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덕국의 탄생과 그 의미 = The Foundation and Meanings of Bodeokgu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921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historical meanings in the foundation of Bodeokguk, which holds important significance in Silla overcoming the Silla-Tang War and entering the era of the unification of Three Hans. In early 670, Uisang inf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historical meanings in the foundation of Bodeokguk, which holds important significance in Silla overcoming the Silla-Tang War and entering the era of the unification of Three Hans.
      In early 670, Uisang informed Silla of the possibility that Tang might attack Silla, which deployed the Anseung group to Geummajeo to defend the nation from the marine attacks of Tang. As the Anseung group moved to Geummajeo, the conflicts between Silla and Woongjin Commandery surfaced. Silla took the chance and attacked and conquered 82 fortresses including Woongjin Commandery in July, 670, when the wandering people of Goguryeo in Bodeokguk volunteered to occupy the highlands of Baekje and have their legitimacy of Goguryeo recognized.
      Later Woongjin Commandery informed Tang of the fact that Silla took Anseung as its Oiwon. The fact was mentioned in Seolinguiseo and Dapseolinguiseo, which were letters exchanged between Silla and Tang in 671. Tang risked the Seokmun battle in 672 and removed King Munmu from office in 674 under the cause of Bodeokguk.
      The wandering people of Goguryeo in Bodeokguk tried to revive or reconstruct Goguryeo by volunteering to support Silla, which stopped Tang from moving south along the land route by supporting the revival movement of Goguryeo, which developed in the highlands of Goguryeo until 673, and mobilized the wandering people of Goguryeo in the Anseung group to occupy the highlands of Baekje.
      In 674 when Silla's grasp over the highlands of Baekje increased, however, Anseung was installed as the king of Bodeokguk again. In 683, Silla summoned Anseung to Wangyeong and granted him the family name of Kim, thus making the dissolution of Bodeokguk a fact. The wandering people of Goguryeo in Bodeokguk rose in revolt as people of Bodeokguk. Silla suppressed their revolt and arranged the areas around it, completing the system of nine provinces and five Sogyeongs. Some of Goguryeo's wandering people in Bodeokguk were organized into the Byeokgeum and Jeokgeum Seodang of nine Seodangs.
      This does not mean that the unification of Three Hans, which signifies the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by Silla, was completed. Here, the unification of Three Hans means that Silla took over the areas of Three Hans in terms of territory and unified the Three Kingdoms including the wandering people of Goguryeo in terms of people. Silla actually had the consciousness of Three Hans' unification to signify the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but it stuck to the expression, unification of Three Hans, not to stimulate Tang.
      In the end, Silla accepted the wandering people of Goguryeo actively to check Tang and occupy the highlands of Baekje and won a victory in Silla-Tang War thanks to their support. It finally realized the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via the legitimacy of Bodeokguk and the wandering people of Goguryeo.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金壽泰, "李基白先生古稀紀念 韓國史學論叢" 一潮閣 1994

      2 梁炳龍, "羅唐戰爭 進行過程에 보이는 高句麗遺民의 對唐抗爭" 46 : 1997

      3 朱甫暾, "金庾信의 政治志向-연구의 活性化를 기대하며-" 11 : 2007

      4 "자치통감고이"

      5 "자치통감"

      6 "일본서기"

      7 전용호, "익산 왕궁성의 구조에 대한 연구 성과와 논쟁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5 : 233-288, 2015

      8 서영교, "신문왕대 보덕성민의 반란과 핼리혜성" 인문과학연구소 36 (36): 225-254, 2009

      9 김영하, "신라중대사회연구" 일지사 2007

      10 김병남, "신라의 삼국통일 의식과 그 실제" 한국사상문화학회 (24) : 145-174, 2004

      1 金壽泰, "李基白先生古稀紀念 韓國史學論叢" 一潮閣 1994

      2 梁炳龍, "羅唐戰爭 進行過程에 보이는 高句麗遺民의 對唐抗爭" 46 : 1997

      3 朱甫暾, "金庾信의 政治志向-연구의 活性化를 기대하며-" 11 : 2007

      4 "자치통감고이"

      5 "자치통감"

      6 "일본서기"

      7 전용호, "익산 왕궁성의 구조에 대한 연구 성과와 논쟁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5 : 233-288, 2015

