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한 긍정성 공명이 또래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 긍정정서와 정서조절의 이중매개효과 = The Effect of Positivity Resonance Perceived by Adolescents on Peer Relationship Quality :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Emotion and Emotion Regul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350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Fredrickson의 '긍정성 공명(Positivity Resonance)' 경험이 긍정정서와 정서조절을 거쳐 또래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청소년의 관계의 질을 높이기 위한 상담 및 교육 전략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에 거주하는 만 14세 이상 18세 이하 청소년 36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성 공명, 긍정정서, 정서조절, 또래관계 질 사이에서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성 공명과 또래관계 질의 관계에서 긍정정서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긍정성 공명과 또래관계 질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긍정성 공명과 또래관계 질의 관계에서 긍정정서와 정서조절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의의와 시사점 및 후속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Fredrickson의 '긍정성 공명(Positivity Resonance)' 경험이 긍정정서와 정서조절을 거쳐 또래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청소년의 관계의 질을 높이기 위한 상담 및 교육 전략을 제...

      본 연구는 Fredrickson의 '긍정성 공명(Positivity Resonance)' 경험이 긍정정서와 정서조절을 거쳐 또래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청소년의 관계의 질을 높이기 위한 상담 및 교육 전략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에 거주하는 만 14세 이상 18세 이하 청소년 36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성 공명, 긍정정서, 정서조절, 또래관계 질 사이에서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성 공명과 또래관계 질의 관계에서 긍정정서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긍정성 공명과 또래관계 질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긍정성 공명과 또래관계 질의 관계에서 긍정정서와 정서조절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의의와 시사점 및 후속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태현 ; 이희경, "한국판 긍정성 공명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재활심리학회 27 (27): 135-161, 2020

      2 김경희 ; 이희경, "한국인 긍정정서 반응 양식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재활심리학회 27 (27): 85-115, 2020

      3 조은정, "청소년의 정서인식명확성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 17 (17): 27-48, 2020

      4 이경자, "청소년의 긍정정서 증진 프로그램 개발" 6 (6): 329-343, 2019

      5 서민지 ; 이승연, "자기조절자원 고갈 상황에서 효과적인 섭식조절을 위한 긍정정서의 효과: 섭식억제 여대생 집단을 중심으로"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8 (38): 67-81, 2017

      6 박성연 ; 박혜경,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남아의 정서조절 능력과 공격성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 40 (40): 87-98, 2002

      7 김진경 ; 유안진, "시설거주여부,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초기 청소년의 의사소통 기술과 또래관계 질" 한국아동학회 23 (23): 121-135, 2002

      8 김경희 ; 이희경, "대인관계 유능성에 대한 긍정정서의 영향: 경험 회피와 자기자비, 인지적 공감의 경로 탐색" 한국상담학회 16 (16): 83-107, 2015

      9 김경희 ; 이희경, "긍정정서와 자기결정성 요인이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12 (12): 1353-1370, 2011

      10 이은화 ; 김혜련 ; 이희경, "긍정정서와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 향유신념으로 조절된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8 (28): 375-403, 2021

      1 남태현 ; 이희경, "한국판 긍정성 공명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재활심리학회 27 (27): 135-161, 2020

      2 김경희 ; 이희경, "한국인 긍정정서 반응 양식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재활심리학회 27 (27): 85-115, 2020

      3 조은정, "청소년의 정서인식명확성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 17 (17): 27-48, 2020

      4 이경자, "청소년의 긍정정서 증진 프로그램 개발" 6 (6): 329-343, 2019

      5 서민지 ; 이승연, "자기조절자원 고갈 상황에서 효과적인 섭식조절을 위한 긍정정서의 효과: 섭식억제 여대생 집단을 중심으로"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8 (38): 67-81, 2017

      6 박성연 ; 박혜경,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남아의 정서조절 능력과 공격성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 40 (40): 87-98, 2002

      7 김진경 ; 유안진, "시설거주여부,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초기 청소년의 의사소통 기술과 또래관계 질" 한국아동학회 23 (23): 121-135, 2002

      8 김경희 ; 이희경, "대인관계 유능성에 대한 긍정정서의 영향: 경험 회피와 자기자비, 인지적 공감의 경로 탐색" 한국상담학회 16 (16): 83-107, 2015

      9 김경희 ; 이희경, "긍정정서와 자기결정성 요인이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12 (12): 1353-1370, 2011

      10 이은화 ; 김혜련 ; 이희경, "긍정정서와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 향유신념으로 조절된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8 (28): 375-403, 2021

      11 김경희 ; 이희경, "긍정정서와 긍정정서 반응 양식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6 (16): 339-359, 2019

      12 장정주, "긍정적 정서 증진 훈련이 대학생의 정적 및 부적 정서, 정서조절의 곤란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1 (31): 421-443, 2015

