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중 명사 중첩어 대조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087602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4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4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Comparative Study of Korean-Chinese Noun Overlapping Words

      • 형태사항

        v, 81 p. : 삽화,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이정희
        참고문헌: p. 73-75

      • UCI식별코드

        I804:11006-200000804323

      • 소장기관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중 명사 중첩어 대조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전공 QI GUOLIANG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와 중국어의 명사 중첩어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파악 하고 한국어교육에 대한 제언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장은 연구 목적을 명확히 하고 명사 중첩어에 대한 연구를 문헌 연구와 대조 분석으로 나누어 연구의 주제와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냈다. 문헌 연구와 대조 분 석을 통해 본 연구는 명사 중첩어의 형태적 특징, 의미 특징과 통사적 특징을 분석 하고 한국어교육에 대한 제언을 통해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배울 수 있도록 돕는다. 제2장에서는 한국어 명사 중첩어의 정의와 분류를 소개하고, 이를 통해 한국어와 중국어 명사 중첩어의 개념적 차이를 탐구한다. 먼저, 한국과 중국 학자들이 명사 중첩어를 어떻게 연구해 왔는지를 고찰하고, 그 과정에서 제시된 다양한 정의와 분 류 방법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명사 중첩어의 기본 개념과 분류 기준을 정립하고, 두 언어 간의 명사 중첩어의 특징을 비교해 본다. 특히, 이 장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제안된 분류 방법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본 연구에서 활용할 최적의 분류 방법 을 결정하고자 한다. 명사 중첩어의 형태적 특징, 의미적 특성, 통사적 기능 등을 체계적으로 분류함으로써, 한국어와 중국어 명사 중첩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제3장은 제2장에서 언급된 명사 중첩의 분류 기준을 바탕으로 하여, 음절 수 분 류를 중첩 분류 기준으로 사용하여 한국어와 중국어의 명사 중첩어의 형태적 특징 을 대조 분석하고 한국어 교육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이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명사 중첩어의 기본 형태적 특징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함이다. 제4장은 한국어와 중국어의 명사 중첩어의 의미적 특징을 분석하였고, 「표준 국 어 대사전」에 선택된 한국어 명사 중첩어와 「네이버 사전」의 예문를 연구 대상 으로 하여 이러한 중첩어와 그 구성 요소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명사 중첩어가 복 수성, 반복성, 연속성 등을 표현함으로써 언어 의미의 다양성을 풍부하게 한다는 것 을 나타냈다. 특히 중첩어의 의미적 특성을 심도 있게 분석함으로써 언어의 다층적 의미 구조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리고 어근을 통한 교육과 학습의 제언을 제시하였다. 제5장은 중첩어의 문법적 기능과 역할을 탐구함으로써 언어 사용의 다양성과 복 잡성을 주로 분석하였다. 한국과 중국 학계의 선도적 연구는 주로 문장에서 중첩어 의 역할을 다루고 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이 장에서는 문장 내에서 명사 중 첩어가 수행하는 다양한 문법적 기능을 탐구하였다. 구체적으로 명사 중첩어가 주 어, 목적어, 관형어, 부사어, 서술어 등의 형태로 나타나는 통사적 특징을 설명하였 다. 마지막으로 한국어교육의 전반적인 교수·학습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고의 목적은 명사 중첩어에 대한 연구를 통해 중국어 지역사회의 조선어 학습 자들이 명사 중첩어의 특징을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명사 중첩어의 의미 다양성과 표현 능력을 확대하면 언어 학습자의 더욱 풍부하고 정확 한 교제 기능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된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에게 유용한 교재를 제공하여 한국어교육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한중 명사 중첩어 대조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전공 QI GUOLIANG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와 중국어의 명사 중첩어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파악 하고 한국어교육에 대...

