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더하기’교육과 ‘빼기’교육 간의 조화를 위한 시도에서 이루어졌다. 지금까지의 도덕교육은 기존의 도덕적 지식 위에 새로운 도덕적 지식을 더하는 ‘더하기’ 중심의 도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302071
2006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63-290(28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더하기’교육과 ‘빼기’교육 간의 조화를 위한 시도에서 이루어졌다. 지금까지의 도덕교육은 기존의 도덕적 지식 위에 새로운 도덕적 지식을 더하는 ‘더하기’ 중심의 도덕...
본 연구는 ‘더하기’교육과 ‘빼기’교육 간의 조화를 위한 시도에서 이루어졌다. 지금까지의 도덕교육은 기존의 도덕적 지식 위에 새로운 도덕적 지식을 더하는 ‘더하기’ 중심의 도덕교육이 주류였다. 도덕교육은 도덕적 행동을 궁극적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도덕적 지식 뿐 아니라 도덕적 행동을 저해하는 다양한 요인들의 제거를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도덕교육은 도덕적 지식교육과 함께 학습자가 안고 있는 도덕적 행동에 장애가 되는 장애요인을 찾아 조절하고 제거하는 ‘빼기’교육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즉 지금까지 행해왔던 도덕적 지식의 ‘더하기’ 교육과 도덕적 장애요인에 대한 ‘빼기’교육의 상호 조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오랜 동안 바른 도덕성 함양을 위해 노력해온 도덕교육이 심하게 질타 받고 있는 것은 더하기 중심의 편협한 교육이 빚어낸 결과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더하기’ 중심 교육의 지속은 손상된 도덕교육의 회복을 어렵게 만드는 원인이 될 뿐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제는 도덕교육에서 ‘빼기’ 교육의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 마땅하다고 본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탈학습’의 이론을 토대로 도덕교육에 있어 ‘빼기’교육의 원리를 제시하고 ‘탈학습’의 원리를 토대로 하는 목표설정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제안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he harmony of, what I call "plus and minus education". Until now, moral education has centered on "plus education" which teaches only much moral knowledge. This causes much difficulty achieving the purpose of moral education. For ...
This study attempts the harmony of, what I call "plus and minus education". Until now, moral education has centered on "plus education" which teaches only much moral knowledge. This causes much difficulty achieving the purpose of moral education. For example, people don't put them into action even though they have learned lots of good things through their teachers. For this reason, we need to restraint "plus-centered education", and should think there will be something we don't put much moral knowledge into action and should have much concern for it and should remove the unnecessary obstacles which moral knowledge is not connected into moral actions in moral education. Therefore, this article emphasizes moral education, not as education eliminating it. That is, it means necessity of the harmony of "plus and minus education", and we need to reconsider the existing "plus-centered educa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신 교육학개론" 교육과학사 1997
2 "속독학습과 발달과정중에 나타내는 탈학습개념화탐구" 서원대학교 교육연구소 21 (21): 2002
3 "서양교육사상사" 양서원 2001
4 "도덕과 교육과정" 교육부 1998
5 "도덕과 교사용지도서"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4
6 "도덕과 교사용지도서"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5
7 "도덕과 교사용지도서"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3
8 "교육철학개론" 박영사 1979
9 "교육과 교육학" 배영사 1969
1 "최신 교육학개론" 교육과학사 1997
2 "속독학습과 발달과정중에 나타내는 탈학습개념화탐구" 서원대학교 교육연구소 21 (21): 2002
3 "서양교육사상사" 양서원 2001
4 "도덕과 교육과정" 교육부 1998
5 "도덕과 교사용지도서"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4
6 "도덕과 교사용지도서"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5
7 "도덕과 교사용지도서"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3
8 "교육철학개론" 박영사 1979
9 "교육과 교육학" 배영사 1969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4-12-23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Mor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Moral & Ethics Education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23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도덕윤리과교육외국어명 : Journal of Moral & Ethics Education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6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9 | 0.57 | 0.961 | 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