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 문화적응 스트레스, 주관적 건강수준간의 사회적지지 조절효과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1854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15년 통계에 따르면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은 1143087명이며. 그 중에서 국제결혼을 통한 거주자는 149165명이다. 한국에서는 3/4에 가까운 국제결혼이 모두 한국의 남성과 외국의 여성의...

      2015년 통계에 따르면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은 1143087명이며. 그 중에서 국제결혼을 통한 거주자는 149165명이다. 한국에서는 3/4에 가까운 국제결혼이 모두 한국의 남성과 외국의 여성의 결혼이다(출입국ㆍ외국인정책본부, 2015). 이는 한국이 다문화 사회로 이행하고 있음과 동시에 다문화 사회에 대한 관심에서도 결혼 이주여성에 대한 관심이 더욱 중요함을 보여 주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주관적 건강수준은 객관적으로 측정된 임상검사보다 주관적인 면이 있으나, 사망과의 밀접한 관련성 때문에 인구집단의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데 있어서 정확하고, 믿을만한 지표로 광범위하게 활용되어 왔다(Idler 1997; Kaplan,1983).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한국인의 건강 상태와 의료기관 이용’ 보고서를 통해 ‘OECD 건강통계’에서 만 15세 이상 한국인의 35.1%만 자신의 건강상태가 ‘좋다’고 생각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주관적 건강이 40%를 안 넘는 나라는 한국과 일본뿐이었다. 건강상태를 좋게 본 한국인 비율은 OECD 평균인 69.2%의 절반을 조금 넘는 수준이다(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01). 지금 한국에서 주관적 건강 문제가 심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결혼이민여성 역시 주관적 건강 상태가 어떠한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 하다.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서로 다른 문화의 지속적이고 직접적인 접촉을 통한 문화변화에서 개인의 행동과 내적 성격이 변화하는 문화적응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신건강상의 문제를 설명하기 위해 제안된 개념이다(이무영, 2010). 2014년 UN 인종 차별 특별 보고관은 한국의 이민자 실태조사에 따르면, 한국사회 중에 “심각한 인종차별”이 존재함을 말하고, 구체적인 통계 수집 등을 통해 이주민들이 받은 배제나 차별의 정도를 살펴볼 필요성을 제기하였다(이정훈, 2014). 이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많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주관적 건강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두 관계 사이에서 사회적 지지가 어느 정도 조절효과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결혼이민여성자의 관련 정책 개발의 기초자료에 부응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결혼이민여성의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조절변수인 사회적 지지에 따라 결혼이민여성의 주관적 건강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도 살펴보기 위해 아래와 같은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인구사회학적 변수로는 결혼상태, 연령, 국적, 교육수준, 입국연도가 사용 되었다.
      본 연구는 결혼 이주여성들이 느끼는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주관적 건강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여성가족부에서 실시한 ‘2012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를(결혼 이주여성은 총 12,324명) 통해서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주관적 건강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유무를 검정하기 위하여 조절회귀분석(moderated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차별경험, 생활방식과 문화가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수준이 낮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국가족의 사회적 지위에서는 주관적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 가족의 사회적 지위가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수준이 낮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모국인((2)일자리; (4)여가나 취미 생활), 한국인의 지지(3)자녀교육)와 기타 외국인(4)여가나 취미생활)사회지지가 많을수록 주관적 건강수준이 높을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지지가 아무도 없음(2)일자리; 4)여가나 취미생활)이 많을수록 주관적 건강 수준이 낮을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수준에서는 한국어 교육, 한국 사회적응 교육 경험 지지수준이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total number of foreigners who resides in South Korea has reached 1,143,087, among which 149,165 of the residents immigrated to South Korea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 and that the cases of Korea men marrying foreign ...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total number of foreigners who resides in South Korea has reached 1,143,087, among which 149,165 of the residents immigrated to South Korea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 and that the cases of Korea men marrying foreign women accounted for approximately 75% based upon the statistical date published by immigration office in 2015. However, considerable prejudice against the multi-cultural society still exist. The main bias lies in the cultural and social differences between husband and wife since the majority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are from developing countries.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thesis aims to discover the essentiality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receiving social recognition and positive judgment as fairly-treated individuals. It cannot be purely considered as an individual issue, but also refers to a diplomatic issue to some extent, consequently, positive intervention of related social welfare department should be discussed.
       Compared with objective-orientated clinical test, self-rated health level is apt to be more subjective. It was found that only 35.1% Korean over 15 stated in good status of health according to a report concerning Korean’s status of health and expenditure of visiting medical institutions, and that Korea and Japan are the only two nations whose self-perceived health rate is below 40%. As the problem turns out to be much more critical, it seems to be more essential to study self-rated health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order to alleviate the acculturation stress, Berry and Kim pointed out a dominant factor which is social support. Status of marriage, age, nationality, level of education and entry year are the basic variables in terms of demographic sociology.
       In this study, in order to comprehend to what extent the influence of perceived acculturation stress on self-rated health, a nationwide research on actual condition in 12,324 multi-cultural families was conducted.
       The statistical methodology along with the final results of the study are interpreted as follow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tilized to deal with the influence of acculturation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self-rated health level, while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was implemented to determine whether and to what extent social support has regulation effect on self-rated health.
       With regard to the results of the study, it appears that the stronger discrimination culture is, the lower self-rated health level will be. Moreover, it is illustrated that on one hand the social status in one’s home country has no direct effect on the self-rated health, whereas, on the other hand, the higher social status in Korea is, the lower self-rated health level will be. Furthermore, the more social support can be offered, the better self-rated health will be. In the case of individuals from home country, job and leisure are regarded as primary concerns. In the meanwhile, in the case of Korean people, the education of children comes first; while in the case of other foreigners, leisure seems to be the main topic. On the contrary, it represents inversely proportional to self-rated health level. In addition, there is no dominant evidence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or Korean culture education correlates with self-rated health.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