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창근, "평화를 위한 통일교육: 하나될 미래를 위한 출발" 인간사랑 2007
2 박형중, "통일학과 시나리오 방법론" (창간) : 110-140, 2009
3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통일여론 2020 1/4 분기"
4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통일여론 2017 3/4 분기"
5 오기성, "통일교육에서 통일시나리오의 교육적 함의"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45) : 209-238, 2014
6 박찬석, "통일교육 주요 내용체계: 평화지향적 통일교육의 과제" 이화여대 대학원관 27-46, 2017
7 Naisbitt, John, "존 나이스비트, 힘의 이동" 알에이치코리아 2016
8 김갑식, "시나리오 기법에 기초한 북한의 변화와 한국의 전략" 심연북한연구소 15 (15): 124-156, 2012
9 성경륭, "새로운 대한민국의 구상 포용국가" 21세기북스 2017
10 서보혁, "북핵문제와 평화주의: 하나의 평화주의 시각" 이대 대학원관 중강당 109-122, 2017
1 김창근, "평화를 위한 통일교육: 하나될 미래를 위한 출발" 인간사랑 2007
2 박형중, "통일학과 시나리오 방법론" (창간) : 110-140, 2009
3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통일여론 2020 1/4 분기"
4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통일여론 2017 3/4 분기"
5 오기성, "통일교육에서 통일시나리오의 교육적 함의"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45) : 209-238, 2014
6 박찬석, "통일교육 주요 내용체계: 평화지향적 통일교육의 과제" 이화여대 대학원관 27-46, 2017
7 Naisbitt, John, "존 나이스비트, 힘의 이동" 알에이치코리아 2016
8 김갑식, "시나리오 기법에 기초한 북한의 변화와 한국의 전략" 심연북한연구소 15 (15): 124-156, 2012
9 성경륭, "새로운 대한민국의 구상 포용국가" 21세기북스 2017
10 서보혁, "북핵문제와 평화주의: 하나의 평화주의 시각" 이대 대학원관 중강당 109-122, 2017
11 이근, "북한경제의 추격성장 가능성과정책 선택 시나리오" 평화문제연구소 28 (28): 195-220, 2016
12 성기영, "박근혜 정부의 대북정책 성공 가능성 -북한 행동 변수와 미중관계 전망에 따른 시나리오 분석-" 통일연구원 17 (17): 5-37, 2013
13 공임순, "민족과 국민, 정체성의 재구성" 179-204, 2009
14 정성임, "미리 보는 통일한국 시나리오 2"
15 고경민, "남북한의 정책 선택과 통일시나리오 분석" 한국동북아학회 20 (20): 85-110, 2015
16 차승주, "남북한 '평화통일' 인식 비교"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52) : 179-202, 2016
17 임재천, "‘상시전비국가(Nation-in-Arms)’ 개념의 북한 적용 가능성" 북한연구학회 19 (19): 263-295, 2015
18 우평균, "21세기 통일교육의 방향성 : 현행 체제에 대한 평가와 지향"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2 (12): 99-120,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