modern enlightenment. At a transition to the modern times, intellectuals of the time established local societies based on their regions and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modern signs of local literatures in the local magazines in the era of modern enlightenment. At a transition to the modern times, intellectuals of the time established local societies based on their regions and conducted journal activities as part of the movement. In addition, most of the activities of these local societies and journals were based on 'enlightenment' and 'education', and were also a movement of intellectuals who tried to restore their sovereignty. These local societies, also seen as a 'cultural enlightenment movement' to prevent Japanese aggression, became seen as institutions of education and culture.
      These local journal activities were also intended to enlighten and cultivate the region and to educate in the new theology. In order to proceed with this movement dynamically, each regional journal had to assum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and reflection on the area in which it was based. In addition, within these concerns and practices, 'locality' or 'regionality', which is the foundation of intellectuals, was inspired.
      Therefore, despite the similar era and transitional keywords such as 'enlightenment', 'education', and 'jagang', intellectuals in each region thought about their 'locality' and tried to capture its sensitivity and practice of 'locality'.
      All of these intellectuals were concerned with their 'locality', expressed their perceptions of problems in accordance with their 'locality', and attempted to act with reflection, criticism, encouragement and practice. In the end, new and modern literature was produced by these practical intellectuals, with thei local sensitivity of such intellectuals was acting as the driving force for the new litera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근대로 변화되어가는 그 전환기에 당대 지식인들은 자신의 지역을 토대로 지역 학회를 설립하고 그 운동의 일환으로서 학회지 활동을 진행했다. 또한 이러한 지역 학회와 학회지 활동은 대부분 ‘계몽’과 ‘교육’에 바탕을 두고 이를 통해 국권을 회복시키고자 노력했던 지식인들의 실천 운동이기도 했다. 이들 지역 학회는 “문화적 계몽 운동”에 뜻을 두고 일제의 침략을 막기 위한 방편으로 ‘자강’을 내세우며, 교육과 문화로 뜻을 모았다.
      이러한 지역 학회지 활동은 그 지역의 계몽과 교화, 또 새로운 신학문에 대한 교육을 위해 이루어진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운동을 역동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 각 지역별 학회지는 자신의 토대가 되는 지역에 대한 철저한 앎과 반성이 먼저 전제되지 않으면 안 되었다. 또한 이러한 고민과 실천 안에는 지식인들의 토대가 되는 ‘로컬리티’ 즉 지역성이 스며들어 있었다. 따라서 ‘계몽’, ‘교육’, ‘자강’이라는 비슷한 시대적, 전환기적 키워드 속에서도 각 지역의 지식인들은 자신의 ‘로컬리티’를 고민하며, 그 ‘로컬리티’의 감수성과 실천을 담아내고자 했다. 이들 지식인들은 모두 자신의 토대가 되는 ‘지역’을 고민했고, 그 ‘로컬리티’에 맞는 문제의식을 표출했으며, 반성과 비판, 독려와 실천으로 행동하고자 했다. 결국 새로운 문학, 근대의 문학은 이러한 실천적 지식인들 속에서 태동하고 있었으며, 그러한 지식인들의 로컬리티적 감수성이 새로운 문학을 이끌어가는 원동력으로 작동하고 있었다.
      번역하기

      근대로 변화되어가는 그 전환기에 당대 지식인들은 자신의 지역을 토대로 지역 학회를 설립하고 그 운동의 일환으로서 학회지 활동을 진행했다. 또한 이러한 지역 학회와 학회지 활동은 대...

      근대로 변화되어가는 그 전환기에 당대 지식인들은 자신의 지역을 토대로 지역 학회를 설립하고 그 운동의 일환으로서 학회지 활동을 진행했다. 또한 이러한 지역 학회와 학회지 활동은 대부분 ‘계몽’과 ‘교육’에 바탕을 두고 이를 통해 국권을 회복시키고자 노력했던 지식인들의 실천 운동이기도 했다. 이들 지역 학회는 “문화적 계몽 운동”에 뜻을 두고 일제의 침략을 막기 위한 방편으로 ‘자강’을 내세우며, 교육과 문화로 뜻을 모았다.
      이러한 지역 학회지 활동은 그 지역의 계몽과 교화, 또 새로운 신학문에 대한 교육을 위해 이루어진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운동을 역동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 각 지역별 학회지는 자신의 토대가 되는 지역에 대한 철저한 앎과 반성이 먼저 전제되지 않으면 안 되었다. 또한 이러한 고민과 실천 안에는 지식인들의 토대가 되는 ‘로컬리티’ 즉 지역성이 스며들어 있었다. 따라서 ‘계몽’, ‘교육’, ‘자강’이라는 비슷한 시대적, 전환기적 키워드 속에서도 각 지역의 지식인들은 자신의 ‘로컬리티’를 고민하며, 그 ‘로컬리티’의 감수성과 실천을 담아내고자 했다. 이들 지식인들은 모두 자신의 토대가 되는 ‘지역’을 고민했고, 그 ‘로컬리티’에 맞는 문제의식을 표출했으며, 반성과 비판, 독려와 실천으로 행동하고자 했다. 결국 새로운 문학, 근대의 문학은 이러한 실천적 지식인들 속에서 태동하고 있었으며, 그러한 지식인들의 로컬리티적 감수성이 새로운 문학을 이끌어가는 원동력으로 작동하고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호남학보"

