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E-초등학교 어린이의 영구치 맹출시기 및 순서 = ERUPTION TIME AND SEQUENCE OF PERMANENT TEETH IN STUDENTS FROM E-ELEMENTARY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168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치아 맹출은 나이, 성별, 인종, 시대에 따라 시기 및 순서의 차이가 있으나, 교과서에 인용되어 임상에서 사용되는 영구치 맹출 및 치근 형성에 대한 자료는 1933년 Logan과 Kronfeld가 발표한 것...

      치아 맹출은 나이, 성별, 인종, 시대에 따라 시기 및 순서의 차이가 있으나, 교과서에 인용되어 임상에서 사용되는 영구치 맹출 및 치근 형성에 대한 자료는 1933년 Logan과 Kronfeld가 발표한 것이므로 현재 한국 어린이의 영구치 맹출 경향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의 목적은 한국 어린이의 영구치 맹출연령을 구하고, 이를 근거로 맹출순서를 알아보며, 이전 국내외 연구자료와 비교하여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1998년부터 2005년까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여 구강검진을 시행한 E-초등학교의 어린이 중 만 6세에서 만 12세의 2,619명 (남자 1,307명, 여자 1,312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영구치의 맹출시기 및 순서에 대해 연구 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악의 영구치 맹출시기는 중절치는 남자 만 6.81세, 여자 만 6.73세, 측절치는 남자 만7.78세, 여자 만7.65세, 견치는 남자 만10.48세, 여자 만9.92세, 제1소구치는 남자 만9.76세, 여자 만9.63세, 제2소구치는 남자 만10.66세, 여자 만10.49세, 제1대구치는 남자 만6.39세, 여자 만6.26세, 제2대구치는 남자 만12.13세, 여자 만 12.03세로 나타났다.
      2. 하악의 영구치 맹출시기는 중절치는 남녀 모두 정확한 시기의 측정은 불가능하였지만, 만 6.08세 이전에 맹출한다는 것을 추정 할 수 있었고, 측절치는 남자 만6.78세, 여자 만6.65세, 견치는 남자 만9.76세, 여자 만9.05세, 제1소구치는 남자 만9.82세, 여자 만9.59세, 제2소구치는 남자 만10.67세, 여자 만10.52세, 제1대구치는 남자 만6.22세, 여자 만6.12세, 제2대구치는 남자 만11.58세, 여자 만 11.14세로 나타났다.
      3. 맹출순서는 상악은 제1대구치, 중절치, 측절치, 제1소구치, 견치, 제2소구치, 제2대구치 순이었고, 하악은 중절치, 제1대구치, 측절치, 견치, 제1소구치, 제2소구치, 제2대구치 순이었다.
      4. 모든 영구치에서 남자보다 여자가 빨리 맹출하였으며, 상악은 약 0.19세, 하악은 약 0.29세 먼저 맹출하였다.
      5. 남녀 모두 상악은 측절치와 제1소구치 사이, 하악은 측절치와 견치 사이에 휴지기가 있었고, 남자의 휴지기는 상악 1.98년, 하악 2.98년, 여자는 상악 1.98년, 하악 2.40년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new data on the timing and sequence of permanent teeth emergence and to compare these findings with the results of earlier studies. The dental examinations had been performed to E-elementary school students, w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new data on the timing and sequence of permanent teeth emergence and to compare these findings with the results of earlier studies. The dental examinations had been performed to E-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visited the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ital between 1998 and 2005; 1,307 boys and 1,312 girls with the age ranging from 6 to 12 years old. The followings were concluded.
      1. Eruption time of the maxillary permanent teeth is as follows, It was 6.81 years in male and 6.73 years in female for the central incisor, 7.78 years in male and 7.65 years in female for the lateral incisor, 10.48 years in male and 9.92 years in female for the canine, 9.76 years in male and 9.63 years in female for the first premolar, 10.66 years in male and 10.49 years in female for the second premolar, 6.39 years in male and 6.26 years in female for the first permanent molar, and 12.13 years in male and 12.03 years in female for the second permanent molar.
      2. Eruption time of the mandibular permanent teeth is as follows. The central incisor could not be determined in this study, but it is assumed to erupt before the age of 6.08. In the mandible, eruption time was 6.78 years in male and 6.65 years in female for the lateral incisor, 9.76 years in male and 9.05 years in female for the canine, 9.82 years in male and 9.59 years in female for the first premolar, 10.67 years in male and 10.52 years in female for the second premolar, 6.22 years in male and 6.12 years in female for the first permanent molar, and 11.58 years in male and 11.14 years in female for the second permanent molar.
      3. The eruption sequence is as follows. In the maxilla, the first permanent molar erupted first, followed by the central incisor, the lateral incisor, the first premolar, the canine, the second premolar, and the second permanent molar. In the mandible, the central incisor erupted first, followed by the first permanent molar, the lateral incisor, the canine, the first premolar, the second premolar, and the second permanent molar.
      4. Tooth eruption occurred earlier in female compared to male by average of 0.19 year in the maxilla and 0.29 year in the mandible.
      5. In both male and female, the hiatus (interval of rest) occurred between the emergence of lateral incisor and first premolar in the maxilla while it was observed between the lateral incisor and canine in the mandible. Male had a hiatus of 1.98 years in the maxilla and 2.90 years in the mandible, while the female's were 1.98 years and 2.40 years, respectivel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진태, "한국인 하악 영구치 발육에 관한 X-선학적 연구" 10 : 43-72, 1965

