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기 청소년의 공감과 친구관계에서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 between Empathy and Friendship of the Early Adolesc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584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 between empathy and friendship of the early adolescents. The subjects were 370 students of the 5th grade and 6th grade in an elementary sc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 between empathy and friendship of the early adolescents. The subjects were 370 students of the 5th grade and 6th grade in an elementary school. The data collected from the questionnaire was analyzed by using SPSS 20.0 and AMOS 18.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empathy has a significant static effect on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Secondly,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s a significant static effect on friendship. Thirdly,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relation between empathy and friendship of early adolescent was fully mediated by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This result implied that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is a variable that can be influenced by empathy, thereby proposing a possibility of an indirect developmental path for friendship through empathy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기 청소년의 공감과 갈등해결전략, 친구관계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여 공감과 친구관계 사이에서 갈등해결전략이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

      본 연구는 초기 청소년의 공감과 갈등해결전략, 친구관계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여 공감과 친구관계 사이에서 갈등해결전략이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성남시에 소재한 S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 6학년 3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SPSS 20.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로는 첫째, 초기 청소년의 공감은 갈등해결전략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기 청소년의 갈등해결전략은 친구관계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기 청소년의 공감과 친구관계의 사이에서 갈등해결전략이 매개역할을 하는가에 대한 분석결과에서는 갈등해결전략이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감이 친구관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보다는 갈등해결전략을 통할 때 친구관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초기 청소년의 친구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갈등해결전략을 사용하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영신, "한국 청소년의 삶의 질과 인간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22 (22): 801-836, 2008

      2 이성진, "학령기 아동의 공감능력과 또래수용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3 이은해, "학령기 아동을 위한 친구관계의 질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20 (20): 225-241, 1999

      4 배선영, "친구관계 질과 갈등해결전략의 관계" 15 : 80-88, 2001

      5 박은미, "친구간 갈등해결전략, 부모와의 의사소통유형과 친구관계의 질간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6 권혜란,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또래관계와의 관계에서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7 윤보나, "초등학교 고학년을 위한 공감 중심 집단 따돌림 예방 프로그램 개발" 한국아동교육학회 18 (18): 171-183, 2009

      8 김민선,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공감이 또래수용도 및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9 박지수,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의 공감능력과 교우관계 및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0 박영신, "청소년이 지각한 행복의 수준과 요인: 가정, 학교, 여가생활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9 (19): 149-188, 2012

      1 박영신, "한국 청소년의 삶의 질과 인간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22 (22): 801-836, 2008

      2 이성진, "학령기 아동의 공감능력과 또래수용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3 이은해, "학령기 아동을 위한 친구관계의 질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20 (20): 225-241, 1999

      4 배선영, "친구관계 질과 갈등해결전략의 관계" 15 : 80-88, 2001

      5 박은미, "친구간 갈등해결전략, 부모와의 의사소통유형과 친구관계의 질간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6 권혜란,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또래관계와의 관계에서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7 윤보나, "초등학교 고학년을 위한 공감 중심 집단 따돌림 예방 프로그램 개발" 한국아동교육학회 18 (18): 171-183, 2009

      8 김민선,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공감이 또래수용도 및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9 박지수,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의 공감능력과 교우관계 및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0 박영신, "청소년이 지각한 행복의 수준과 요인: 가정, 학교, 여가생활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9 (19): 149-188, 2012

      11 이한우, "청소년의 성격유형에 따른 친구관계의 질과 친구간의 갈등해결전략" 4 (4): 25-42, 2012

      12 이춘희, "청소년의 공감능력과 친구관계 : 갈등해결방식의 매개효과"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3 강유선, "청소년의 공감과 또래관계 질에서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3

      14 이은해, "청소년기 친구에 대한 만족감과 친구의 지원 및 갈등해결" 13 (13): 105-121, 2000

      15 홍명숙, "중학생의 성별에 따라 자기애, 공감능력, 자존감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14 (14): 3911-3928, 2013

      16 구신실, "장애학생의 공감능력과 사회적 능력의 관계"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5 (55): 377-394, 2012

      17 박동화, "아동의 공감능력과 또래관계에서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18 안주연, "아동의 감정공명 및 대인문제해결력과 또래집단수용도와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0

      19 정진미, "성인애착유형과 공감수준에 따른 부부 갈등해결전략의 차이" 한국상담학회 14 (14): 1535-1550, 2013

      20 정선영, "부모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친구간 갈등해결전략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21 김지현, "부모와의 애착안정성 및 청소년의 공감능력과 친구간 갈등해결전략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22 이수정, "모애착, 거부민감성, 또래간 갈등해결전략이 아동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3 강경아, "공감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또래간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2004

      24 박성희, "공감학" 학지사 2004

      25 조한익, "공감능력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친사회적 행동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7 (17): 139-158, 2010

      26 임정란,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이 학교폭력에 방관적인 초등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15 (15): 1425-1440, 2014

      27 이은희, "공감기반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공감능력 및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1 (1): 25-48, 2014

      28 김미현, "공감과 청소년의 대인관계성향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9 오아라, "공감(compassion)과 정서적 몰입 및 직무성과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37 (37): 41-74, 2013

      30 서민경, "공감 및 자기표출훈련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1 정종진, "갈등해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공감 및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1 (11): 133-151, 2012

      32 Baron-Cohen, S., "Zero degrees of empathy: A new theory of human cruelty and kindness" Penguin 2012

      33 Pollard. A., "The social world of primary school" Holt, Rinehart & Winston 1985

      34 Guerney, B. G., "Relationship enhancement : Skill-training programs for therapy, problem prevention, and enrichment" Jossey-Bass 1977

      35 Kline, P.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Press 2010

      36 Bandalos, D. L., "New developments and techniqu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69-296, 2001

      37 Rahim, M.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stlye of handling interpersonal conflict : First-order factor model and its invariance across groups" 80 (80): 122-132, 1995

      38 Rose, A. J., "Children's goals and strategies in response to conflicts within a friendship" 35 (35): 69-79, 1999

      39 Chung. Tsai-Yen, "Children's goals and strategies in peer conflict situations" 42 (42): 125-147, 1996

      40 Davis, M. H.,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divisual differences in empathy"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80

      41 Rahim, M. A., "A measure of style of handling interpersonal conflict" 26 (26): 368-376, 1983

      42 이상우, "3세 유아의 감정이입 수준과 또래간 갈등의 양상"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4 2.14 2.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4 2.47 2.766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