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2022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교사들의 무용교육지도를 위한 새로운 교수법 탐색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146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22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교사들의 무용교육지도를 위해 새로운 교수법 모색을 이론적으로 논의 하는데 목적을 둔다. 2022개정교육과정의 탐색은 초등체육교육에 대한 내용적...

      본 연구는 2022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교사들의 무용교육지도를 위해 새로운 교수법 모색을 이론적으로 논의 하는데 목적을 둔다. 2022개정교육과정의 탐색은 초등체육교육에 대한 내용적 측면에서의 이해를 넓히면서 실현 가 능한 교수법을 드러내고자 한 것이다. 교육과정 개정은 현 사회, 문화에서 요구되어지는 인간상이 변하게 되고 교육 생태계의 변화를 인식해야 한다. 다양하게 변화 되어지고 있는 교육환경은 교사와 학습자 상호간 능동적인 의사소통 이 가능해야한다. 이에 교사는 창의적인 교수법 모색을 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특히, 무용교육지도를 전문성으로 만 치부할 것이 아니라 예술적 감수성과 문화적, 심미적 감수성을 함양할 수 있게 하는 새로운 교수법 탐색이 필요 하다. 첫째, 교사들의 미메시스적 사고 전환이다. 둘째, 변화되고 있는 사회문화를 반영한 행위론적 관점에서의 교수 법 적용이다. 셋째, 표현영역에 대한 학습과정은 행복한 신체를 만드는 것으로 제도적 차원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이 에 2022초등체육교육에서 표현영역 즉, 무용교육지도는 교사들의 적극적인 연수 활동 또는 제도적인 관점에서 지원 해야 한다. 이로써 초등학습자들의 예술적 역량은 신체적, 정서적인 측면에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oretically discuss the search for new teaching methods to guid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dance education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Methods This study is a literature study Results Th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oretically discuss the search for new teaching methods to guid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dance education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Methods This study is a literature study Results Therefore, teachers need to make efforts to find creative teaching methods, and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new teaching methods that enable them to cultivate artistic sensitivity, cultural, and aesthetic sensitivity rather than dismissing dance education guidance as professionalism. The first is the transformation of teachers' mimesis thinking. Second, it is the application of teaching methods from a behavioral perspective that reflects the changing social culture. Third, the learning process in the area of expression is understood as creating a happy body. Conclusions Therefore, in elementary school sports education in 2022, the area of expression, that is, dance education guidance, should be supported from the perspective of active training activities or institutional perspective of teachers. As a result, the artistic competencies of elementary school learners will be able to grow in terms of physical and emotional aspec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연구방법
      • 초등무용교육의 문제점 진단
      • 1. 교사들의 인식: 미메시스 전환
      • Abstract
      • 서론
      • 연구방법
      • 초등무용교육의 문제점 진단
      • 1. 교사들의 인식: 미메시스 전환
      • 2. 새로운 교수법에 대한 모색: 행위론적 관점
      • 3. 표현영역에 대한 이해: 행복한 신체활동으로 인지
      • 결론
      • 참고문헌
      • 국문초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