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고등학생들이 공부하는 2018학년도 “윤리와 사상” 교과서에 나와 있는 다산의 욕구ㆍ욕망관의 정확성을 검토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다산의 저술에 등장하는 그의 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고등학생들이 공부하는 2018학년도 “윤리와 사상” 교과서에 나와 있는 다산의 욕구ㆍ욕망관의 정확성을 검토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다산의 저술에 등장하는 그의 욕...
이 글은 고등학생들이 공부하는 2018학년도 “윤리와 사상” 교과서에 나와 있는 다산의 욕구ㆍ욕망관의 정확성을 검토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다산의 저술에 등장하는 그의 욕구ㆍ욕망관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현행 5종 교과서(지학사, 미래엔, 금성 출판사, 천재교육, 교학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 교과서의 내용이 다른 교과서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확성이 높았고, 다른 교과서들은 다산의 욕구ㆍ욕망관 중 일면적인 부분만 서술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오해의 소지가 있도록 기술되어 있었다. 특히, 상대적으로 정확성이 낮은 교과서 중 한 교과서는 다산이 주장했던 ‘물질적 욕망’에 대해 그의 입장과는 다른 내용이 서술되어 있었다. 상대적으로 정확성이 높은 한 교과서도 ‘도덕성의 선천적 부여’에 대해서는 다산의 입장과는 상반된 내용이 서술되어 있었다. 학생들이 다산의 사상을 정확하고 풍부하게 접할 수 있도록 교과서 내용의 적확한 방향으로의 빠른 수정이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was attempted to examine the accuracy of Dasan's needsㆍdesires in the "Ethics and Thoughts" textbook for high school students in 2018. This thesis intends to examine the way in which the students enhance their own lives and solve life pr...
This thesis was attempted to examine the accuracy of Dasan's needsㆍdesires in the "Ethics and Thoughts" textbook for high school students in 2018. This thesis intends to examine the way in which the students enhance their own lives and solve life problems by raising accuracy of the textbook and faithfully instructing them Dasan's thoughts. In order to achieve these results, Dasan's needsㆍdesires are first examined in his 「Yibalgibalbyun(理發氣發辨)」,『Sigyunggangey(詩經講義)』,『Noneogogumju(論語古今註)』,『Maengjayoey(孟子要義)』,『Daehakgangey(大學講義)』,『Daehakgongey(大學公議)』,『Jungyongjajam(中庸自箴)』,『Jungyonggangeybo(中庸講義補)』,『Shimgyungmilheom(心經密驗)』,「Dabyiyeohong(答李汝弘) 7th letter」,『MaeSiseopyung(梅氏書平)』,『Mokminshimseo』 and 「Yidamsokchan(耳談續纂)」. In consequence, the most significant portions were the negative evaluation of needsㆍdesires and the emphasis on moderation and pursuit of life based on moral spirits and fate through this. However, there were also positive evaluations as the source of all human activities other than negative evaluation, and some includ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as well as neutral position. The textbook was analyzed based on the review of Dasan's needsㆍdesires. As a result, one of the five existing textbooks(Jihak Publishing Co., Ltd.,, Mirae N Culture Group, Kumsung Publishing Co., Chunjae Education, and Kyohaksa) was relatively more accurate than other textbooks, and the other textbooks described only a partial aspect of Dasan's needsㆍdesires, possibly misleading students. In particular, one textbook made a different description of 'material desires' from what Dasan suggested. The textbook with relatively high accuracy also described the opposite of Dasan's position in terms of 'inborn morality'. The textbooks need to be revised quickly in the correct direction so that students can have access to accurate and abundant thoughts of Dasa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고전종합DB 홈페이지"
2 정소이, "정약용 심성론의 변천에 관한 연구" 철학사상연구소 (33) : 3-33, 2009
3 정약용, "정선 목민심서" 창비 2011
4 정약용, "역주 시경강의 2" 사암 2008
5 정약용, "역주 시경강의 1" 사암 2008
6 정약용, "역주 매씨서평" 문학과 지성사 2002
7 정약용, "역주 대학공의ㆍ대학강의ㆍ소학지언ㆍ심경밀험" 사암 2016
8 정약용, "역주 다산 맹자요의" 현대실학사 1994
9 정약용, "역주 논어고금주 5" 사암 2016
10 정약용, "역주 논어고금주 4" 사암 2016
1 "한국고전종합DB 홈페이지"
2 정소이, "정약용 심성론의 변천에 관한 연구" 철학사상연구소 (33) : 3-33, 2009
3 정약용, "정선 목민심서" 창비 2011
4 정약용, "역주 시경강의 2" 사암 2008
5 정약용, "역주 시경강의 1" 사암 2008
6 정약용, "역주 매씨서평" 문학과 지성사 2002
7 정약용, "역주 대학공의ㆍ대학강의ㆍ소학지언ㆍ심경밀험" 사암 2016
8 정약용, "역주 다산 맹자요의" 현대실학사 1994
9 정약용, "역주 논어고금주 5" 사암 2016
10 정약용, "역주 논어고금주 4" 사암 2016
11 정약용, "역주 논어고금주 3" 사암 2016
12 정약용, "역주 논어고금주 2" 사암 2016
13 정약용, "역주 논어고금주 1" 사암 2016
14 김학주, "서경" 명문당 2009
15 민족과 사상 연구회, "사단칠정론" 서광사 1992
16 정규영, "다산의 한평생 : 사암선생연보" 창비 2014
17 정약용, "다산논설선집" 현대실학사 1996
18 정약용, "다산과 문산의 인성논쟁" 한길사 1996
19 박찬구, "고등학교 윤리와 사상" 천재교육 2018
20 박병기, "고등학교 윤리와 사상" 지학사 2018
21 김선욱, "고등학교 윤리와 사상" 금성출판사 2018
22 정창우, "고등학교 윤리와 사상" 미래엔 2018
23 장병한, "茶山學에서의 佛敎 敎學의 意味와 工夫論"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48 (48): 187-222, 2016
역사 및 물리 교사의 텍스트 읽기 양상 비교를 통한 학문 문식성 개념의 교육적 적용 방안 탐색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12-2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5-19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교육과정평가연구외국어명 : The Journal of Curriculum & Evaluation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7 | 0.87 | 1.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2 | 0.77 | 1.353 | 0.8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