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여성 근로자의 경력지속 및 이탈에 관한 연구 : 여성관리자패널을 활용한 생존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Women's Labor Force Retention and Withdrawa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7458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used the methodology of survival analysis to investigate the reasons for women's retention and withdrawal through the Korea Women Manager Panel. For this purpose, the method of outline and analysis of survival analysis was summarized and previous studies on the survival of female workers were explored. Also, the factors that affect the career continuity and withdrawal of female workers among the factors identified through the search process were examined through Cox proportional Hazard analysis.
      The step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Cox proportional risk analysis was conducted for all variables. Second, the variable that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model was selected through the backward selection. For this purpose, the extended cox model including the time varying variable was applied.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female workers on career continuity and turnover, the concept, significance and current status of female managers were described. Through a panel of Korean female managers,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female managers was surveyed and the ratio was confirmed. The number of female managers in Korea has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ir positions increase in their companies, and this is not affected by the size of the company or industry. The sharp decline in the proportion of women as women move up to higher positions is closely related to the career retention of women workers, so the meaning of women's careers and related theories were explained.
      In the discussions related to women's careers, literature review of career breaks, turnover and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embeddeness model were considered.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5 categories: personal characteristics, family/economic characteristic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relational characteristics, and Policy characteristics. However, since sub-factors of each trait interact and influence each other, it is not easy to clearly classify the effects that affect the career retention of female workers and reveal the causal relationship. Therefore, in this study, Tried to find a significant result by trying various methods, such as a model incorporating all factors, by characteristic, by rank, and a model derived through the backward selection.
      In the last chapter, the factors affecting the number of withdrawal event of female workers were analyzed through the recurrent event data analysis.
      번역하기

      This study used the methodology of survival analysis to investigate the reasons for women's retention and withdrawal through the Korea Women Manager Panel. For this purpose, the method of outline and analysis of survival analysis was summarized and pr...

      This study used the methodology of survival analysis to investigate the reasons for women's retention and withdrawal through the Korea Women Manager Panel. For this purpose, the method of outline and analysis of survival analysis was summarized and previous studies on the survival of female workers were explored. Also, the factors that affect the career continuity and withdrawal of female workers among the factors identified through the search process were examined through Cox proportional Hazard analysis.
      The step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Cox proportional risk analysis was conducted for all variables. Second, the variable that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model was selected through the backward selection. For this purpose, the extended cox model including the time varying variable was applied.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female workers on career continuity and turnover, the concept, significance and current status of female managers were described. Through a panel of Korean female managers,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female managers was surveyed and the ratio was confirmed. The number of female managers in Korea has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ir positions increase in their companies, and this is not affected by the size of the company or industry. The sharp decline in the proportion of women as women move up to higher positions is closely related to the career retention of women workers, so the meaning of women's careers and related theories were explained.
      In the discussions related to women's careers, literature review of career breaks, turnover and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embeddeness model were considered.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5 categories: personal characteristics, family/economic characteristic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relational characteristics, and Policy characteristics. However, since sub-factors of each trait interact and influence each other, it is not easy to clearly classify the effects that affect the career retention of female workers and reveal the causal relationship. Therefore, in this study, Tried to find a significant result by trying various methods, such as a model incorporating all factors, by characteristic, by rank, and a model derived through the backward selection.
      In the last chapter, the factors affecting the number of withdrawal event of female workers were analyzed through the recurrent event data analysi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여성관리자패널 조사를 통해 최초 조사 시점에 대상자로 선정된 원표본들을 대상으로 근속과 퇴직의 이유를 알아보고자 생존분석의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서 생존분석의 개요 및 분석의 방법을 정리하였고, 여성 근로자의 생존에 관한 선행연구 탐색하였다. 또한 탐색 과정을 통해 파악된 요인 중 여성 근로자의 경력지속 및 이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Cox 비례위험 분석을 통해 그 영향력을 검증하려고 하였 다. 분석의 단계별로는 전체 변수들을 대상으로 Cox 비례위험 분석을 진행하고, 두 번째로 후진 제거 방법을 통해 모형에 영향력이 큰 변수들을 선별하였으며, 이를 대상으로 시간 변동 변수를 포함한 확장형 Cox 모형을 적용하였다.
      여성 근로자의 경력지속과 이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먼저 여성 관리자의 개념과 의의, 현황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여성관리자패널 자료를 통해 현재 우리나라 여성관리자의 직급별 현황을 살펴보고 여성 관리자 비율은 어떤 수준인지 확인하였다. 우리나라 여성관리자는 기업 규모나 업종에 따라 큰 차이가 없이 여전히 대체적으로 직급이 높아짐에 따라 그 수가 급격히 적어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상위직급으로 갈수록 여성 비율이 급격히 낮아지는 것은 여성 근로자들의 경력 유지와도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여성의 경력에 대한 의미와 이와 관련한 이론들을 이어 기술하였다.
