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학생의 정서표현양가성과 대인관계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Middle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350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정서표현양가성과 대인관계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A, B, C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최종적으로 274명의 설문 자료를 SPSS Ver.27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변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정서표현양가성, 사회적지지, 대인관계 간에는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정서표현양가성과 대인관계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중학생의 정서표현양가성이 대인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정서표현양가성과 대인관계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가 부분 매개로써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중학생의 대인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정서표현양가성과 사회적지지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정서표현양가성과 대인관계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A, B, C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정서표현양가성과 대인관계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A, B, C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최종적으로 274명의 설문 자료를 SPSS Ver.27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변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정서표현양가성, 사회적지지, 대인관계 간에는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정서표현양가성과 대인관계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중학생의 정서표현양가성이 대인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정서표현양가성과 대인관계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가 부분 매개로써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중학생의 대인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정서표현양가성과 사회적지지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민경환 ; 최해연, "한국판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 척도의 타당화 및 억제 개념들 간의 비교 연구"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1 (21): 71-89, 2007

      2 박영호, "한국적 부모-자녀관계가 대인관계 능력에 미치는 영향 : 부자유친성정, 애착, 우리의식, 자아분화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6

      3 나은영 ; 차유리, "한국인의 가치관 변화 추이: 1979년,1998년,및 2010년의 조사 결과 비교"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4 (24): 63-93, 2010

      4 이미라,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지지체계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1

      5 최아라 ; 이숙, "청소년의 기질과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대한가정학회 55 (55): 249-261, 2017

      6 한상철, "청소년 심리학" 양서원 1998

      7 한남식, "중학생의 대인관계 성향과 또래 괴롭힘 및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불안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12

      8 최해연, "정서표현에 대한 갈등과 억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9 박하얀 ; 정윤경 ; 최해연, "정서표현양가성의 발달과 이에 따른 정서표현성, 문제행동 및 심리적안녕감: 아동·청소년·성인집단의 비교"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8 (28): 189-207, 2015

      10 이경희 ; 김봉환,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조절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정서명확성, 정서강도 및 정서주의의 군집 비교" 한국상담심리학회 22 (22): 369-384, 2010

      1 민경환 ; 최해연, "한국판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 척도의 타당화 및 억제 개념들 간의 비교 연구"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1 (21): 71-89, 2007

      2 박영호, "한국적 부모-자녀관계가 대인관계 능력에 미치는 영향 : 부자유친성정, 애착, 우리의식, 자아분화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6

      3 나은영 ; 차유리, "한국인의 가치관 변화 추이: 1979년,1998년,및 2010년의 조사 결과 비교"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4 (24): 63-93, 2010

      4 이미라,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지지체계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1

      5 최아라 ; 이숙, "청소년의 기질과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대한가정학회 55 (55): 249-261, 2017

      6 한상철, "청소년 심리학" 양서원 1998

      7 한남식, "중학생의 대인관계 성향과 또래 괴롭힘 및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불안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12

      8 최해연, "정서표현에 대한 갈등과 억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9 박하얀 ; 정윤경 ; 최해연, "정서표현양가성의 발달과 이에 따른 정서표현성, 문제행동 및 심리적안녕감: 아동·청소년·성인집단의 비교"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8 (28): 189-207, 2015

      10 이경희 ; 김봉환,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조절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정서명확성, 정서강도 및 정서주의의 군집 비교" 한국상담심리학회 22 (22): 369-384, 2010

      11 박한나 ; 허재홍 ; 오충광, "정서종류에 따른 정서억제와 안녕감 그리고 대인관계의 관계: 대학생 집단에서 개인 문화성향의 조절효과"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8 (38): 115-130, 2017

      12 장정주 ; 김정모, "정서적 자각, 표현, 및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과 대인관계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697-714, 2008

      13 오경자 ; 이승미, "정서인식불능,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감정, 정서표현성이 중년 기혼 여성의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상심리학회 25 (25): 113-128, 2006

      14 김주연 ; 박경훈 ; 이영순, "정서경험 군집에 따른 정서조절전략 및 갈등해결전략의 차이 : 정서인식 명확성, 정서표현 양가성의 군집비교" 한국재활심리학회 22 (22): 377-391, 2015

      15 박순정, "자아개념이 대인관계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淑明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6

      16 문선모, "인간관계훈련 집단상담의 효과에 관한 일 연구" 19 : 195-204, 1980

      17 송경미 ; 조성제, "위기청소년의 사회적지지가 대인관계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22 (22): 433-442, 2021

      18 송현정 ; 김장회, "아동의 부정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부정적 반응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 효과"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11 (11): 137-157, 2021

      19 이지연, "사회적 지지망에 관한 발달적 연구" 14 (14): 5-28, 2000

      20 김유숙 ; 허재경, "부모애착안정성과 사회적 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심리학회 10 (10): 483-495, 2005

      21 김남연 ; 양난미, "부모애착, 내면화된 수치심, 분노억제가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13 (13): 2309-2328, 2012

      22 한나라, "모바일 페이스북 이용이 대인관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와 대인관계 스트레스의 매개적 역할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23 조혜정, "마음챙김과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7

      24 남미진, "대학생의 정서표현양가성이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순차적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25 김태희 ; 김갑숙, "대학생의 정서표현신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5 (15): 2327-2343, 2014

      26 김종운 ; 정은미, "대학생의 정서표현 양가성과 의사소통 유형이 대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619-636, 2018

      27 김영희 ; 신현숙,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정서표현 양가성 관계에서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5 (25): 123-142, 2017

      28 김희진 ; 주은지,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감사성향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9 (9): 799-814, 2018

      29 김효진 ; 장윤옥, "공업고등학교 학생의 사회적지지와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8 (18): 1-32, 2011

      30 Vaux, A., "Variations in social support associated with gender, ethnicity, and age" 41 : 89-110, 1985

      31 Heider. F., "The psychology of interpersonal relations" John Wuley & Son 1964

      32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1182, 1986

      33 Sullivan, H. S., "The interpersonal theory of psychologyt" Norton 1953

      34 Fridlund, A. J., "Sociality of solitary smiling : Potentiation by an implicit audience" 60 (60): 229-240, 1991

      35 Schlein, S., "Relationship enhancement" Josey-Bass 1971

      36 Marroquin, B., "Interpersonal emtion regulation as a mechanism of social support in depression" 318 (318): 1276-1290, 2011

      37 Levenson, R. W., "Influence of age and gender on affect, physiology, and the interrelations : A study of long-term marriages" 67 : 56-68, 1994

      38 Gazada. G., "Group couseling: A developmental approach" Allyn& Bacon 1978

      39 Maslow, A. H., "Farther reaches of human nature" Viking 1971

      40 Emmons, R. A., "Emotional conflict and well-being : Relation to perceived availability, daily utilization, and observer reports of social support" 68 (68): 947-959, 1995

      41 King, L. A., "Conflict over emotional expression : Psychological and physical correlates" 58 : 864-877, 1990

      42 King, L. A., "Conflict over emotional expression : Psychological and physical correlates" 58 : 864-877, 1990

      43 Nolten, P. W.,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social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 student social support scale"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19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