      2 전재관, "한말 애국계몽단체 지회의 분포와 구성" 숭실사학회 10 : 153-193, 1997

      3 권영신, "한말 서우학회의 교육구국 활동" 교육연구소 11 : 57-78, 2005

      4 임상석, "한국근대문학해제집Ⅱ" 국립중앙도서관 40-42, 2016

      5 조항래, "한국개화기학술지-교남교육회잡지" 아세아문화사 1-2, 1989

      6 백순재, "한국개화기학술지 5" 아세아문화사 1976

      7 김재영, "한국 근대문학과 신문" 동국대학교 출판부 15-46, 2012

      8 장유승, "조선후기 서북지역 문인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9 "서우"

      10 "서북학회월보"

      1 "호남학보"

      2 전재관, "한말 애국계몽단체 지회의 분포와 구성" 숭실사학회 10 : 153-193, 1997

      3 권영신, "한말 서우학회의 교육구국 활동" 교육연구소 11 : 57-78, 2005

      4 임상석, "한국근대문학해제집Ⅱ" 국립중앙도서관 40-42, 2016

      5 조항래, "한국개화기학술지-교남교육회잡지" 아세아문화사 1-2, 1989

      6 백순재, "한국개화기학술지 5" 아세아문화사 1976

      7 김재영, "한국 근대문학과 신문" 동국대학교 출판부 15-46, 2012

      8 장유승, "조선후기 서북지역 문인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9 "서우"

      10 "서북학회월보"

      11 정주아, "서북문학과 로컬리티" 소명 2014

      12 송민호, "동농 이해조와 운양 김윤식 (1) -전기적 영향 관계의 해명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회 (173) : 181-206, 2015

      13 "기호흥학회월보"

      14 김형목, "기호흥학회 경기도 지회 현황과 성격"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12-13 : 59-84, 1999

      15 문한별, "근대전환기 학회지의 서사체 투영 양상 -『서우』, 『서북학회월보』를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35) : 431-456, 2009

      16 문한별, "근대전환기 서사의 양식적 혼재와 변용 양상 -「자유재판(自由裁判)의 누문(漏聞) : 몽향필기(夢鄕筆記)」와「 이조가명(以鳥假鳴)」을 중심으로-" 국제어문학회 (52) : 177-204, 2011

      17 서형범, "근대적 인쇄매체를 통한 계몽의 담론화와呼名의 서술전략의 정합성에 대한 연구 - 『畿湖興學會月報』 창간호 소재 계몽논설의 서술전략을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회 (70) : 387-422, 2015

      18 전은경, "근대계몽기 잡지의 매체적 특징과 역사의 서사화 과정 - 『서우』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50) : 5-40, 2016

      19 전은경, "근대계몽기 서북지역 잡지의 편집 기획과 유학생 잡지의 상관관계-‘문학’ 개념의 수용 양상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회 (183) : 231-270, 2018

      20 임상석, "근대계몽기 가정학의 번역과 수용-한문 번역 『신선가정학(新選家政學)』의 유통 사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7) : 151-171, 2013

      21 손성준, "근대 동아시아의 크롬웰 변주: 영웅 담론 · 영국 政體․프로테스탄티즘" 대동문화연구원 (78) : 213-260, 2012

      22 정훈, "근대 계몽기 『호남학회월보』의 특성 연구" 국어문학회 71 (71): 301-328, 2019

      23 "교남교육회잡지"

      24 채휘균, "교남교육회의 활동 연구" 한국교육철학회 (28) : 89-110, 2005

      25 정관, "교남교육회에 대하여" 역사교육학회 10 : 95-124, 1987

      26 전은경, "『기호흥학회월보』의 ‘흥학(興學)’과 서사적 실험" 한국현대문학회 (56) : 237-273, 2018

      27 임상석, "20세기 국한문체의 형성과정" 지식산업사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3 0.99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