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지상원격측정 MAX-DOAS 시스템과 위성 OMI센서로 서울에서 산출된 이산화질소 층적분농도의 비교연구 = Comparison of Nitrogen Dioxide Retrieved by MAX-DOAS and OMI measurements in Seou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459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O2 vertical column densities were retrieved via ground based Multi-Axis Differential Optical Absorption Spectroscopy (MAX-DOAS) measurements for the first time for 6 months over the spring season in 2007 and 2008 in Seoul, one the megacities in the N...

      NO2 vertical column densities were retrieved via ground based Multi-Axis Differential Optical Absorption Spectroscopy (MAX-DOAS) measurements for the first time for 6 months over the spring season in 2007 and 2008 in Seoul, one the megacities in the Northeast Asia. The retrieved NO2 vertical column densities we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from space borneOzone Monitoring Instrument (OMI). Over the entire measurement period, the NO2 vertical column densities measured by MAX-DOAS ranged from 1.0×10 15 molec · cm -2 to 6.0×10 16 molec · cm -2 while those obtained by OMI ranged 1.0×10 15 molec · cm -2 to 7.0×10 16 molec · cm -2.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NO2 vertical column densities obtained from MAX-DOAS and OMI is 0.73 for the entire measurement period wherea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0.85 is found for the dates under the clear sky condition. The cloudy condition is thought to play a major role in increase in uncertainty of the retrieved OMI NO2 vertical column densities since air mass factor may induce high uncertainty due to the lack of cloud and aerosol vertical distribution inform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2007년과 2008년 봄 기간 중 동북아 지역의 주요 메가시티 중 하나인 서울에서 Multi-Axis Differential Optical Absorption Spectroscopy(MAX-DOAS) 관측을 처음으로 수행하고, 측정된 스펙트럼의 ...

      본 연구에서는 2007년과 2008년 봄 기간 중 동북아 지역의 주요 메가시티 중 하나인 서울에서 Multi-Axis Differential Optical Absorption Spectroscopy(MAX-DOAS) 관측을 처음으로 수행하고, 측정된 스펙트럼의 차등흡수분광 분석을 통하여 이산화질소의 수직층적분농도를 산출 하였다. MAXDOAS로부터 산출된 값들과 Ozone Monitoring Instrument(OMI) 위성센서로부터 산출된 서울지역의 대류권 이산화질소 산출물과의 비교를 통하여 OMI로부터 산출된 이산화질소 수직층적분농도의 상대적 정확성 규명을 수행하였다. MAX-DOAS로터 산출된 이산화질소는 1.0×10 15 molec · cm-2에서 6.0×10 16 molec · cm -2 정도 분포로 보였으며, OMI의 대류권 수직층적분농도는 1.0×10 15 molec · cm -2에서 7.0×10 16 molec · cm -2 정도 분포로 보였다. 관측전체기간인 6개월 동안 두 관측결과의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상관계수(R)는 0.73으로 비교적 양호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구름이 없는 기간 동안에는 상관계수가 0.85로 두 관측결과의 높은 상관관계는 확인 할 수 있었다.두 센서의 산출알고리즘 모두 구름이 있을 경우 대기질량인자의 계산에 있어서 높은 불확실성으로 인해 이산화질소농도의 산출오차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Voigt, S., "UV-visible absorption cross-sections of NO2 and O3 at atmospheric temperatures and pressures by FTS, Proc. of the First European Symposium on Atmospheric Measurements from Space (ESAMS-99)" European Space Agency 443-465, 1999

      2 Vandaele, A. C., "SO2 absorption cross section measurement in the UV using Fourier transform spectrometer" 99 : 25599-25605, 1994

      3 Boersma, K.F., "Near-real time retrieval of tropospheric NO2 from OMI" 7 : 2103-2118, 2007

      4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National Air Quality and Emissions Trends Report 1997"

      5 Hönninger, G., "Multi axis differential opticalabsorption spectroscopy (MAX-DOAS)" 4 : 231-254, 2004

      6 Shin, D.S., "Geometric Modeling and Coordinate Transformation of Satellite-Based Linear Pushbroom-Type CCD Camera Images" 13 (13): 85-98, 1997

      7 Platt, U., "Differential Optical Absorption Spectroscopy: Principles and Applications" Springer Verlag 2008

      1 Voigt, S., "UV-visible absorption cross-sections of NO2 and O3 at atmospheric temperatures and pressures by FTS, Proc. of the First European Symposium on Atmospheric Measurements from Space (ESAMS-99)" European Space Agency 443-465, 1999

      2 Vandaele, A. C., "SO2 absorption cross section measurement in the UV using Fourier transform spectrometer" 99 : 25599-25605, 1994

      3 Boersma, K.F., "Near-real time retrieval of tropospheric NO2 from OMI" 7 : 2103-2118, 2007

      4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National Air Quality and Emissions Trends Report 1997"

      5 Hönninger, G., "Multi axis differential opticalabsorption spectroscopy (MAX-DOAS)" 4 : 231-254, 2004

      6 Shin, D.S., "Geometric Modeling and Coordinate Transformation of Satellite-Based Linear Pushbroom-Type CCD Camera Images" 13 (13): 85-98, 1997

      7 Platt, U., "Differential Optical Absorption Spectroscopy: Principles and Applications" Springer Verlag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7-24 학술지등록 한글명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44 0.725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