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메이션은 영화적인 연출 기법과 기술적인 요소 그래픽 소프트웨어나 첨단 편집장비 등-와 조형적인 요소 -캐릭터나 배경에서 나타나는 이미지- 등의 여러 가지 방법들을 통해 표현하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360666
2009
Korean
001
KCI등재
학술저널
67-91(25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애니메이션은 영화적인 연출 기법과 기술적인 요소 그래픽 소프트웨어나 첨단 편집장비 등-와 조형적인 요소 -캐릭터나 배경에서 나타나는 이미지- 등의 여러 가지 방법들을 통해 표현하는 ...
애니메이션은 영화적인 연출 기법과 기술적인 요소 그래픽 소프트웨어나 첨단 편집장비 등-와 조형적인 요소 -캐릭터나 배경에서 나타나는 이미지- 등의 여러 가지 방법들을 통해 표현하는 종합적인 영상 매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애니메이션의 여러 연구 가운데 본 논문은 일본 애니메이션 ‘바다가 들린다(海がきこえる)’에서 그 안에 담긴 로컬의 이미지를 다양한 척도로 분석을 하고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자 했는가에 대해 논하였다. 이 작품은 도쿄와 코우치 지방을 오가면서 그 곳의 다양한 이미지를 담고 있는 애니메이션으로써 도쿄가 가지고 있는 중심성과 코우치가 가지고 있는 주변성을 뛰어넘어 각 지역의 특성을 드러내고 있는 이미지를 다양한 분석을 통해 조사하였다. 또한 로컬의 위상을 나타내려는 다양한 이미지와 서사적인 구조를 찾아내어 분석하였는데 먼저 내러티브적인 요소와 캐릭터에서 두 로컬의 특성을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조형적인 요소를 통해서 각 로컬의 특성을 찾고자 했는데 이것은 크게 화면의 구성과 카메라 쇼트 그리고 컬러 이미지 분석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컬러 이미지 분석은 Hue & Tone 분류법으로 먼저 색상과 톤으로 분류하여 컬러의 느낌을 살펴보았고 캐릭터의 의상 컬러 배색은 일본의 색채학자인 “하류요시 나구모” (Haruyosi Nagumo)의 “컬러 이미지 차트”를 토대로 하여 색차 (Color difference)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분석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imation is an overall media using cinematic direction, using technology of graphic software and high-tech editing appliances, and shaping images featured by characters or surroundings. Among many researches about animation, this thesis deals with Ja...
Animation is an overall media using cinematic direction, using technology of graphic software and high-tech editing appliances, and shaping images featured by characters or surroundings. Among many researches about animation, this thesis deals with Japanese animation "I Can Hear the Sea(海がきこえる)" to analyze its local image with a variety of aspects and to guess what meaning it was trying to introduce. This takes place in both Tokyo and Kouchi includes many images and shows characteristics of each area regardless of a central feature Tokyo has and a surrounding feature Kouchi. We studied this through many points of view. Also we analyzed many images and rhetorical structure to show local's position, comparing two locals firstly in a narrative and a characteristics point of view. Meanwhile, the animation tries to figure out characteristics of each local through modeling aspect. We separated this into organization of screen, camera shot, and color image analysis, and then studied. When it comes to color image analysis, we looked into the feelings of color using Hue & Tone classification system to categorize colors and tones. We also analyzed images of characters' cloth colors using color differences based on "Color Image Chart" made by a Japanese expert of colors, Haruyosi Nagumo.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웹컬러 디자인 적용 분석 가이드"
2 John halas, "애니메이션의 이론과 실제" 신아사 2001
3 손은하, "애니메이션에 있어서 감정을 표현하는 효과적인 배경의 배색이미지 팔레트 개발" 한국기초조형학회 9 (9): 493-503, 2008
4 손은하,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피부색과의 상색지정 연구" 부산대학교 2007
5 손은하,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의상 컬러에 대한 배색 이미지 탐색도구 설계" 한국멀티미디어학회 10 (10): 1319-1327, 2007
6 류지석, "로컬리티학을 위한 시론" 2008
7 Noboru Ohta, "色彩工學" 도서출판 국제 2003
8 Shigenobu Kobayashi, "Color Image scale" Kosdansha International 1991
9 김경미, "17~18세기 대일외교ㆍ교역과매" 부산대학교 2008
1 "웹컬러 디자인 적용 분석 가이드"
2 John halas, "애니메이션의 이론과 실제" 신아사 2001
3 손은하, "애니메이션에 있어서 감정을 표현하는 효과적인 배경의 배색이미지 팔레트 개발" 한국기초조형학회 9 (9): 493-503, 2008
4 손은하,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피부색과의 상색지정 연구" 부산대학교 2007
5 손은하,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의상 컬러에 대한 배색 이미지 탐색도구 설계" 한국멀티미디어학회 10 (10): 1319-1327, 2007
6 류지석, "로컬리티학을 위한 시론" 2008
7 Noboru Ohta, "色彩工學" 도서출판 국제 2003
8 Shigenobu Kobayashi, "Color Image scale" Kosdansha International 1991
9 김경미, "17~18세기 대일외교ㆍ교역과매" 부산대학교 2008
콘텐츠 기획자의 창조성 분석과 한국인의 특성을 고려한 콘텐츠 기획의 가능성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9-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 | 1.2 | 1.2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1 | 1.17 | 2.031 | 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