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최승자의 번역 텍스트와 초기시에 나타난 고통의 시학: 고호, 실비아 플라스, 짜라투스트라의 영향을 중심으로 = Poetics of Pain in the Translated Texts and the Early Poems of Choi Seung-ja: Focusing on the Influences of Gogh, Sylvia Plath, and Zarathustr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834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oet Choi Seung-ja has published so far 7 volumes of the poem collection, 2 volumes of the poetry anthology, 2 volumes of the prose collection, and about 20 volumes of the translated texts. Based on this, the present writer aims to proceed with spreading an argument from the idea as saying that there will b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lated texts and the creative poems by Choi Seung-ja. Especially, the aim is to examine the poetics of pain in the translated texts and the early poems by Choi Seung-ja, namely, the influences of Gogh, Sylvia Plath, and Zarathustra shown in the early poems by Choi Seung-ja. The aim is to figure out the priesthood-based aspect of pain through Gogh, the image of rhetorically solving pain through Sylvia Plath, and the aspect of overcoming pain through Zarathustra. Through this, the researches on Choi Seung-ja are expected to be likely capable of expanding its scope even into foreign literature beyond the phenomenon of leaning to Choi Seung-ja's poetic world. Also, poet Choi Seung-ja's poetic world will be able to be utilized as the poetic-text analytical frame through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with the translated texts.
      번역하기

      Poet Choi Seung-ja has published so far 7 volumes of the poem collection, 2 volumes of the poetry anthology, 2 volumes of the prose collection, and about 20 volumes of the translated texts. Based on this, the present writer aims to proceed with spread...

      Poet Choi Seung-ja has published so far 7 volumes of the poem collection, 2 volumes of the poetry anthology, 2 volumes of the prose collection, and about 20 volumes of the translated texts. Based on this, the present writer aims to proceed with spreading an argument from the idea as saying that there will b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lated texts and the creative poems by Choi Seung-ja. Especially, the aim is to examine the poetics of pain in the translated texts and the early poems by Choi Seung-ja, namely, the influences of Gogh, Sylvia Plath, and Zarathustra shown in the early poems by Choi Seung-ja. The aim is to figure out the priesthood-based aspect of pain through Gogh, the image of rhetorically solving pain through Sylvia Plath, and the aspect of overcoming pain through Zarathustra. Through this, the researches on Choi Seung-ja are expected to be likely capable of expanding its scope even into foreign literature beyond the phenomenon of leaning to Choi Seung-ja's poetic world. Also, poet Choi Seung-ja's poetic world will be able to be utilized as the poetic-text analytical frame through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with the translated tex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승자 시인은 지금까지 7권의 시집과 2권의 시선집, 2권의 산문집, 20여 권의 번역서를 출간했다. 이에 근거하여 필자는 최승자 시인의 번역 텍스트와 창작시 간에 영향 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발상에서 논지를 펼쳐 나가기로 한다. 특히 최승자의 번역 텍스트와 초기시에 나타난 고통의 시학, 즉 최승자의 초기시에 나타난 고호와 실비아 플라스, 짜라투스트라의 영향을 살펴보기로 한다. 고호를 통해서 고통의 사제적인 면을, 실비아 플라스를 통해서 고통을 수사학적으로 풀어내는 모습을, 짜라투스트라를 통해서 고통을 극복하는 면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를 통해 최승자에 관한 연구들이 최승자 시세계에 쏠려 있는 현상을 넘어서서 그 범위를 외국문학으로까지 확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최승자 시인의 시세계를 번역 텍스트와의 영향 관계를 통해 시 텍스트 해석틀로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최승자 시인은 지금까지 7권의 시집과 2권의 시선집, 2권의 산문집, 20여 권의 번역서를 출간했다. 이에 근거하여 필자는 최승자 시인의 번역 텍스트와 창작시 간에 영향 관계가 있을 것이라...

      최승자 시인은 지금까지 7권의 시집과 2권의 시선집, 2권의 산문집, 20여 권의 번역서를 출간했다. 이에 근거하여 필자는 최승자 시인의 번역 텍스트와 창작시 간에 영향 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발상에서 논지를 펼쳐 나가기로 한다. 특히 최승자의 번역 텍스트와 초기시에 나타난 고통의 시학, 즉 최승자의 초기시에 나타난 고호와 실비아 플라스, 짜라투스트라의 영향을 살펴보기로 한다. 고호를 통해서 고통의 사제적인 면을, 실비아 플라스를 통해서 고통을 수사학적으로 풀어내는 모습을, 짜라투스트라를 통해서 고통을 극복하는 면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를 통해 최승자에 관한 연구들이 최승자 시세계에 쏠려 있는 현상을 넘어서서 그 범위를 외국문학으로까지 확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최승자 시인의 시세계를 번역 텍스트와의 영향 관계를 통해 시 텍스트 해석틀로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승희, "한국 현대 여성시의 고백시적 경향과 언술 특성-최승자, 박서원, 이연자를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18 (18): 235-270, 2007

      2 김정신, "최승자 시에 나타난 부정의 정신" 현대문학이론학회 (58) : 183-207, 2014

      3 김정신, "최승자 시에 나타난 ‘자기고백’의 의미" 현대문학이론학회 (54) : 55-76, 2013

      4 프리드리히 니체,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청하 1984

      5 강영계,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하였다의 실존적 의미" 26 : 1994

      6 최승자, "즐거운 日記" 문학과지성사 1984

      7 알프레드 알바레즈, "자살의 연구" 청하 1982

      8 천정환, "자살론" 문학동네 2013

      9 최승자, "이 時代의 사랑" 문학과지성사 1981

      10 김정휘, "실비아 플라스의 고백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1

      1 김승희, "한국 현대 여성시의 고백시적 경향과 언술 특성-최승자, 박서원, 이연자를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18 (18): 235-270, 2007

      2 김정신, "최승자 시에 나타난 부정의 정신" 현대문학이론학회 (58) : 183-207, 2014

      3 김정신, "최승자 시에 나타난 ‘자기고백’의 의미" 현대문학이론학회 (54) : 55-76, 2013

      4 프리드리히 니체,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청하 1984

      5 강영계,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하였다의 실존적 의미" 26 : 1994

      6 최승자, "즐거운 日記" 문학과지성사 1984

      7 알프레드 알바레즈, "자살의 연구" 청하 1982

      8 천정환, "자살론" 문학동네 2013

      9 최승자, "이 時代의 사랑" 문학과지성사 1981

      10 김정휘, "실비아 플라스의 고백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1

      11 박주영, "실비아 플라스와 최승자 시에 나타난 여성분노의 미학적 승화" 국제비교한국학회 20 (20): 249-288, 2012

      12 김수영, "시작 노우트" 민음사 1996

      13 어빙 스톤, "빈센트, 빈센트, 빈센트 반 고호" 까치 1981

      14 빈센트 반 고흐, "반 고흐, 영혼의 편지" 예담 1999

      15 파스칼 보나푸, "반 고흐 태양의 화가" 시공사 1995

      16 장석주, "나는 문학이다" 나무이야기 2009

      17 빈센트 반 고흐, "고흐의 편지 (1권, 2권)" 펭귄클래식 코리아 2011

      18 A. E. 와일더 스미스, "고통의 역설" 심지 1983

      19 손봉호, "고통받는 인간"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20 실비아 플라스, "巨像" 청하 19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68 1.285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