      13 조은숙 ; 김스완, "긍정심리학을 반영한 무용교육에 대한 연구 - 마틴 셀리그만(Martin Seligman)의 펄마(PERMA)이론을 중심으로" 한국무용예술학회 61 (61): 55-71, 2016

      14 김수열, "긍정심리학에 근거한 청소년 정서조절 프로그램의 효과-우울,대인관계, 심리적 안녕감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1

      15 변서하 ; 김미경, "긍정심리학에 근거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학습부진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변화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문화교육학회 17 (17): 103-130, 2022

      16 권석만,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학지사 2008

      17 김종운 ; 김유경, "긍정심리증진 집단상담이 양육시설 청소년의 비합리적 신념과 정서조절력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965-983, 2016

      18 Ed Diener, "Will Money Increase Subjective Well-Being?" 57 : 19-169, 2002

      19 Fredrickson, B. L., "What good are positive emotions?" 2 (2): 300-319, 1998

      20 Updegraff, J. A., "What Makes Experiences Satisfying? The Interaction of Approach-Avoidance Motivations and Emotions in Well-Being" 86 (86): 496-504, 2004

      21 Major, B. C., "Well-being correlates of perceived positivity resonance : Evidence from trait and episode-level assessments" 44 (44): 1631-1647, 2018

      22 Ed Diener, E., "Very happy people" 13 (13): 81-84, 2002

      23 Burns, A. B., "Upward spirals of positive emotion and coping : Replication, extension, and initial exploration of neurochemical substrates" 44 (44): 360-370, 2008

      24 Fredrickson, B. L., "The value of positive emotions" 91 (91): 330-335, 2003

      25 Algoe, S. B., "The social functions of the emotion of gratitude via expression" 13 (13): 605-509, 2013

      26 Fredrickson, B. L.,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 The broaden-and-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56 (56): 218-226, 2001

      27 Shiota, M. N., "The regulation of emotion" 127-155, 2004

      28 Trope, Y., "Temporal construal and time-dependent changes in preference" 79 (79): 876-889, 2000

      29 Boothby, E. J., "Shared experiences are amplified" 25 (25): 2209-2216, 2014

      30 Aspinwall, L. G., "Rethinking the role of positive affect in self-regulation" 22 (22): 1-32, 1998

      31 Tice, D. M., "Restoring the self : Positive aŸect helps improve self-regulation following ego depletion" 43 (43): 379-384, 2007

      32 Kurtz, L. E., "Putting laughter in context : Shared laughter as behavioral indicator of relationship well-being" 22 (22): 573-590, 2015

      33 Cole, P. M., "Preschoolers' emotion regulation strategy understanding : Relations with emotion socialization and child self-regulation" 18 (18): 324-352, 2009

      34 Fredrickson, B. L., "Positive emotions speed recovery from the cardiovascular sequelae of negative emotions" 12 (12): 191-220, 1998

      35 Fredrickson, B. L., "Positive emotions broaden the scope of attention and thought-action repertoires" 19 (19): 313-332, 2005

      36 Fredrickson, B. L, "Positive emotions broaden and build" 47 : 1-53, 2013

      37 Algoe, S. B., "Positive Interpersonal Process" 28 (28): 183-188, 2019

      38 Coie, J. D., "Peer rejection in childhood" 17-59, 1990

      39 박은영 ; 황은영, "PERMA기반 음악활동이 장기요양시설 경증치매 노인의 우울, 대인관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6 (16): 273-300, 2020

      40 Selman, R. L., "Observing troubled children's interpersonal negotiation strategies : Implications of and for a developmental model" 55 (55): 288-304, 1984

      41 Waugh, C. E., "Nice to know you : Positive emotions, self? other overlap, and complex understanding in the formation of a new relationship" 1 (1): 93-106, 2006

      42 Dovidio, J. F., "Intergroup cognition and intergroup behavior" 337-366, 1998

      43 Fredrickson, B. L., "Handbook of emotions" 847-858, 2016

      44 Gable, S. L., "Good news! Capitalizing on positive events in an interpersonal context" 42 : 195-257, 2010

      45 Zautra, A., "Examinations of chronic pain and affect relationships : Applications of a dynamic model of affect" 69 (69): 786-795, 2001

      46 Turner, S. A., "Emotional and uncontrolled eating styles and chocolate chip cookie consumption. A controlled trial of the effects of positive mood enhancement" 54 (54): 143-149, 2010

      47 Eisenberg, N., "Emotion and social behavior" 119-150, 1992

      48 Piff, P. K., "Awe, the small self, and prosocial behavior" 108 (108): 883-899, 2015

      49 Isen, A. M.,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203-253, 1987

      50 Hightower, E., "Adolescent interpersonal and familial precursors of positive mental health at midlife" 19 (19): 257-275, 1990

      51 Lambert, N. M., "A boost of positive affect : The perks of sharing positive experiences" 30 (30): 24-43,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