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어린이 복합문화예술공간 연구 : 국내외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Research into multi culture and art complex for children : focusing on case stud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891470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0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 예술기획전공 , 2003. 8

      • 발행연도

        2003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600.13 판사항(4)

      • DDC

        708.0083 판사항(20)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v, ii, 110p. : 삽도 ; 26cm .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84-88

      • 소장기관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문정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금 세계 여러 나라에서 어린이 문화예술공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다양한 복합문화예술공간의 확충에 많은 관심과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많은 어린이 문화공간들이 설립되고 있다. 이것은 자국의 문화에 대한 이해와 가치를 인식하게 함으로서 고유의 문화를 보존, 발전시키기 위한 것뿐만 아니라 재창조로 인한 문화의 발달과 인류의 발달 그리고 한 인간으로서의 풍요로운 삶을 누리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고 본다.
      1980년대 들어서 예술의 전당을 비롯하여 주요 도시에 대형 복합문화공간을 세워지기 시작했다. 그러나 어린이의 특성이나 성장발달에 맞는 어린이전용 복합문화예술공간의 설립은 아직 전후무한 상태이다. 어린이나 청소년에게 예술의 즐거움과 앎의 기회, 문화 예술적 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다음 세기를 이끌어 가는 데에 있어 사회적 투자로서 가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좀더 풍요로운 삶을 살아갈 수 있는 밑거름이 되기도 한다. 또한 입시위주의 주입식 교육이 어린이나 청소년의 창의성을 소멸시키고 상상력 또한 배제시키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점차 문화예술의 중요성은 더더욱 인식되고 이것을 바탕으로 문화예술을 체험하고 참여하고 느낄 수 있는 즉, 어린이들만의 복합문화예술공간이 필요함을 느끼게 된다. 질 높은 교육과 문화예술적인 환경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인 대안으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며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의 어린이 복합문화예술공간의 수는 극소수이며 어린이의 수에 비해 복합문화예술공간은 턱없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어린이뿐만 아니라 현대인들의 문화예술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시설들이 미비하며 인구에 비해 공간의 수도 적은 편이다. 특히 신체적으로 활발한 어린이들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문화예술적인 여가 환경이 제공되고 있지 않다. 어린이에게 다양하고 참여적인 문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은 자라나는 세대에 대한 사회적인 투자로서 가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디지털 정보사회가 해체시키고 있는 교육 환경의 분산 현상에 대비하는 차원에서도 그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입시위주의 교육방식에서 벗어나고 학교에서 채워주지 못하는 부분을 충족시켜줄 수 있는 좀더 자유로운 표현과 체험의 장소로서도 복합문화예술공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어린이 복합문화예술공간은 어린이에게 '체험'으로서의 참여와 '놀이'로서의 문화예술학습의 공간환경을 제공해줄 수 있는 대안으로서 그 사회적 중요성이 강조될 것이다. 현재 세계적으로 어린이 복합문화예술공간이 급증하고 있는 것은 바로 이러한 추세를 반영해주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앞으로의 문화예술발전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줄이고 나아가 우리 현실에 맞는 공간을 설립하고 운영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기 위해서 이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어린이 복합문화예술공간에 대한 지식기반 구축에 기여하기 위해 문헌과 실제 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주요 개념과 국내외 공간에 대한 연구, 분석과 함께 국내 어린이 복합문화예술공간의 문제점을 파악한다. 그럼으로써 지역사회에서 어린이 복합문화예술공간 설립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 함께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첫째, 기본적인 문헌고찰을 통해 복합문화예술공간의 개념, 필요성, 기능, 역할, 특성을 살펴보고, 관람객인 어린이 성장발달에 따른 특성과 어린이의 문화적 권리를 파악하여 연구자의 관점에 따라 개념들을 구조적으로 체계화하였다. 둘째, 체계화한 구조들을 가지고 분석의 개념적인 틀로 만들어 실제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는 분석하기 전에 실제사례에 대한 기본 정보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기본적인 문헌고찰로서 그 바탕을 이루고 실제 사례를 연구하기 위해 국내외 어린이 복합문화예술공간의 현황을 살펴보고, 사례분석을 위한 연구방법과 범위, 선정기준을 설정하고 문헌고찰의 개념들을 체계화한 것으로 분석틀을 만들어 사례를 분석, 연구했다. 이에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했다. 국내외 어린이 복합문화예술공간에 대한 실제 사례를 연구함으로써 어린이들의 성장발달과 우리나라의 상황에 맞는 문화공간을 확립하고 어린이에 맞는 '놀이'와 '체험'형태의 공간들이 형성되어 문화적 권리를 누릴 수 있어야 한다.
