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전두엽 증후군 환자를 위한 목표관리훈련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향후 임상에서 목표관리훈련과 같은 실행기능 중재의 발전을 위한 대규모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620852
2024
Korean
KCI등재후보,미등재
학술저널
7-24(1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전두엽 증후군 환자를 위한 목표관리훈련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향후 임상에서 목표관리훈련과 같은 실행기능 중재의 발전을 위한 대규모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기...
목적: 전두엽 증후군 환자를 위한 목표관리훈련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향후 임상에서 목표관리훈련과 같은 실행기능 중재의 발전을 위한 대규모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전두엽 증후군을 가진 한 명의 대상에 대해 단일 사례 연구 ABA 실험 설계를 사용하여 2023년 9월 25일부터 2023년 12월 22일 까지 4주간 주 3회씩 총 12회기를 실시하였다. 인지기능 평가는 Frontal Assessment Battery(FAB),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K-MMSE), Trail Making Test(TMT) -A/B를 사용하였다. 환자에게 배부한 설문지는 Dysexecutive Quesionnaire(DEX)이며, 보호자에게 제공한 설문지는 Cognitive Failure Questionnaire(CFQ)였다.
결과: 중재 전과 중재 후 평가 비교 시 FAB에서 2점, K-MMSE에서 4점이 향상되었으며, TMT 항목 세트 A 결과 0.79초, TMT 항목 세트 B 결과 59.49초가 감소되었다. 설문지인 DEX에서는 18점, CFQ에서는 15점이 감소되었다.
결론: 목표관리훈련 후 주의력, 기억력, 통찰력, 실행기능과 일상생활에 있어 인지기능이 향상되었으며, 생략 오류의 감소를 보였다. 또한 인터뷰를 통하여 환자의 자기 효능감 향상 및 일상생활에 있어 보호자의 도움의 양이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goal management training on cognitive function in patients with frontal lobe syndrome, and to highlight the need for larger studies using executive function interventions such as goal management training in...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goal management training on cognitive function in patients with frontal lobe syndrome, and to highlight the need for larger studies using executive function interventions such as goal management training in future clinical practice.
Method: Using a single case study ABA experimental design on one subject with frontal lobe syndrome, a total of 12 sessions were conducted 3 times a week for4 weeks from September 25, 2023 to December 22, 2023. Cognitive function was assessed using the Frontal Assessment Battery (FAB), Korean version ofMini-Mental State Exam (K-MMSE), and Trail Making Test (TMT) - A/B. The questionnaire distributed to patients was the Dysexecutive Questionnaire (DEX),and the questionnaire provided to guardians was the Cognitive Failure Questionnaire (CFQ).
Results: When comparing the pre- and post-intervention evaluations, FAB improved by 2 points, K-MMSE improved by 4 points, TMT item set A results decreased by 0.79 seconds, and TMT item set B results decreased by 59.49 seconds. DEX questionnaire decreased by 18 points, and CFQ decreased by 15 points.
Conclusion: After goal management training, attention, memory, insight, executive function, and cognitive function in daily life improved, and omission errors decreased. In addition, through interviews, it was confirmed that the patient’s self-efficacy improved and the amount of caregiver help in daily life decreased.
운전 시뮬레이터 기반 인지기능 평가 시 대학생의 우세측과 비우세측의 반응시간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