      8 서영교, "신문왕대 보덕성민의 반란과 핼리혜성" 인문과학연구소 36 (36): 225-254, 2009

      9 김영하, "신라중대사회연구" 일지사 2007

      10 김병남, "신라의 삼국통일 의식과 그 실제" 한국사상문화학회 (24) : 145-174, 2004

      11 정선여, "신라로 유입된 고구려 유민의 동향 - 報德國 주민을 중심으로 -" 호서사학회 (56) : 71-106, 2010

      12 "신당서"

      13 노태돈, "삼국통일전쟁사" 서울대출판부 2009

      14 "삼국유사"

      15 盧泰敦, "삼국사기 신라본기의 고구려관계기사 검토" 16 : 1997

      16 "삼국사기"

      17 유원재, "백제사에서 익산문화유적의 성격" 14 : 1999

      18 노중국, "백제 부흥운동사" 일조각 2003

      19 이상훈, "나당전쟁 연구" 주류성 2012

      20 朱甫暾, "김춘추와 그의 사람들" 지식산업사 2018

      21 이정빈, "고연무의 고구려 부흥군과 부흥운동의 전개" 한국역사연구회 (72) : 131-157, 2009

      22 임기환, "고구려정치사연구" 한나래 2004

      23 조인성, "고구려의 정치와 사상" 동북아역사재단 2007

      24 조법종, "고구려유민의 백제 金馬渚 배치와 報德國" 한국고대사학회 (78) : 97-138, 2015

      25 임기환, "강좌한국고대사 10" 가락국사개발연구원 2003

      26 池內宏, "高句麗滅亡後の反亂及ひ唐と新羅との關係" 東京帝國大學文學部 12 : 1927

      27 강경구, "高句麗 復興運動 新考察" 한국상고사학회 47 (47): 89-113, 2005

      28 이기백, "韓國史 講座 古代篇" 一潮閣 1982

      29 鄭求福, "譯註 三國史記 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30 李丙燾, "譯註 三國史記" 乙酉文化社 1977

      31 심정보, "百濟文化史大系硏究叢書6 -百濟의 滅亡과 復興運動-"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07

      32 이도학, "熊津都督府의 支配組織과 對日政策" 34 : 1987

      33 최재도, "漢城의 高句麗國 再檢討" 동북아역사재단 (47) : 139-169, 2015

      34 池內宏, "滿鮮史硏究 上世策二冊" 吉川弘文館 1960

      35 村上四男, "朝鮮古代史硏究" 開明書院 1978

      36 이호영, "新訂 新羅三國統合과 麗·濟敗亡原因硏究" 書景文化社 2001

      37 이미경, "新羅의 報德國 지배정책" 대구사학회 120 : 101-131, 2015

      38 林炳泰, "新羅小京考" 35-36 : 1967

      39 村上四男, "新羅と小高句麗國" 37-38 : 1966

      40 정선여, "新羅 神文王代 報德國民의 반란" 호서사학회 (66) : 35-68, 2013

      41 신정훈, "新羅 宣德王代의 政治的 推移와 그 性格" 65 : 2001

      42 양기석, "新羅 五小京의 設置와 西原京" 11 : 1993

      43 李基東, "新羅 下代의 浿江鎭" 4 : 1976

      44 盧泰敦, "對唐戰爭期(669-676) 新羅의 對外關係와 軍事活動" 34 : 1997

      45 전진국, "三韓의 용례와 그 인식" 한국사연구회 (173) : 1-38, 2016

      46 노태돈, "三韓에 대한 인식의 變遷" 38 : 1982

      47 김영하, "一統三韓의 실상과 의식" 한국고대사학회 (59) : 293-327, 2010

      48 김영하, "7세기 후반 한국사의 인식문제 -신라의 백제통합론과 삼국통일론을 중심으로-" 한국사연구회 (146) : 361-389, 2009

      49 이재석, "7세기 후반 報德國의 존재 의의와 왜국" 일본사학회 (31) : 33-52, 2010

      50 노태돈, "7世紀 東亞細亞國際政勢의 變動과 新羅의 對應" 2010

      51 전주현, "670년에 재건된 ‘고구려국’에 대한 연구" 82 (82): 198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4 1.276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