      복합문화예술공간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대안으로는 복합문화예술공간 설립이념을 확실히 할 수 있는 기초 작업을 탄탄하게 하고 구체적인 실천방법을 명확히 제시, 정립하여야 하며 실천방법에 대한 합리적이고 정확한 공간 경영계획과 전문인력을 확보하여 효율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체계적인 조직과 안정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사회나 문화에 즉각적인 변화를 추구해야 하며 현대인들의 다양한 욕구를 맞춰 나갈 수 있는 연구와 안목이 필요하다. 연구의 성과물이 단지 성과물로서만의 기능을 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문화공간과 연관이 되어 활용할 수 있는 연구작업으로서의 관계의 끈을 지속적으로 연계해야 한다. 이로써 예술과 연구물과의 연관선 상에서 장점은 더해지고 단점은 보완될 수 있는 즉시, 각 공간에 반영되고 효율적으로 변화되고 운영됨으로서 문제점을 발견시 즉각적으로 대응하고 보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으로서의 변화와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이는 연구 작업물과 예술문화공간과의 연관 그리고 예술적 활동 및 안정되고 특화된 참여 교육 프로그램, 체계적이고 탄탄한 현장의 정보를 공유하고 공개함으로서 올바른 복합문화예술공간운영의 방법이며 활성화 방안이다. 이는 우리나라가 가지고 있는 문화예술공간에 대한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 할 수 있는 대안이 될 것이다.
      복합문화예술공간은 전문성을 갖춘 인력을 충분히 활용하고 지역 시민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함으로서 지역시민들에 의해서 이끌어 가는 복합문화예술공간임을 인식시켜야 한다. 이로써 현실적으로 많이 부딪칠 수 있는 문제점들이 최소화함으로서 어린이만의 문화공간뿐만 아니라 지역 시민에게도 휴식의 공간, 예술의 공간, 참여의 공간, 열린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다해야 것이다.
      본 연구는 어린이 복합문화예술공간에 대한 연구가 미미한 상황과 분산되어 있는 개념들을 종합하고 어린이 복합문화예술공간의 필요성과 함께 그 대안점을 제시하고자 했다. 기본의 이론적 고찰과 실제 사례분석을 이용, 연구함으로써 본 연구가 이론적인 부분은 물론 실제 어린이 복합문화예술공간의 실무자나 지역사회에서 건립시 본 연구물을 적극적으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어린이 복합문화예술공간 연구를 활성화시키고 이에 따라 어린이의 특성에 맞는 질 좋은 복합문화예술공간의 설립, 운영되기를 기대하며 각종 어린이 문화예술부분의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복합문화예술공간은 인위적인 공간이긴 하지만 현대인의 삶에 자신의 삶을 재조명해 보는 기회를 가져다주는 필수적인 공간으로 가꾸어 가야 할 것이다. 그래서 현대인들의 메마른 정서를 회생시키고 개성있고 역동적인 삶을 사는데 효율적으로 복합문화예술공간을 관리, 운영할 수 있는 기관과 어린이에 맞는 복합문화예술공간들이 생기길 바란다.
      번역하기

      지금 세계 여러 나라에서 어린이 문화예술공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다양한 복합문화예술공간의 확충에 많은 관심과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많은 어린이 문화공간들이 설립되고 있다. ...

      지금 세계 여러 나라에서 어린이 문화예술공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다양한 복합문화예술공간의 확충에 많은 관심과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많은 어린이 문화공간들이 설립되고 있다. 이것은 자국의 문화에 대한 이해와 가치를 인식하게 함으로서 고유의 문화를 보존, 발전시키기 위한 것뿐만 아니라 재창조로 인한 문화의 발달과 인류의 발달 그리고 한 인간으로서의 풍요로운 삶을 누리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고 본다.
