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DNA marker를 이용한 풍기 재래인삼의 주요 특성 분석 = Analysis of Major Traits for Native Ginseng(Panax ginseng C.A. Meyer) Collected from Poonggi Area in Korea Using DNA Mark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114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a total of 25 lines consisting of five native ginseng collections from Poonggi area, five lines from Geumsam area and 15 varieties were analyzed and clustered for the selection of Poonggi native ginseng in Korea using DNA marke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ong cluster distance were observed between the collections of 331002, 331004, 331005, 331007 and 331026 from Poonggi area, and the collections of 332009, 332021,332046, 332050 and 332066 from Geumsan area because of the sensible differences on the number of leaves per stem, stem color and petiole color. Thus, the collections from Poonggi area with specific characters consisting of one stem per plant, five leaves per stem and broad elliptic leaflet shape were finely classified using nine primers including OPD05, OPD20, OPG17, OPH05 and so on. In this study, the collection of 331007 from Poonggi area was considered as the respective collection with above characters.
      Thus, the nine primers such as OPD05 and so on, will be used to select the Poonggi ginseng in the future studies.
      번역하기

      In this study, a total of 25 lines consisting of five native ginseng collections from Poonggi area, five lines from Geumsam area and 15 varieties were analyzed and clustered for the selection of Poonggi native ginseng in Korea using DNA markers. The r...

      In this study, a total of 25 lines consisting of five native ginseng collections from Poonggi area, five lines from Geumsam area and 15 varieties were analyzed and clustered for the selection of Poonggi native ginseng in Korea using DNA marke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ong cluster distance were observed between the collections of 331002, 331004, 331005, 331007 and 331026 from Poonggi area, and the collections of 332009, 332021,332046, 332050 and 332066 from Geumsan area because of the sensible differences on the number of leaves per stem, stem color and petiole color. Thus, the collections from Poonggi area with specific characters consisting of one stem per plant, five leaves per stem and broad elliptic leaflet shape were finely classified using nine primers including OPD05, OPD20, OPG17, OPH05 and so on. In this study, the collection of 331007 from Poonggi area was considered as the respective collection with above characters.
      Thus, the nine primers such as OPD05 and so on, will be used to select the Poonggi ginseng in the future stud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국내 수집 재래종 인삼과 기존육성품종과의 유전적 연관을 통해 풍기지역 고유의 재래인삼 특성을 구명하고 지리적표시제 및 신품종 육성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전적 연관 분석에서 가장 먼 것으로 분류된 풍기지역 수집종 331002 등 5점과 금산지역수집종 332009 등 5점간의 형태적 특성을 비교한바 풍기재래종 인삼의 경수는 1~2개로 금산지역 수집종과 차이가없었으나, 장엽수, 경색, 엽병색, 소엽 모양에서는 금산지역수집종과 차이를 보였다. 즉 풍기 재래종은 장엽수가 5개이고 소엽 모양이 타원형이며, 경색과 엽병색이 자색, 연자색,진자색 등 다양한 것이 특징적이었다. 특히 유전적 연관에서 풍기지역 수집종 중 331002, 331005, 331007 및 331026은 함께 grouping 되었지만 331002는 대비 품종인 천풍과99.5%에서 함께 group지어져 있었다. 특히 331002 등 이 3개의 풍기 수집종은 기존 품종과 유전적 차이를 나타내보였다. 이를 통해 풍기 수집종 331002, 331005, 331007은 국내재래종에서 순계분리법으로 선발된 기존육성품종과는 유전적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331007은 농가 조사에서 나타난 주요 특성을 모두 갖추고 있어 풍기 재래인삼의 고유 특성을 가진 것으로 추측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풍기지역 재래 인삼의 주요 형태적 특성을 확인하였고, 유전적인 면에서도 타 지역 수집종과 기존육성품종과도 구분되어짐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선발된OPD05 등 9개의 prime는 경수 1개, 장엽수 5개, 소엽 모양은 타원형, 경색과 엽병색이 자색계열인 특성을 지닌 풍기재래인삼을 구분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어서 인삼 유전자원의 특성 구분 및 품종개량에 유익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국내 수집 재래종 인삼과 기존육성품종과의 유전적 연관을 통해 풍기지역 고유의 재래인삼 특성을 구명하고 지리적표시제 및 신품종 육성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한 결과는 다...

