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2주간 운동 중재가 50대 이상 2형 당뇨병 환자의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에 미치는 성별에 따른 영향 = Gender Differences i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fter 12-Week Exercise Intervention in Individuals over the Age of 50 with Type 2 Diabet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954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 12-week a combination of online and in-person exercise intervention o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individuals over the age of 50 with type 2 diabetes(T2D), and compared differences on the factors by gender. The subjects included men (n=13) and women (n=12) over the age of 50 with T2D, who participated in moderate-intensity exercise interventions twice a week for 60 minutes over 12 weeks, combining online and in-person sessions. Women participants with T2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BMI (p<.05), DBP (p<.05), TC (p<.001), LDL-C (p<.05), HDL-C (p<.05), and cardiorespiratory fitness (p<.05) compared to their men participants.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gender and time observed for BMI (p<.05), DBP (p<.05), TC (p<.01), and LDL-C (p<.001) after intervention.
      Additionally, gender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fasting blood glucose (p<.05), total cholesterol (p<.05),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p<.001),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p<.01), and cardiorespiratory fitness (p<.05). Both men and women with T2Ds showed improvements in HDL-C and cardiorespiratory fitness following the intervention (p<.05). The change in body weigh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hanges in TC and LDL-C (p<.001), while BMI chang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muscle mass changes (p<.05).
      Changes in body fat percentag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changes in TC (p<.05). Muscle mass changes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changes in SBP (p<.01) and fasting glucose (p<.05), whereas changes in SBP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changes in LDL-C (p<.01). In conclusion, women with T2D were found to have higher levels of obesity and blood lipids than their men counterparts, placing them at greater risk for cardiovascular disease. After the 12 week exercise intervention, improvements in obesity and blood lipid levels were more significant in women compared to men, suggesting that a combination of online and in-person exercise interventions is effective in reducing cardiovscular disease risk in the population over the age of 50 with T2D.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 12-week a combination of online and in-person exercise intervention o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individuals over the age of 50 with type 2 diabetes(T2D), and compared differences on the factors by gend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 12-week a combination of online and in-person exercise intervention o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individuals over the age of 50 with type 2 diabetes(T2D), and compared differences on the factors by gender. The subjects included men (n=13) and women (n=12) over the age of 50 with T2D, who participated in moderate-intensity exercise interventions twice a week for 60 minutes over 12 weeks, combining online and in-person sessions. Women participants with T2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BMI (p<.05), DBP (p<.05), TC (p<.001), LDL-C (p<.05), HDL-C (p<.05), and cardiorespiratory fitness (p<.05) compared to their men participants.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gender and time observed for BMI (p<.05), DBP (p<.05), TC (p<.01), and LDL-C (p<.001) after intervention.
      Additionally, gender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fasting blood glucose (p<.05), total cholesterol (p<.05),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p<.001),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p<.01), and cardiorespiratory fitness (p<.05). Both men and women with T2Ds showed improvements in HDL-C and cardiorespiratory fitness following the intervention (p<.05). The change in body weigh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hanges in TC and LDL-C (p<.001), while BMI chang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muscle mass changes (p<.05).
