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엇모리장단 지도 방안 연구-혼소박의 박 개념 형성을 위한 교육적 제언- =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s for Eotmori Jangdan-Educational proposals for forming the beat concept of honsoba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171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honsobak jangdan with coexisting 3-sobak and 2-sobak as common beat has its own unique rhythm structure, an important jangdan type used for overall folk music. Recognizing the necessities to teach honsoebak jangdan in school field, it is suggested...

      The honsobak jangdan with coexisting 3-sobak and 2-sobak as common beat has its own unique rhythm structure, an important jangdan type used for overall folk music. Recognizing the necessities to teach honsoebak jangdan in school field, it is suggested to instruct the musical pieces composed of Eotmori jangdan. However, there is no clear solution to the problems caused by jangdan education. Thus, this study suggested the improvement measures necessary for teaching Eotmori jangdan and establishe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asures for systematically understanding and learning the concept of jangdan. First, this study reconsidered the problem with the time signature method for Eotmori jangdan commonly marked as 10/♪. It would be necessary to unify to the time signature of presenting the denominator as a form of sobak composing one beat and the numerator as the number of sobak, based on the theory of sobak just like other jangdan types. Through this, it would be possible to understand the composition form of sobak through the time signature and include the Eotmori jangdan in a system of four beats. Moreover, for the efficient education of Eotmori jangdan, this study designed a step-by-step learning procedure to distinguish honsobak with the spatial area of Jeonggan. Through the analysis of jangdan patterns, students are ask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jangdan composed of irregular beats of 3·2·3·2. After forming the concept of honsobak, students are asked to examine various uses and characteristics of Eotmori jangdan through physical expression and instrumental performance on the janggu and gayageu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prepared a means to understand the traits of Eotmori jangdan composed of honsobak through activities of various fields.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studies on other honsobak jangdan types used in folk music are actively conducted, thus creating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enables jangdan instruction in more in-depth area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여느박으로 3소박과 2소박이 공존하는 혼소박장단은 고유한 리듬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민속악 전반에 사용되고 있는 중요한 장단이다. 학교 현장에서도 혼소박장단 교육의 필요성을 인지...

      여느박으로 3소박과 2소박이 공존하는 혼소박장단은 고유한 리듬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민속악 전반에 사용되고 있는 중요한 장단이다. 학교 현장에서도 혼소박장단 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여 엇모리장단으로 구성된 악곡을 지도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장단 교육 시 야기되는 문제점에 대해서 명확한 해결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엇모리장단 지도를 위해 필요한 개선 방안을 제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장단의 개념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체득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해 보았다.
      먼저 10/♪으로 통용되는 엇모리장단의 박자 표기 방식의 문제점을 재고했다. 다른 장단과 같이 소박론에 의하여 분모는 1박을 이루는 소박의 형태, 분자는 소박의 개수로 제시하는 박자 표기 방식으로 통일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이를 통하여 박자표로 소박의 구성 형태를 파악하고 4박의 박 체계에 엇모리장단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견해를 제시했다. 더불어 엇모리장단의 효율적인 교육을 위해서 혼소박을 정간의 공간 면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단계별 학습 설계 절차를 고안했다. 장단꼴 분석을 통하여 3·2·3·2의 불균등박으로 이루어진 장단의 특징을 이해하도록 했다. 혼소박의 개념을 올바르게 형성한 이후에는 신체표현과 장구, 가야금의 악기 연주를 통하여 엇모리장단의 다양한 쓰임과 특징을 체득하고 조사해 보도록 했다.
      본 연구는 혼소박으로 구성된 엇모리장단의 특징을 다양한 영역의 활동을 통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방편을 마련했다는 데 의의를 들 수 있다. 앞으로 엇모리장단 외에도 민속악에서 쓰이고 있는 다양한 혼소박장단에 관한 연구가 활성화되어서 보다 세부적인 영역의 장단 지도가 가능한 교육 여건이 조성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보형, "호남지방 토속예능 조사 판소리 고법(Ⅰ)"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0 : 1976

      2 이용식, "호남좌도농악의 호호굿 가락에 관한 음악적 연구" 호남학연구원 (53) : 115-136, 2013

      3 정욱희, "중학교 음악①, ②" 성안당 2018

      4 허화병, "중학교 음악①, ②" 세광음악출판사 2018

      5 최은식, "중학교 음악①, ②" 천재 2018

      6 정길선, "중학교 음악①, ②" 지학사 2018

      7 장기범, "중학교 음악①, ②" 미래엔 2018

      8 양종모, "중학교 음악①, ②" 음악과생활 2018

      9 박준영, "중학교 음악①, ②" 와이비엠 2018

      10 민경훈, "중학교 음악①, ②" 동아출판사 2018

      1 이보형, "호남지방 토속예능 조사 판소리 고법(Ⅰ)"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0 : 1976

      2 이용식, "호남좌도농악의 호호굿 가락에 관한 음악적 연구" 호남학연구원 (53) : 115-136, 2013

      3 정욱희, "중학교 음악①, ②" 성안당 2018

      4 허화병, "중학교 음악①, ②" 세광음악출판사 2018

      5 최은식, "중학교 음악①, ②" 천재 2018

      6 정길선, "중학교 음악①, ②" 지학사 2018

      7 장기범, "중학교 음악①, ②" 미래엔 2018

      8 양종모, "중학교 음악①, ②" 음악과생활 2018

      9 박준영, "중학교 음악①, ②" 와이비엠 2018

      10 민경훈, "중학교 음악①, ②" 동아출판사 2018

      11 김광옥, "중학교 음악①, ②" 아침나라 2018

      12 고영신, "중학교 음악①, ②" 교학사 2018

      13 현경실, "중학교 음악①, ②" 금성출판사 2018

      14 조대현, "중학교 음악①, ②" 다락원 2018

      15 주대창, "중학교 음악①, ②" 비상교육 2018

      16 한윤이, "장단의 올바른 개념 형성을 위한 악곡 장단의 지도의 의의" 한국음악교육학회 (25) : 2003

      17 한윤이, "장단의 개념 및 지도 단계에 관한 연구" 한국국악교육학회 18 : 2000

      18 장희선, "장단교육을 위한 연구현황 검토와 연구방향 모색"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8 (8): 139-172, 2014

      19 이용식,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서 농악의 특징과 의의" 전남대학교 예술연구소 15 : 2014

      20 세광음악출판사 사전편찬위원회, "음악대사전" 세광음악출판사 1988

      21 李世煥, "엇모리의 특성과 지도 방법 연구 : 신쾌동류 거문고 산조에 기하여" 漢陽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22 변미혜, "국악곡 지도를 위한 말붙임새 고찰"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5 (5): 101-125, 2011

      23 최헌, "국악 채보의 제 문제" 동양음악연구소 32 : 97-132, 2010

      24 변미혜, "국악 용어 사전" 민속원 2012

      25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2] 음악과 교육과정"

      26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별책 12] 음악과 교육과정"

      27 신혜영, "고등학교음악" 박영사 2018

      28 정대석, "거문고 산조 세바탕" 은하출판사 2003

      29 기숙희, "가야금 산조 엇모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30 국립국악원, "韓國音樂學資料叢書 제14집 : 협률대성, 양금신보, 구라철사금자보, 현금오음통론, 영산회상, 방산한 씨금보, 낭옹신보"

      31 한윤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의 국악 기보법 고찰" 한국음악교육학회 44 (44): 185-219,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7 0.97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0.88 1.394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