      2 최상열, "한국인 치아 발육에 관한 연구" 10 : 593-604, 1972

      3 최상열, "한국인 치아 맹출에 관한 연구" 12 : 255-262, 1974

      4 차문호, "한국인 영구치 맹출시기에 대한 연구" 8 : 1-21, 1963

      5 문제원, "한국인 영구치 맹출시기에 관한 통계학적 연구" 11 : 25-39, 1984

      6 정해만, "한국인 아동 측방 영구치군의 맹출속도 및 시기에 관한 연구" 81 : 1-16, 1989

      7 최병재,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이용한 영구치 발육에 관한 연구" 23 : 170-177, 1996

      8 강태성, "연세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어린이에서의 영구치 맹출 시기 및 순서" 대한소아치과학회 32 (32): 693-702, 2005

      9 대한소아치과학회, "소아청소년치과학" 신흥인터내셔널 126-134, 2007

      10 양규호, "서울지역 아동의 영구치 맹출에 관한 종단적인 연구" 17 : 529-540, 1979

      1 김진태, "한국인 하악 영구치 발육에 관한 X-선학적 연구" 10 : 43-72, 1965

      2 최상열, "한국인 치아 발육에 관한 연구" 10 : 593-604, 1972

      3 최상열, "한국인 치아 맹출에 관한 연구" 12 : 255-262, 1974

      4 차문호, "한국인 영구치 맹출시기에 대한 연구" 8 : 1-21, 1963

      5 문제원, "한국인 영구치 맹출시기에 관한 통계학적 연구" 11 : 25-39, 1984

      6 정해만, "한국인 아동 측방 영구치군의 맹출속도 및 시기에 관한 연구" 81 : 1-16, 1989

      7 최병재,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이용한 영구치 발육에 관한 연구" 23 : 170-177, 1996

      8 강태성, "연세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어린이에서의 영구치 맹출 시기 및 순서" 대한소아치과학회 32 (32): 693-702, 2005

      9 대한소아치과학회, "소아청소년치과학" 신흥인터내셔널 126-134, 2007

      10 양규호, "서울지역 아동의 영구치 맹출에 관한 종단적인 연구" 17 : 529-540, 1979

      11 Ha¨gg U, "Timing of tooth emergence. A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of Swedish urban children from birth to 18 years" 10 : 195-206, 1986

      12 Virtanen JI, "Timing of eruption of permanent teeth: Standard Finnish patient documents" 22 : 286-288, 1994

      13 Lavelle CLB, "The timing of tooth emergence in four population samples" 5 : 231-236, 1976

      14 Garn SM, "The sex difference in tooth calcification" 37 : 561-, 1958

      15 Nolla C, "The development of the permanent teeth" 27 : 254-, 1960

      16 Kochhar R, "The chronology and sequence of eruption of human permanent teeth in Northern Ireland" 8 : 243-252, 1998

      17 Bailit HL, "Maternal effects on the developing dentition" 13 : 155-162, 1968

      18 Moorrees CF, "Formation and resorption of three deciduous teeth in children" 21 : 205-, 1963

      19 Friedlaender JS, "Eruption times of the deciduous and permanent teeth of natives of Bongainville island, territory of New Guinea: A study of racial variation" 41 : 51-65, 1969

      20 Lee MMC, "Eruption of permanent dentition of Southern Chinese children in Hong Kong" 10 : 849-861, 1965

      21 Garn SM, "Economic impact on tooth emergence" 39 : 233-237, 1973

      22 Logan WHG, "Development of the human jaw and surrounding structure from birth to the age of 15 years" 20 : 379-427, 1933

      23 Harris EF, "Delayed tooth formation in low birthweight African-America children" 15 : 30-35, 1993

      24 Gillard RD, "An improved method for age at death determination from measurement of D-Aspartic acid in dental collagen" 32 : 61-70, 1990

      25 Choi NK, "A study on the eruption timing of primary teeth in Korean children" 68 : 244-249, 2001

      26 Parner ET, "A longitudinal study of time trends in the eruption of permanent teeth in Danish children" 46 : 425-431,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35 0.399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