      1980년대 들어서 예술의 전당을 비롯하여 주요 도시에 대형 복합문화공간을 세워지기 시작했다. 그러나 어린이의 특성이나 성장발달에 맞는 어린이전용 복합문화예술공간의 설립은 아직 전후무한 상태이다. 어린이나 청소년에게 예술의 즐거움과 앎의 기회, 문화 예술적 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다음 세기를 이끌어 가는 데에 있어 사회적 투자로서 가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좀더 풍요로운 삶을 살아갈 수 있는 밑거름이 되기도 한다. 또한 입시위주의 주입식 교육이 어린이나 청소년의 창의성을 소멸시키고 상상력 또한 배제시키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점차 문화예술의 중요성은 더더욱 인식되고 이것을 바탕으로 문화예술을 체험하고 참여하고 느낄 수 있는 즉, 어린이들만의 복합문화예술공간이 필요함을 느끼게 된다. 질 높은 교육과 문화예술적인 환경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인 대안으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며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의 어린이 복합문화예술공간의 수는 극소수이며 어린이의 수에 비해 복합문화예술공간은 턱없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어린이뿐만 아니라 현대인들의 문화예술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시설들이 미비하며 인구에 비해 공간의 수도 적은 편이다. 특히 신체적으로 활발한 어린이들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문화예술적인 여가 환경이 제공되고 있지 않다. 어린이에게 다양하고 참여적인 문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은 자라나는 세대에 대한 사회적인 투자로서 가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디지털 정보사회가 해체시키고 있는 교육 환경의 분산 현상에 대비하는 차원에서도 그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입시위주의 교육방식에서 벗어나고 학교에서 채워주지 못하는 부분을 충족시켜줄 수 있는 좀더 자유로운 표현과 체험의 장소로서도 복합문화예술공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어린이 복합문화예술공간은 어린이에게 '체험'으로서의 참여와 '놀이'로서의 문화예술학습의 공간환경을 제공해줄 수 있는 대안으로서 그 사회적 중요성이 강조될 것이다. 현재 세계적으로 어린이 복합문화예술공간이 급증하고 있는 것은 바로 이러한 추세를 반영해주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앞으로의 문화예술발전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줄이고 나아가 우리 현실에 맞는 공간을 설립하고 운영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기 위해서 이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어린이 복합문화예술공간에 대한 지식기반 구축에 기여하기 위해 문헌과 실제 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주요 개념과 국내외 공간에 대한 연구, 분석과 함께 국내 어린이 복합문화예술공간의 문제점을 파악한다. 그럼으로써 지역사회에서 어린이 복합문화예술공간 설립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 함께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첫째, 기본적인 문헌고찰을 통해 복합문화예술공간의 개념, 필요성, 기능, 역할, 특성을 살펴보고, 관람객인 어린이 성장발달에 따른 특성과 어린이의 문화적 권리를 파악하여 연구자의 관점에 따라 개념들을 구조적으로 체계화하였다. 둘째, 체계화한 구조들을 가지고 분석의 개념적인 틀로 만들어 실제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는 분석하기 전에 실제사례에 대한 기본 정보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기본적인 문헌고찰로서 그 바탕을 이루고 실제 사례를 연구하기 위해 국내외 어린이 복합문화예술공간의 현황을 살펴보고, 사례분석을 위한 연구방법과 범위, 선정기준을 설정하고 문헌고찰의 개념들을 체계화한 것으로 분석틀을 만들어 사례를 분석, 연구했다. 이에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했다. 국내외 어린이 복합문화예술공간에 대한 실제 사례를 연구함으로써 어린이들의 성장발달과 우리나라의 상황에 맞는 문화공간을 확립하고 어린이에 맞는 '놀이'와 '체험'형태의 공간들이 형성되어 문화적 권리를 누릴 수 있어야 한다.
      복합문화예술공간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대안으로는 복합문화예술공간 설립이념을 확실히 할 수 있는 기초 작업을 탄탄하게 하고 구체적인 실천방법을 명확히 제시, 정립하여야 하며 실천방법에 대한 합리적이고 정확한 공간 경영계획과 전문인력을 확보하여 효율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체계적인 조직과 안정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사회나 문화에 즉각적인 변화를 추구해야 하며 현대인들의 다양한 욕구를 맞춰 나갈 수 있는 연구와 안목이 필요하다. 연구의 성과물이 단지 성과물로서만의 기능을 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문화공간과 연관이 되어 활용할 수 있는 연구작업으로서의 관계의 끈을 지속적으로 연계해야 한다. 이로써 예술과 연구물과의 연관선 상에서 장점은 더해지고 단점은 보완될 수 있는 즉시, 각 공간에 반영되고 효율적으로 변화되고 운영됨으로서 문제점을 발견시 즉각적으로 대응하고 보완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으로서의 변화와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이는 연구 작업물과 예술문화공간과의 연관 그리고 예술적 활동 및 안정되고 특화된 참여 교육 프로그램, 체계적이고 탄탄한 현장의 정보를 공유하고 공개함으로서 올바른 복합문화예술공간운영의 방법이며 활성화 방안이다. 이는 우리나라가 가지고 있는 문화예술공간에 대한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 할 수 있는 대안이 될 것이다.
