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검도 수련만족, 자기효능감, 사회성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장 성 홍 초당대학교 대학원 사회체육학과 지도교수 안 병 수 청소년기는 인생의 기초가 형성되는 시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044668
무안 : 초당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학위논문(박사) -- 초당대학교 일반대학원 , 사회체육학과 , 2018. 8
2018
한국어
전라남도
; 26 cm
지도교수: 안병수
I804:46016-20000010929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청소년의 검도 수련만족, 자기효능감, 사회성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장 성 홍 초당대학교 대학원 사회체육학과 지도교수 안 병 수 청소년기는 인생의 기초가 형성되는 시기...
청소년의 검도 수련만족, 자기효능감,
사회성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장 성 홍
초당대학교 대학원 사회체육학과
지도교수 안 병 수
청소년기는 인생의 기초가 형성되는 시기로서 발달적 중요성을 갖는다.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으로도 성장과 기초가 이루어지는 시기에 스포츠 활동 참여는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과 건전한 인간관계 형성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는 과외스포츠 활동으로서 검도 수련을 하는 것이 청소년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발달 기회를 부여하고 궁극적으로는 청소년들의 학교생활적응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되기에 검도 수련이 그들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성,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를 밝혀서 청소년들의 검도수련의 구체적인 효과를 확인하는 것과 동시에 청소년 검도 수련의 활성화를 도모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는 2017년 5월 현재 검도수련을 하고 있는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청소년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총 286명을 분석 처리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수련만족 설문지는 Beard와 Rargeb(1980)가 개발한 스포츠활동 만족 설문지를 이종길(1992)이 번안하여 사용한 설문지를 바탕으로 김재원(2014) 및 김한민(2015)이 사용한 설문지, 자기효능감 설문지는 서보영(2003), 박경애(2006), 김선미(2011), 장혜원(2016)이 사용한 설문지, 사회성 설문지는 김수진(2009), 김선미(2011), 서산성(2014), 서정일(2017)이 사용한 설문지, 학교생활적응 설문지는 김백수(2008), 배영필(2013), 황우진(2017)의 연구에서 사용되었던 설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각각 수정 ·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의 신뢰도인 Cronbach’ α값은 .751~.689로 나타나 비교적 높은 신뢰도를 나타내고 있다.
자료처리를 위한 통계 분석은 SPSS 21.0과 AMOS 21.0 Program을 사용하여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검도수련생의 수련만족, 자기효눙감, 사회성, 학교생활적응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 분석(Descriptive Analysis)으로 t-test, 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집단별 평균차에 대해 Scheffe test를 이용하여 사후검증 하였고, 각 하위 변인들 간의 관련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산출하는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또한 검도 수련생의 수련만족, 자기효능감, 사회성, 학교생활적응의 문항들에 대한 요인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EFA: 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와 함께 수련만족이 자기효능감, 사회성,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고, 각 변인들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SEM)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와 방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수련만족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련만족은 사회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련만족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효능감은 사회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기효능감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사회성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사용된 변인 이외에도 검도수련생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밝힌 모델이 최적모델이라고 할 수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의 변인보다 더 구체적인 변인들을 통한 추후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검도수련을 하는 초‧중등학생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기에 결과에 대한 일반화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다른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범위를 확대하여 청소년들의 학교생활적응과 스포츠 활동의 역할에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