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稼亭 李穀 散文의 文藝的 特徵 = A Literary Feature Of Gajung Leegok`s Pro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856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ajung Leegok(1298~1351) is a hyanglee from the provinces. he did his best to study since he was young, and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Furthermore, as got a pass in Yuan dynasty, he achieved literary distinction and went to the world of politics to be a shinheungsadaebu.
      Look at the table of 「Gajungjeep」 which is a collection of his work. In contrast to general other ones, proses are organized in advance of poems and he lays emphasis on work which have a more literary tendency.
      In this study, focusing on his biased organization we research his literary feature attain works up to 105 proses.
      When we consider literary feature in his prose through a review which say that his prose is "Saum uei-o jun-a" in 「Goryeosa」 「Yuljoen」, he is a official but criticize about corrupt social problems through direct and intense writing. Moreover, he insist the cause and effect of then situation and begin a discussion politely and elegant not illiberally using a 4,6 Byunryoemoon form.
      As his writing style, many people in that time highly appreciate his prose.
      번역하기

      Gajung Leegok(1298~1351) is a hyanglee from the provinces. he did his best to study since he was young, and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Furthermore, as got a pass in Yuan dynasty, he achieved literary distinction and went to the world of politics ...

      Gajung Leegok(1298~1351) is a hyanglee from the provinces. he did his best to study since he was young, and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Furthermore, as got a pass in Yuan dynasty, he achieved literary distinction and went to the world of politics to be a shinheungsadaebu.
      Look at the table of 「Gajungjeep」 which is a collection of his work. In contrast to general other ones, proses are organized in advance of poems and he lays emphasis on work which have a more literary tendency.
      In this study, focusing on his biased organization we research his literary feature attain works up to 105 proses.
      When we consider literary feature in his prose through a review which say that his prose is "Saum uei-o jun-a" in 「Goryeosa」 「Yuljoen」, he is a official but criticize about corrupt social problems through direct and intense writing. Moreover, he insist the cause and effect of then situation and begin a discussion politely and elegant not illiberally using a 4,6 Byunryoemoon form.
      As his writing style, many people in that time highly appreciate his pros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稼亭 李穀(1298〜1351)은 미미한 지방 향리 출신으로, 어려서 글을 읽을 줄 알게 되었을 때부터 꾸준히 공부에 노력하여 20세에 科擧에 급제하고 이후 元 科擧에도 급제하여 文名을 떨치기 시작하여 중앙 정계로 진출한 신흥사대부의 한 사람이었다.
      稼亭의 詩文集인 「稼亭集」의 목차를 보면 詩와 散文의 순서가 다른 일반적인 문집들과 반대로 되어 散文이 詩보다 앞에 編制되어 있으며, 문예적인 성향이 많은 작품을 중시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編制에 관심을 가지고서 105편에 이르는 散文의 文藝的 特徵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高麗史』 「列傳」 稼亭條에서 稼亭의 글에 대해 “辭嚴·義奧·典雅”라고 언급한 評을 통해 稼亭 산문이 지닌 文藝的 特徵을 고찰해 본 결과, 稼亭은 當局者나 당시 타락한 사회문제에 대해 直說的이면서도 筆致가 엄한 글쓰기로 是正을 요구하였고, 동시에 이러한 사태에까지 이른 원인이 무엇이고 그 결과로 발생하는 제반문제에 대한 심오한 意中을 표출하기도 했으며, 4·6변려문의 형식을 활용하여 低俗하지 않고 高尙한 기품을 유지하면서 典雅하게 논의를 전개하기도 하였다.
      稼亭의 이러한 글쓰기로 인해 당시 많은 文人들이 稼亭의 글을 높게 평가하고 있었던 것이다.
      번역하기

      稼亭 李穀(1298〜1351)은 미미한 지방 향리 출신으로, 어려서 글을 읽을 줄 알게 되었을 때부터 꾸준히 공부에 노력하여 20세에 科擧에 급제하고 이후 元 科擧에도 급제하여 文名을 떨치기 시작...