      복합문화예술공간은 전문성을 갖춘 인력을 충분히 활용하고 지역 시민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함으로서 지역시민들에 의해서 이끌어 가는 복합문화예술공간임을 인식시켜야 한다. 이로써 현실적으로 많이 부딪칠 수 있는 문제점들이 최소화함으로서 어린이만의 문화공간뿐만 아니라 지역 시민에게도 휴식의 공간, 예술의 공간, 참여의 공간, 열린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다해야 것이다.
      본 연구는 어린이 복합문화예술공간에 대한 연구가 미미한 상황과 분산되어 있는 개념들을 종합하고 어린이 복합문화예술공간의 필요성과 함께 그 대안점을 제시하고자 했다. 기본의 이론적 고찰과 실제 사례분석을 이용, 연구함으로써 본 연구가 이론적인 부분은 물론 실제 어린이 복합문화예술공간의 실무자나 지역사회에서 건립시 본 연구물을 적극적으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어린이 복합문화예술공간 연구를 활성화시키고 이에 따라 어린이의 특성에 맞는 질 좋은 복합문화예술공간의 설립, 운영되기를 기대하며 각종 어린이 문화예술부분의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복합문화예술공간은 인위적인 공간이긴 하지만 현대인의 삶에 자신의 삶을 재조명해 보는 기회를 가져다주는 필수적인 공간으로 가꾸어 가야 할 것이다. 그래서 현대인들의 메마른 정서를 회생시키고 개성있고 역동적인 삶을 사는데 효율적으로 복합문화예술공간을 관리, 운영할 수 있는 기관과 어린이에 맞는 복합문화예술공간들이 생기길 바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culture and art centers for children, many countries in the world are putting their interest and investment in increasing the number of spots for various culture and art centers and building many culture and art centers for children. The purpose of such actions is to conserve their national heritage by giving people a chance to understand their own culture and be aware of its value. It is also to develop their culture, watch human progress and provide people with an environment to live an abundant life as a human being by means of recreation.
      At the beginning of 1980's, huge multi culture centers such as Seoul Arts Center began to be constructed in the major cities in Korea. However, no culture and art centers only for children which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and growth of children have been founded. It will be a valuable thing in terms of social investment and the basis for better life to provide children and youngsters with a chance to enjoy and get some knowledge of arts in the cultural and artistic environment. Culture and art is being concerned as an important matter in Korea where the cramming education for university entrance has somehow annihilated children's initiative spirits and imagination. Under that circumstance, multi culture and art complex for children is regarded as a necessary place where they can be involved in culture and art by experiencing it themselves. It is being proposed as an effective plan to offer culture and art centers as well as qualitative education and the plan is getting a lot of attention.
      However, in reality, the number of the multi culture and art complexes for children in Korea is extremely low compared to the number of children. The culture and art facilities which can satisfy children's and adults' demand are not fully prepared and there aren't enough facilities for the population. Especially, the environment with culture and art for children who are physically active has not been provided. From the viewpoint of social investment into the rising generation and preparation for the decentralization of education environment that the trend of digital information society results in, it will be valuable to offer various culture programs that children can take part in. Also, culture and art centers are needed as a place where younger generation can express more freely and experience things that can hardly be learned inside school by getting out of the cramming education for university entrance. From those points of view, culture and art complex for children will be considered as a socially important plan that can provide children with the environment where they can learn culture and art for 'pleasure' and participate in culture and art activities for 'experience'.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multi culture and art centers that is happening now reflects the trends that have been mentioned so far. In the case of my country, Korea, it is necessary to get organized information to lower the amount of trials and errors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culture and art and to establish realistic places and operate them efficiently.
      In this research, alternative plans are proposed for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lack of studies on multi culture and art centers for children in Korea, together with the necessity of those centers. Since this research includes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case study, I hope that it will be used positively in both theory and practice for the foundation of culture and art complex for children. I also wish that this research will be used as useful information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 for children and help building and operating multi culture and art complex for children by activating the studies on culture and art centers for children.
      번역하기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culture and art centers for children, many countries in the world are putting their interest and investment in increasing the number of spots for various culture and art centers and building many culture and art centers f...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culture and art centers for children, many countries in the world are putting their interest and investment in increasing the number of spots for various culture and art centers and building many culture and art centers for children. The purpose of such actions is to conserve their national heritage by giving people a chance to understand their own culture and be aware of its value. It is also to develop their culture, watch human progress and provide people with an environment to live an abundant life as a human being by means of recreation.