      여성의 경력과 관련한 논의에서는 경력 지속의 요인을 찾기 위해 경력단절, 노동이동과 이직의도 그리고 조직착근모델의 선행연구들을 고찰하 였으며, 요인들을 인적특성, 가족/경제적 특성, 심리적 특성, 관계적 특성, 제도 특성의 5가지로 구분하였다. 그러나 각 특성들의 하위 요인들은 서로 상호작용하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여성 근로자의 경력지속에 영향을 주는 효과를 명확하게 구분하고 인과관계를 밝히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특성별, 직급별, 전체 요인을 통합한 모형, 후진 제거법을 통해 도출된 모형 등 여러 가지 방법을 시도하여 유의한 결과를 찾으려고 노력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언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근로시간 규제에 대한 제도들의 경우 각각의 조직의 특성에 맞는 하위 대책들이 수반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조직차원에서 여성이 자신의 경력을 긍정적으로 볼 수 있도록 여성 근로자의 심리적인 요인들에 관심을 가지고 대응해야 한다.
      셋째, 조직 및 상사의 지원의 내용은 일-가정 양립보다는 여성 근로자의 경력 및 역량에 대한 지원이 더 강화되어야 한다.
      넷쨰, 기업의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를 조성하는 데있어 경제적 가치가 중요한 기업의 생리를 고려해야 하며 이를 통해 기업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유인책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돌봄에 대한 책임이 여성에게 적합하다는 사회적 인식을 깨는 시도 등을 통해 사회적인 인식의 변화에도 노력해야 한다.
      보론에서는 재발사건분석을 통해 여성 근로자의 퇴직 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여성관리자패널 조사를 통해 최초 조사 시점에 대상자로 선정된 원표본들을 대상으로 근속과 퇴직의 이유를 알아보고자 생존분석의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서 생존분석...

      본 연구는 여성관리자패널 조사를 통해 최초 조사 시점에 대상자로 선정된 원표본들을 대상으로 근속과 퇴직의 이유를 알아보고자 생존분석의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서 생존분석의 개요 및 분석의 방법을 정리하였고, 여성 근로자의 생존에 관한 선행연구 탐색하였다. 또한 탐색 과정을 통해 파악된 요인 중 여성 근로자의 경력지속 및 이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Cox 비례위험 분석을 통해 그 영향력을 검증하려고 하였 다. 분석의 단계별로는 전체 변수들을 대상으로 Cox 비례위험 분석을 진행하고, 두 번째로 후진 제거 방법을 통해 모형에 영향력이 큰 변수들을 선별하였으며, 이를 대상으로 시간 변동 변수를 포함한 확장형 Cox 모형을 적용하였다.
      여성 근로자의 경력지속과 이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먼저 여성 관리자의 개념과 의의, 현황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여성관리자패널 자료를 통해 현재 우리나라 여성관리자의 직급별 현황을 살펴보고 여성 관리자 비율은 어떤 수준인지 확인하였다. 우리나라 여성관리자는 기업 규모나 업종에 따라 큰 차이가 없이 여전히 대체적으로 직급이 높아짐에 따라 그 수가 급격히 적어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상위직급으로 갈수록 여성 비율이 급격히 낮아지는 것은 여성 근로자들의 경력 유지와도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여성의 경력에 대한 의미와 이와 관련한 이론들을 이어 기술하였다.
      여성의 경력과 관련한 논의에서는 경력 지속의 요인을 찾기 위해 경력단절, 노동이동과 이직의도 그리고 조직착근모델의 선행연구들을 고찰하 였으며, 요인들을 인적특성, 가족/경제적 특성, 심리적 특성, 관계적 특성, 제도 특성의 5가지로 구분하였다. 그러나 각 특성들의 하위 요인들은 서로 상호작용하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여성 근로자의 경력지속에 영향을 주는 효과를 명확하게 구분하고 인과관계를 밝히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특성별, 직급별, 전체 요인을 통합한 모형, 후진 제거법을 통해 도출된 모형 등 여러 가지 방법을 시도하여 유의한 결과를 찾으려고 노력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언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근로시간 규제에 대한 제도들의 경우 각각의 조직의 특성에 맞는 하위 대책들이 수반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조직차원에서 여성이 자신의 경력을 긍정적으로 볼 수 있도록 여성 근로자의 심리적인 요인들에 관심을 가지고 대응해야 한다.