      稼亭 李穀(1298〜1351)은 미미한 지방 향리 출신으로, 어려서 글을 읽을 줄 알게 되었을 때부터 꾸준히 공부에 노력하여 20세에 科擧에 급제하고 이후 元 科擧에도 급제하여 文名을 떨치기 시작하여 중앙 정계로 진출한 신흥사대부의 한 사람이었다.
      稼亭의 詩文集인 「稼亭集」의 목차를 보면 詩와 散文의 순서가 다른 일반적인 문집들과 반대로 되어 散文이 詩보다 앞에 編制되어 있으며, 문예적인 성향이 많은 작품을 중시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編制에 관심을 가지고서 105편에 이르는 散文의 文藝的 特徵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高麗史』 「列傳」 稼亭條에서 稼亭의 글에 대해 “辭嚴·義奧·典雅”라고 언급한 評을 통해 稼亭 산문이 지닌 文藝的 特徵을 고찰해 본 결과, 稼亭은 當局者나 당시 타락한 사회문제에 대해 直說的이면서도 筆致가 엄한 글쓰기로 是正을 요구하였고, 동시에 이러한 사태에까지 이른 원인이 무엇이고 그 결과로 발생하는 제반문제에 대한 심오한 意中을 표출하기도 했으며, 4·6변려문의 형식을 활용하여 低俗하지 않고 高尙한 기품을 유지하면서 典雅하게 논의를 전개하기도 하였다.
      稼亭의 이러한 글쓰기로 인해 당시 많은 文人들이 稼亭의 글을 높게 평가하고 있었던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종진, "李穀의 산문에 나타난 성리학과의 교섭 양상" 우리한문학회 13 (13): 63-83, 2005

      2 박성규, "李穀의 詠史詩 硏究" 한국문학회 26 : 2000

      3 김종진, "李穀의 詠史詩 硏究" 한국한문교육학회 12 : 1998

      4 황재국, "李穀의 散文에 나타난 作家意識" 강원대학교 20 : 1984

      5 유호진, "李穀 詩에 있어서의 反省的 視線과 自由에의 志向" 한국한문학회 26 : 2000

      6 鄭垣杓, "李穀 詩 硏究, In 한국한시작가연구" 한국한시학회 1995

      7 安秉卨, "李穀 竹夫人傳의 題材" 국민대 중국문제연구소 1990

      8 황재국, "李穀 文學 硏究" 경희대 1984

      9 元周用, "李奎報의 記에 관한 考察" 성균관대 1998

      10 陳必祥, "한문문체론" 이회 1995

      1 김종진, "李穀의 산문에 나타난 성리학과의 교섭 양상" 우리한문학회 13 (13): 63-83, 2005

      2 박성규, "李穀의 詠史詩 硏究" 한국문학회 26 : 2000

      3 김종진, "李穀의 詠史詩 硏究" 한국한문교육학회 12 : 1998

      4 황재국, "李穀의 散文에 나타난 作家意識" 강원대학교 20 : 1984

      5 유호진, "李穀 詩에 있어서의 反省的 視線과 自由에의 志向" 한국한문학회 26 : 2000

      6 鄭垣杓, "李穀 詩 硏究, In 한국한시작가연구" 한국한시학회 1995

      7 安秉卨, "李穀 竹夫人傳의 題材" 국민대 중국문제연구소 1990

      8 황재국, "李穀 文學 硏究" 경희대 1984

      9 元周用, "李奎報의 記에 관한 考察" 성균관대 1998

      10 陳必祥, "한문문체론" 이회 1995

      11 유이경, "이곡의 說 작품 연구" 이화여대 2002

      12 홍성욱, "이곡 산문의 연구-성리학적 이데올로기의 실천을 중심으로" 돈암어문학회 11 : 1999

      13 元周用, "목은 이색 산문 연구" 한국학술정보(주) 2008

      14 김광철,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 In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1996

      15 이병혁, "高麗末 性理學 受容과 漢詩" 태학사 2003

      16 고혜령, "高麗後期 士大夫와 性理學 受容" 일조각 2002

      17 김시업, "高麗後期 士大夫文學의 性格" 성균관대 1989

      18 황의열, "韓國 文集의 文體分類 硏究1" 우리한문학회 5 : 2001

      19 權近, "陽村集"

      20 安軸, "謹齋集"

      21 이병혁, "稼亭의 思想과 그 文學, In 한국한문학논문선집" 불함문화사 1989

      22 李穀, "稼亭集"

      23 宋載卲, "稼亭 李穀의 「東遊記」에 대하여" 한국한문학회 24 : 1999

      24 황재국, "稼亭 李穀의 시에 나타난 望鄕․思親과 歸去來의 意味" 온지학회 4 : 1998

      25 원주용, "稼亭 李穀의 記에 관한 考察" 동방한문학회 (40) : 37-64, 2009

      26 유명종, "稼亭 李穀의 生涯와 思想" 한국동양철학회 8 : 1997

      27 황재국, "稼亭 李穀 文學 硏究" 경희대 1979

      28 김시황, "稼亭 李穀 先生의 <代言官請罷取童女書> 簡介" 동아인문학회 13 : 2001

      29 來裕恂, "漢文典" 南開大學出版社 1993

      30 申翊聖, "樂全堂稿"

      31 田祿生, "埜隱逸稿"

      32 何寄澎, "唐宋古文新探" 大安出版社 1998

      33 成偉鈞, "修辭通鑒" 中國靑年出版社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6 0.74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