      한중 명사 중첩어 대조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전공 QI GUOLIANG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와 중국어의 명사 중첩어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파악 하고 한국어교육에 대한 제언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장은 연구 목적을 명확히 하고 명사 중첩어에 대한 연구를 문헌 연구와 대조 분석으로 나누어 연구의 주제와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냈다. 문헌 연구와 대조 분 석을 통해 본 연구는 명사 중첩어의 형태적 특징, 의미 특징과 통사적 특징을 분석 하고 한국어교육에 대한 제언을 통해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배울 수 있도록 돕는다. 제2장에서는 한국어 명사 중첩어의 정의와 분류를 소개하고, 이를 통해 한국어와 중국어 명사 중첩어의 개념적 차이를 탐구한다. 먼저, 한국과 중국 학자들이 명사 중첩어를 어떻게 연구해 왔는지를 고찰하고, 그 과정에서 제시된 다양한 정의와 분 류 방법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명사 중첩어의 기본 개념과 분류 기준을 정립하고, 두 언어 간의 명사 중첩어의 특징을 비교해 본다. 특히, 이 장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제안된 분류 방법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본 연구에서 활용할 최적의 분류 방법 을 결정하고자 한다. 명사 중첩어의 형태적 특징, 의미적 특성, 통사적 기능 등을 체계적으로 분류함으로써, 한국어와 중국어 명사 중첩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제3장은 제2장에서 언급된 명사 중첩의 분류 기준을 바탕으로 하여, 음절 수 분 류를 중첩 분류 기준으로 사용하여 한국어와 중국어의 명사 중첩어의 형태적 특징 을 대조 분석하고 한국어 교육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이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명사 중첩어의 기본 형태적 특징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함이다. 제4장은 한국어와 중국어의 명사 중첩어의 의미적 특징을 분석하였고, 「표준 국 어 대사전」에 선택된 한국어 명사 중첩어와 「네이버 사전」의 예문를 연구 대상 으로 하여 이러한 중첩어와 그 구성 요소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명사 중첩어가 복 수성, 반복성, 연속성 등을 표현함으로써 언어 의미의 다양성을 풍부하게 한다는 것 을 나타냈다. 특히 중첩어의 의미적 특성을 심도 있게 분석함으로써 언어의 다층적 의미 구조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리고 어근을 통한 교육과 학습의 제언을 제시하였다. 제5장은 중첩어의 문법적 기능과 역할을 탐구함으로써 언어 사용의 다양성과 복 잡성을 주로 분석하였다. 한국과 중국 학계의 선도적 연구는 주로 문장에서 중첩어 의 역할을 다루고 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이 장에서는 문장 내에서 명사 중 첩어가 수행하는 다양한 문법적 기능을 탐구하였다. 구체적으로 명사 중첩어가 주 어, 목적어, 관형어, 부사어, 서술어 등의 형태로 나타나는 통사적 특징을 설명하였 다. 마지막으로 한국어교육의 전반적인 교수·학습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고의 목적은 명사 중첩어에 대한 연구를 통해 중국어 지역사회의 조선어 학습 자들이 명사 중첩어의 특징을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명사 중첩어의 의미 다양성과 표현 능력을 확대하면 언어 학습자의 더욱 풍부하고 정확 한 교제 기능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된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에게 유용한 교재를 제공하여 한국어교육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초록 iv
      • 1. 서론 1
      • 1.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 1.2. 선행연구 검토 2
      • 1.3. 연구 대상 및 방법 8
      • 국문 초록 iv
      • 1. 서론 1
      • 1.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 1.2. 선행연구 검토 2
      • 1.3. 연구 대상 및 방법 8
      • 2. 한중 중첩어의 개념과 분류 8
      • 2.1. 중첩어의 개념 8
      • 2.1.1. 한국어 중첩어의 개념 8
      • 2.1.2. 중국어 중첩어의 개념 10
      • 2.2. 중첩어의 분류 11
      • 2.2.1. 한국어 중첩어의 유형 분류 11
      • 2.2.2. 중국어 중첩어의 유형 분류 15
      • 2.3. 한중 중첩어의 분류 차이 16
      • 3. 한중 명사 중첩어의 형태적 특징 및 대조 분석 17
      • 3.1. 한국어 명사 중첩어의 형태적 특징 18
      • 3.2. 중국어 명사 중첩어의 형태적 특징 22
      • 3.3. 한중 명사 중첩어 형태적 특징 대조 분석 26
      • 3.4. 한국어교육을 위한 제언 29
      • 4. 한중 명사 중첩어의 의미적 특징 및 대조 분석 30
      • 4.1. 한국어 명사 중첩어의 의미적 특징 30
      • 4.2. 중국어 명사 중첩어의 의미적 특징 40
      • 4.3. 한중 명사 중첩어 의미적 특징 대조 분석 47
      • 4.4. 한국어교육을 위한 제언 52
      • 5. 한중 명사 중첩어의 통사적 특징 및 대조 분석 54
      • 5.1. 한국어 명사 중첩어의 통사적 특징 57
      • 5.2. 중국어 명사 중첩어의 통사적 특징 60
      • 5.3. 한중 명사 중첩어 통사적 특징 대조 분석 65
      • 5.4. 한국어교육을 위한 제언 67
      • 6. 결론 71
      • <참고문헌> 73
      • <부록> 76
      • [부록 1] 한국어 명사 중첩어 76
      • [부록 2] 중국어 명사 중첩어 78
      • <ABSTRACT> 7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