      셋째, 조직 및 상사의 지원의 내용은 일-가정 양립보다는 여성 근로자의 경력 및 역량에 대한 지원이 더 강화되어야 한다.
      넷쨰, 기업의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를 조성하는 데있어 경제적 가치가 중요한 기업의 생리를 고려해야 하며 이를 통해 기업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유인책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돌봄에 대한 책임이 여성에게 적합하다는 사회적 인식을 깨는 시도 등을 통해 사회적인 인식의 변화에도 노력해야 한다.
      보론에서는 재발사건분석을 통해 여성 근로자의 퇴직 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배경 및 문제제기 1
      • 제2절 연구의 구성 6
      • 제2장 생존분석과 연구모형 선택방법 7
      • 제1절 생존분석 7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배경 및 문제제기 1
      • 제2절 연구의 구성 6
      • 제2장 생존분석과 연구모형 선택방법 7
      • 제1절 생존분석 7
      • 1. 생존분석의 개요 7
      • 2. 카플란 마이어법(Kaplan-Meier Method) 11
      • 3. Cox의 비례위험모형 12
      • 4. 확장형 Cox모형 14
      • 제2절 Cox 비례위험모형을 활용한 다변수 분석방법 15
      • 1. 공변수의 선정방법 15
      • 2. Cox 모형을 활용한 다변수 분석 방법 17
      • 3. 공변수 추출기준 18
      • 제3장 여성 근로자 생존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19
      • 제1절 여성관리자의 개념 및 현황 19
      • 1. 여성관리자의 개념 및 의의 19
      • 2. 여성관리자 현황 21
      • 제2절 이론적 논의 및 관련 선행연구 24
      • 1. 여성 근로자의 경력 24
      • 2. 경력지속과 관련된 이론 27
      • 가. 여성의 경력단절 선행연구 29
      • 나. 노동이동(turnover)과 이직의도 모델 30
      • 다. 조직착근 모델 34
      • 3. 경력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 36
      • 가. 여성 근로자의 경력열망 36
      • 나. 인지된 자기효능감 37
      • 4. 경력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적 환경적 요인 40
      • 가. 기업의 특성 40
      • 나. 상사지원인식(perceived supervisor support) 42
      • 다. 가족친화제도의 유용성 및 활용 43
      • 제4장 여성 근로자 생존분석 연구모형 45
      • 제1절 연구의 분석 틀 45
      • 제2절 분석자료 및 데이터 구성 48
      • 1. 분석자료 및 연구대상 48
      • 2. 데이터의 구성 49
      • 제3절 변수정의 및 측정 52
      • 1. 종속변수 52
      • 2. 기본적 특성 52
      • 가. 인구통계학적 변수 52
      • 나. 소속된 조직관련 변수 53
      • 3. 설명변수 54
      • 가. 개인적 특성 54
      • 나. 조직적 특성 56
      • 제5장 연구결과 59
      • 제1절 분석대상 변수의 기초통계 59
      • 제2절. 생존분석 결과 63
      • 1. 생존 모형 기초 분석: Kaplan-Meier의 생존함수 추정 63
      • 2. 변수별 로그순위 검정 결과 67
      • 제3절. Cox 비례위험 분석 결과 70
      • 1. 대상 전체에 대한 분석 70
      • 가. 특성별 Cox 비례위험 모형 추정 70
      • 나. 후진 제거법에 의한 Cox 비례위험 모형 추정 73
      • 2. 직급별 Cox회귀 추정결과 비교 80
      • 가. 특성별 추정결과 80
      • 나. 후진 제거법에 의한 직급별 Cox 비례위험 모형 추정 85
      • 3. 퇴직유형별 Cox회귀 추정결과 비교 91
      • 가. 추정결과 (Cox 회귀) 91
      • 나. 패널다항로짓 추정결과 94
      • 제6장 결 론 96
      • 제1절. 연구요약 및 주요 발견 96
      • 제2절.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 101
      • 1. 시사점 및 제언 101
      • 2. 연구의 한계 104
      • 제7장 보 론 106
      • 제1절. 재발사건생존분석(Recurrent Events Survival Analysis) 106
      • 1. 계수과정접근(Counting Process Approach, CP) 106
      • 2. 조건부 모델(Conditional model) 107
      • 제2절. 여성관리자 퇴직사건 재발사건분석 109
      • 1. 퇴직사건 증가 요인: AG모형 109
      • 2. 퇴직 사건까지의 소요 시간: PWP-GT모형 115
      • 제3절. 소결 121
      • 참 고 문 헌 122
      • ABSTRACT 14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