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자가체중 스쿼트 시 성인 여성의 발 각도 변화가 무릎 관절의 생체역학적 및 압력중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차이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9세 이상의 성인 여성 2...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495486
2024
Korean
squat exercise ; foot angle ; COP ; knee valgus ; knee alignment ; 스쿼트 ; 발 각도 ; 압력중심 ; 무릎 외반 ; 무릎 정렬
KCI등재
학술저널
217-224(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자가체중 스쿼트 시 성인 여성의 발 각도 변화가 무릎 관절의 생체역학적 및 압력중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차이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9세 이상의 성인 여성 2...
본 연구는 자가체중 스쿼트 시 성인 여성의 발 각도 변화가 무릎 관절의 생체역학적 및 압력중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차이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9세 이상의 성인 여성 29명을 모집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무릎 관절의 생체역학적 변인을측정하기 위해 14대의 영상 분석 카메라와 2대의 지면반력기를 사용하였으며, Cortex 5.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자가체중 스쿼트 시성인 여성의 발 각도에 따른 무릎 관절의 생체역학적 및 압력중심의 비교는 일원 배치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활용하였고, 압력중심과무릎 관절의 외반 모멘트의 상관성을 비교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계수 분석을 활용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난 경우, Bonferroni’s multiple comparison을 통해 조건별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모든 통계적 유의 수준은 α < .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자가체중 스쿼트 시 무릎 최대 굴곡 시점에서 발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무릎 관절 외반 각도가 감소하였으며, 무릎 관절 외반 모멘트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신체 압력중심과 무릎 관절 외반 모멘트는 발 각도 15º의 경우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이는 신체 압력중심이 전방에 위치할 수록 무릎 관절의 외반 모멘트는 감소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들을 기반으로, 성인 여성은 자가체중 스쿼트 시 발 각도 15º가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biomechanical effects and center of pressure on the knee joint of adult women resulting from variations in foot angle during self-weighted squats. 29 adult women aged 19 years and older were recruited for th...
This study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biomechanical effects and center of pressure on the knee joint of adult women resulting from variations in foot angle during self-weighted squats. 29 adult women aged 19 years and older were recruited for this research study. Fourteen motion analysis cameras and two force plates were utilized to measure the biomechanical variables of the knee joint, with Cortex 5.0 softwa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A one-way repeated measures ANOVA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biomechanical variables of the knee joint and the center of pressure based on foot angle in adult women.
Additionall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ass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er of pressure and the knee valgus moment. Post hoc verification was performed for condition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using Bonferroni's multiple comparison tes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α < .05 for all analys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during self-weight squats, an increase in foot angle at the point of maximum knee flexion led to a decrease in the knee valgus angle,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knee joint moment. A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center of pressure and the knee valgus moment at a foot angle of 15º, suggesting a connection between the anterior position of the center of pressure and the reduction of the knee valgus momen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a foot angle 15º is optimal for adult women during self-weight squats.
12주간 운동 중재가 50대 이상 2형 당뇨병 환자의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에 미치는 성별에 따른 영향
태권도 품새의 연구 동향과 과제: 2000년-2024년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필라테스 운동이 노인의 하지 근력 및 균형에 미치는 영향—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