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 개발의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최근 해안 개발과정에서 해저 구조물 설치에 따른 연약한 해저지반의 안정성 문제가 관건으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세굴에 의한 인공어초의 피해사례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해양 개발의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최근 해안 개발과정에서 해저 구조물 설치에 따른 연약한 해저지반의 안정성 문제가 관건으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세굴에 의한 인공어초의 피해사례와 ...
해양 개발의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최근 해안 개발과정에서 해저 구조물 설치에 따른 연약한 해저지반의 안정성 문제가 관건으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세굴에 의한 인공어초의 피해사례와 같이 구조물이 본래의 기능을 발위 할 수 없게 되는 일이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그러나 해저지반의 이동 및 안정성은 여러 현상이 상호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아직 정확한 규명이 이루어지지 않아 예측의 어려움이 있다. 특히 그동안 대부분의 연구들이 수리학적 변수들, 해양외력의 조건들에 대한 연구에 집중되어 있으며 해저지반의 종류와 지반공학적 특성을 고려한 평가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특성을 갖는 점토와 모래와 점토의 혼합토 형태인 중간토 지반을 인공적으로 조성하고 세굴특성과 지반공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통하여 불안정한 지반특성을 가지는 연약한 해저지반의 세굴특성과 지반공학적 특성의 상관관계를 고찰하고 정량적인 관계식을 제안하였다. 이는 향후 구조물의 안정성 평가를 위해 간단한 지반공학적 특성으로부터 해저지반의 세굴특성을 평가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