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태권도 품새 관련 문헌을 연도별 발행 편수, 연구분야, 연구대상, 연구방법에따라 분류하여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태권도 품새 관련 문헌을 연도별 발행 편수, 연구분야, 연구대상, 연구방법에따라 분류하여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태권도 품새 관련 문헌을 연도별 발행 편수, 연구분야, 연구대상, 연구방법에따라 분류하여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태권도 품새 관련 연구 동향은 총 333편 중2020-2024년 119편(35.7%), 2010-2014년 92편(24.6%), 2015-2019년 80편(24.0%), 2005-2009년 26편(7.8%), 2000-2004년 16편(4.8%) 순으로나타났다. 둘째, 연구 주제에 따른 연구 동향을 살펴본 결과 스포츠심리학 82편(24.6%), 체육측정평가 55편(16.5%), 운동생리학 51편(15.3%), 스포츠철학 32편(9.6%), 스포츠마케팅 26편(7.8%), 운동역학 22편(6.6%), 스포츠사회학 21편(6.3%), 스포츠의학 16편(4.8%), 체육사 16편(4.8%), 스포츠교육학 10편(3.0%), 스포츠영양학 1편 0.3%), 여가레크레이션 1편(0.3%)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에 따른연구 동향 분석 결과 선수 136편(40.8%), 혼합 78편(23.4%), 문헌 56편(16.8%), 성인 23편(6.9%), 초등학생 18편(5.4%), 중고등학생 8편(2.4%), 관람객 7편(2.1%), 지도자 5편(1.5%), 심판 2편(0.6%)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방법에 따른 연구 동향 분석 결과에서는 양적연구 231편(69.4%), 질적연구 96편(28.8%), 혼합연구 6편(1.8%)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태권도 품새 관련 연구는2010년부터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선수를 대상으로 한 스포츠심리학, 체육측정평가, 운동생리학 분야의 양적연구가 주로이루어지고 있었다. 따라서, 태권도 품새의 발전을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와 대상 등 복합적인 측면을 고려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제기하고 있다. 특히 최근 품새 관련 연구는 경기규칙 개정, 신뢰도 분석, AI 시스템 도입 관련 연구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태권도 품새 경기가 더욱 공정하고 신뢰성 있게 운영될 수 있도록 AI 기반 판정 시스템 개발 및 적용 관련 후속 연구가 필요할것으로 사료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a frequency analysis of literature related to Taekwondo Poomsae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from 2000 to 2024 by classifying them by yearly trends, research fields,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methods, and the foll...
This study conducted a frequency analysis of literature related to Taekwondo Poomsae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from 2000 to 2024 by classifying them by yearly trends, research fields,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methods,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Taekwondo Poomsae were as follows: 119 papers (35.7%) from 2020 to 2024, 92 papers (24.6%) from 2010 to 2014, 80 papers (24.0%) from 2015 to 2019, 26 papers (7.8%) from 2005 to 2009, and 16 papers (4.8%) from 2000 to 2004 out of a total of 333 paper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research trends by research topic, the order was sports psychology (82 papers, 24.6%), physical education measurement and evaluation (55 papers, 16.5%), exercise physiology (51 papers, 15.3%), sports philosophy (32 papers, 9.6%), sports marketing (26 papers, 7.8%), exercise biomechanics (22 papers, 6.6%), sports sociology (21 papers, 6.3%), sports medicine (16 papers, 4.8%), physical education history (16 papers, 4.8%), sports pedagogy (10 papers, 3.0%), sports nutrition (1 paper, 0.3%), and leisure and recreation (1 paper, 0.3%). Thir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by research subject showed that there were 136 articles on athletes (40.8%), 78 articles on mixed subjects (23.4%), 56 articles on literature (16.8%), 23 articles on adults (6.9%), 18 article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5.4%), 8 articles o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2.4%), 7 articles on spectators (2.1%), 5 articles on coaches (1.5%), and 2 articles on referees (0.6%). Fourth,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rend analysis by research method showed that there were 231 quantitative studies (69.4%), 96 qualitative studies (28.8%), and 6 mixed studies (1.8%) in that order. In summary, research on Taekwondo Poomsae has shown an increasing trend since 2010, and mainly quantitativ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the fields of sports psychology, physical education measurement and evaluation, and exercise physiology targeting athletes. 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Taekwondo forms, the need for follow-up research that considers complex aspects such as various fields and targets is raised. In particular, recent research on poomsae has shown an increase in research on game rule revision, reliability analysis, and introduction of AI systems.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follow-up research is needed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AI-based judging system so that Taekwondo Poomsae competitions can be operated more fairly and reliably.
12주간 운동 중재가 50대 이상 2형 당뇨병 환자의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에 미치는 성별에 따른 영향
성인 여성의 자가체중 스쿼트 시 발 각도에 따른 압력중심 및 동적 무릎 외반 모멘트 차이
필라테스 운동이 노인의 하지 근력 및 균형에 미치는 영향—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