      국내 수집 재래종 인삼과 기존육성품종과의 유전적 연관을 통해 풍기지역 고유의 재래인삼 특성을 구명하고 지리적표시제 및 신품종 육성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전적 연관 분석에서 가장 먼 것으로 분류된 풍기지역 수집종 331002 등 5점과 금산지역수집종 332009 등 5점간의 형태적 특성을 비교한바 풍기재래종 인삼의 경수는 1~2개로 금산지역 수집종과 차이가없었으나, 장엽수, 경색, 엽병색, 소엽 모양에서는 금산지역수집종과 차이를 보였다. 즉 풍기 재래종은 장엽수가 5개이고 소엽 모양이 타원형이며, 경색과 엽병색이 자색, 연자색,진자색 등 다양한 것이 특징적이었다. 특히 유전적 연관에서 풍기지역 수집종 중 331002, 331005, 331007 및 331026은 함께 grouping 되었지만 331002는 대비 품종인 천풍과99.5%에서 함께 group지어져 있었다. 특히 331002 등 이 3개의 풍기 수집종은 기존 품종과 유전적 차이를 나타내보였다. 이를 통해 풍기 수집종 331002, 331005, 331007은 국내재래종에서 순계분리법으로 선발된 기존육성품종과는 유전적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331007은 농가 조사에서 나타난 주요 특성을 모두 갖추고 있어 풍기 재래인삼의 고유 특성을 가진 것으로 추측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풍기지역 재래 인삼의 주요 형태적 특성을 확인하였고, 유전적인 면에서도 타 지역 수집종과 기존육성품종과도 구분되어짐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선발된OPD05 등 9개의 prime는 경수 1개, 장엽수 5개, 소엽 모양은 타원형, 경색과 엽병색이 자색계열인 특성을 지닌 풍기재래인삼을 구분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어서 인삼 유전자원의 특성 구분 및 품종개량에 유익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담배인삼공사, "표준 인삼경작 방법"

      2 목성균, "인삼포 전국 확대를 위한 최적 환경 조성 연구" 한국인삼연초연구소 700-, 1986

      3 신동양, "인삼의 생산비 절감 및 재배기술연구" 한국인삼연초연구소 256-259, 1992

      4 권우생,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신품종 고풍의 육성경과 및 생육특성" 고려인삼학회 27 (27): 86-91, 2003

      5 김요태, "인삼 신품종 육성 연구" 한국인삼연초연구소 5-61, 1992

      6 김요태, "이식 방법에 따른 생장 특성 비교시험" 고려인삼연구소 473-484, 1979

      7 박훈, "논삼 재배 연구" 한국인삼연초연구소 142-158, 1983

      8 임순영, "국내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 수집 자원의 주요 특성 및 유연관계 분석" 경북대학교 2009

      9 Murray, M. G., "Rapid isolation of high molecular weight plant DNA" 8 : 4321-4325, 1980

      10 김진희, "RAPD를 이용한 고려인삼 육성계통의 유전적 다양성 분석" 한국약용작물학회 11 (11): 102-108, 2003

      1 한국담배인삼공사, "표준 인삼경작 방법"

      2 목성균, "인삼포 전국 확대를 위한 최적 환경 조성 연구" 한국인삼연초연구소 700-, 1986

      3 신동양, "인삼의 생산비 절감 및 재배기술연구" 한국인삼연초연구소 256-259, 1992

      4 권우생,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신품종 고풍의 육성경과 및 생육특성" 고려인삼학회 27 (27): 86-91, 2003

      5 김요태, "인삼 신품종 육성 연구" 한국인삼연초연구소 5-61, 1992

      6 김요태, "이식 방법에 따른 생장 특성 비교시험" 고려인삼연구소 473-484, 1979

      7 박훈, "논삼 재배 연구" 한국인삼연초연구소 142-158, 1983

      8 임순영, "국내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 수집 자원의 주요 특성 및 유연관계 분석" 경북대학교 2009

      9 Murray, M. G., "Rapid isolation of high molecular weight plant DNA" 8 : 4321-4325, 1980

      10 김진희, "RAPD를 이용한 고려인삼 육성계통의 유전적 다양성 분석" 한국약용작물학회 11 (11): 102-108, 2003

      11 차선경, "RAPD marker를 이용한 고려인삼(Panax ginseng C.A.Meyer)의 유전적 변이 분석" 한국자원식물학회 16 (16): 68-74, 2003

      12 Kwon, W. S., "Breeding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KG101, a superior line of Panax ginseng C. A. Meyer" 22 : 11-17, 1998

      13 Rhim, S. Y, "Analysis for the major traits and genetic similarity of native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collections in Korea"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49 0.91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