      Changes in body fat percentag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changes in TC (p<.05). Muscle mass changes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changes in SBP (p<.01) and fasting glucose (p<.05), whereas changes in SBP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changes in LDL-C (p<.01). In conclusion, women with T2D were found to have higher levels of obesity and blood lipids than their men counterparts, placing them at greater risk for cardiovascular disease. After the 12 week exercise intervention, improvements in obesity and blood lipid levels were more significant in women compared to men, suggesting that a combination of online and in-person exercise interventions is effective in reducing cardiovscular disease risk in the population over the age of 50 with T2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50대 이상의 2형 당뇨병 환자들 대상으로 12주간의 운동 중재를 실시하고, 해당 운동 중재가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및 성별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고자 실시되었다. 대상자는 50대 이상의 당뇨병이 있는 남성(n=13)과 여성(n=12)이었으며, 12주간 온라인과 대면을 병행한 운동 중재를 주 2회, 60분의 중강도로 실시하였다. 운동 전 성별에 따른 차이는 당뇨병이 있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BMI(p<.05), DBP(p<.05), TC(p<.001), LDL-C(p<.05), HDL-C(p<.05) 및 심폐체력 수준(p<.05)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 중재 후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의 변화는 체중(p<.05), BMI(p<.05), DBP(p<.001), TC(p<.01), HDL-C(p<.001)에서 성별과 시간에 따른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으며, DBP(p<.05), 공복시 혈당(p<.05), TC(p<.05), 및 HDL-C(p<.01)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나타냈다. 체지방률(p<.001), SBP(p<.05), HDL-C(p<.05)와 심폐체력(p<.05)은 운동 중재 전후 시간에 따른 차이를 나타냈다. 체중 변화량은 TC 및 LDL-C(p<.001)의변화량과 유의한 양의 관련성을 나타냈으며, BMI의 변화량은 근육량의 변화와 유의한 양의 관련성을 나타냈으며(p<.05), 체지방률의변화는 TC의 변화량과 유의한 양의 관련성을 나타냈다(p<.05). 근육량의 변화량은 SBP(p<.01) 및 혈당의 변화량(p<.05)과 유의한 음의관련성을 나타냈다. SBP의 변화량은 LDL-C의 변화량과 유의한 양의 관련성을 나타냈다(p<.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2형 당뇨병여성은 남성에 비해 비만 수준과 혈중 지질의 수준이 높게 나타나 심혈관질환의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2주간의운동 중재 후 2형 당뇨병 여성의 비만 수준과 혈중 지질 수준의 개선이 남성보다 더 크게 나타나 운동 중재가 2형 당뇨병 여성에게심혈관질환 위험개선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50대 이상 당뇨병 환자들에게 온라인과 대면을 병행한 운동프로그램도운동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50대 이상의 2형 당뇨병 환자들 대상으로 12주간의 운동 중재를 실시하고, 해당 운동 중재가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및 성별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고자 실시되었다. 대...

      이 연구는 50대 이상의 2형 당뇨병 환자들 대상으로 12주간의 운동 중재를 실시하고, 해당 운동 중재가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및 성별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고자 실시되었다. 대상자는 50대 이상의 당뇨병이 있는 남성(n=13)과 여성(n=12)이었으며, 12주간 온라인과 대면을 병행한 운동 중재를 주 2회, 60분의 중강도로 실시하였다. 운동 전 성별에 따른 차이는 당뇨병이 있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BMI(p<.05), DBP(p<.05), TC(p<.001), LDL-C(p<.05), HDL-C(p<.05) 및 심폐체력 수준(p<.05)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 중재 후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의 변화는 체중(p<.05), BMI(p<.05), DBP(p<.001), TC(p<.01), HDL-C(p<.001)에서 성별과 시간에 따른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으며, DBP(p<.05), 공복시 혈당(p<.05), TC(p<.05), 및 HDL-C(p<.01)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나타냈다. 체지방률(p<.001), SBP(p<.05), HDL-C(p<.05)와 심폐체력(p<.05)은 운동 중재 전후 시간에 따른 차이를 나타냈다. 체중 변화량은 TC 및 LDL-C(p<.001)의변화량과 유의한 양의 관련성을 나타냈으며, BMI의 변화량은 근육량의 변화와 유의한 양의 관련성을 나타냈으며(p<.05), 체지방률의변화는 TC의 변화량과 유의한 양의 관련성을 나타냈다(p<.05). 근육량의 변화량은 SBP(p<.01) 및 혈당의 변화량(p<.05)과 유의한 음의관련성을 나타냈다. SBP의 변화량은 LDL-C의 변화량과 유의한 양의 관련성을 나타냈다(p<.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2형 당뇨병여성은 남성에 비해 비만 수준과 혈중 지질의 수준이 높게 나타나 심혈관질환의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2주간의운동 중재 후 2형 당뇨병 여성의 비만 수준과 혈중 지질 수준의 개선이 남성보다 더 크게 나타나 운동 중재가 2형 당뇨병 여성에게심혈관질환 위험개선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50대 이상 당뇨병 환자들에게 온라인과 대면을 병행한 운동프로그램도운동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