      At the beginning of 1980's, huge multi culture centers such as Seoul Arts Center began to be constructed in the major cities in Korea. However, no culture and art centers only for children which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and growth of children have been founded. It will be a valuable thing in terms of social investment and the basis for better life to provide children and youngsters with a chance to enjoy and get some knowledge of arts in the cultural and artistic environment. Culture and art is being concerned as an important matter in Korea where the cramming education for university entrance has somehow annihilated children's initiative spirits and imagination. Under that circumstance, multi culture and art complex for children is regarded as a necessary place where they can be involved in culture and art by experiencing it themselves. It is being proposed as an effective plan to offer culture and art centers as well as qualitative education and the plan is getting a lot of attention.
      However, in reality, the number of the multi culture and art complexes for children in Korea is extremely low compared to the number of children. The culture and art facilities which can satisfy children's and adults' demand are not fully prepared and there aren't enough facilities for the population. Especially, the environment with culture and art for children who are physically active has not been provided. From the viewpoint of social investment into the rising generation and preparation for the decentralization of education environment that the trend of digital information society results in, it will be valuable to offer various culture programs that children can take part in. Also, culture and art centers are needed as a place where younger generation can express more freely and experience things that can hardly be learned inside school by getting out of the cramming education for university entrance. From those points of view, culture and art complex for children will be considered as a socially important plan that can provide children with the environment where they can learn culture and art for 'pleasure' and participate in culture and art activities for 'experience'.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multi culture and art centers that is happening now reflects the trends that have been mentioned so far. In the case of my country, Korea, it is necessary to get organized information to lower the amount of trials and errors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culture and art and to establish realistic places and operate them efficiently.
      In this research, alternative plans are proposed for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lack of studies on multi culture and art centers for children in Korea, together with the necessity of those centers. Since this research includes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case study, I hope that it will be used positively in both theory and practice for the foundation of culture and art complex for children. I also wish that this research will be used as useful information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 for children and help building and operating multi culture and art complex for children by activating the studies on culture and art centers for childre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 목차 = ⅰ
      • Ⅰ. 서론 =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6
      • 국문초록 = Ⅰ
      • 목차 = ⅰ
      • Ⅰ. 서론 =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6
      • Ⅱ. 어린이 복합문화예술공간의 이론적 고찰 = 9
      • 1. 복합문화예술공간의 개념 = 9
      • 2. 어린이 복합문화예술공간의 기능과 역할 = 14
      • 3. 어린이 성장발달과 복합문화예술공간의 필요성 = 18
      • Ⅲ. 어린이 복합문화예술공간 사례 연구방법 = 40
      • 1. 사례 연구 방법 및 범위 = 40
      • 2. 분석 사례의 선정 기준 = 41
      • 3. 사례 연구의 분석 방법 = 43
      • Ⅳ. 어린이 복합문화예술공간 연구 = 45
      • 1. 국내 어린이 복합문화예술공간의 현황과 분석 = 45
      • 1) 삼성 어린이 박물관 = 48
      • 2) 부천 어린이 극장 = 50
      • 3) 바탕골 예술관 = 52
      • 2. 국외 어린이 문화예술공간의 현황과 분석 = 55
      • 1) 맨하탄 어린이 박물관 = 56
      • 2) 익스플로레이션 플레이스 과학센터 및 어린이 박물관 = 57
      • 3) 휴스턴 어린이 박물관 = 58
      • Ⅴ. 국내외 어린이 복합문화예술공간 사례비교분석과 문제점 = 61
      • 1. 어린이 복합문화예술공간 사례비교 연구 = 61
      • 2. 국내 운영되는 어린이 복합문화예술공간의 문제점 = 69
      • 3. 어린이 복합문화예술공간 설립시 검토해야 할 사항 = 71
      • Ⅵ. 결론 = 78
      • 참고문헌 = 84
      • 표목차 = 89
      • 그림목차 = 89
      • 부록 = 90
      • 부록1. 삼성 어린이 박물관 (www.samsungkids.edu) = 90
      • 부록2. 부천 어린이 극장 (www.bcf.or.kr) = 95
      • 부록3. 바탕골 예술관 (www.batangol.co.kr) = 99
      • 부록4. 맨하탄 어린이 박물관 (www.cmom.org) = 101
      • 부록5. 익스플로레이션 플레이스 과학센터 및 어린이 박물관 (www.exploration.org) = 103
      • 부록6. 휴스턴 어린이 박물관 (www.cmhouston.org) = 105
      • Abstract = 1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