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통일 시나리오를 통한 통일교육의 융합적 논의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663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nification education will be well prepared even when the unification education is conducted through peaceful division management, even when the unification will not be realized in any time and in any way. Therefore, various unification scenarios should be devised well, and unification education officials should prepare for the inter-Korean conflict and cooperation. Our unification is always blossoming in the division of thorn bushes. The South and the North have made every effort to maximize each other s abilities. Now, our society must first find a path to peace and strengthen the capacity of active security for each specialized field of unification education. The basis of such efforts is to strengthen unification education that is not unilateral and to prepare for various variables. The practice of unification education will immediately gain national empathy. A free and more responsible future-oriented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Unification education experts should recognize the existing basic laws of unification education and converge the breadth of awareness so that the awareness of national unification education can be converged. Unification education can be an education of real problems that can be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prepared when one is committed in this divided reality and unification ideal.
      번역하기

      Unification education will be well prepared even when the unification education is conducted through peaceful division management, even when the unification will not be realized in any time and in any way. Therefore, various unification scenarios shou...

      Unification education will be well prepared even when the unification education is conducted through peaceful division management, even when the unification will not be realized in any time and in any way. Therefore, various unification scenarios should be devised well, and unification education officials should prepare for the inter-Korean conflict and cooperation. Our unification is always blossoming in the division of thorn bushes. The South and the North have made every effort to maximize each other s abilities. Now, our society must first find a path to peace and strengthen the capacity of active security for each specialized field of unification education. The basis of such efforts is to strengthen unification education that is not unilateral and to prepare for various variables. The practice of unification education will immediately gain national empathy. A free and more responsible future-oriented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Unification education experts should recognize the existing basic laws of unification education and converge the breadth of awareness so that the awareness of national unification education can be converged. Unification education can be an education of real problems that can be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prepared when one is committed in this divided reality and unification idea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창근, "평화를 위한 통일교육: 하나될 미래를 위한 출발" 인간사랑 2007

      2 박형중, "통일학과 시나리오 방법론" (창간) : 110-140, 2009

      3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통일여론 2020 1/4 분기"

      4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통일여론 2017 3/4 분기"

      5 오기성, "통일교육에서 통일시나리오의 교육적 함의"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45) : 209-238, 2014

      6 박찬석, "통일교육 주요 내용체계: 평화지향적 통일교육의 과제" 이화여대 대학원관 27-46, 2017

      7 Naisbitt, John, "존 나이스비트, 힘의 이동" 알에이치코리아 2016

      8 김갑식, "시나리오 기법에 기초한 북한의 변화와 한국의 전략" 심연북한연구소 15 (15): 124-156, 2012

      9 성경륭, "새로운 대한민국의 구상 포용국가" 21세기북스 2017

      10 서보혁, "북핵문제와 평화주의: 하나의 평화주의 시각" 이대 대학원관 중강당 109-122, 2017

      1 김창근, "평화를 위한 통일교육: 하나될 미래를 위한 출발" 인간사랑 2007

      2 박형중, "통일학과 시나리오 방법론" (창간) : 110-140, 2009

      3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통일여론 2020 1/4 분기"

      4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통일여론 2017 3/4 분기"

      5 오기성, "통일교육에서 통일시나리오의 교육적 함의"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45) : 209-238, 2014

      6 박찬석, "통일교육 주요 내용체계: 평화지향적 통일교육의 과제" 이화여대 대학원관 27-46, 2017

      7 Naisbitt, John, "존 나이스비트, 힘의 이동" 알에이치코리아 2016

      8 김갑식, "시나리오 기법에 기초한 북한의 변화와 한국의 전략" 심연북한연구소 15 (15): 124-156, 2012

      9 성경륭, "새로운 대한민국의 구상 포용국가" 21세기북스 2017

      10 서보혁, "북핵문제와 평화주의: 하나의 평화주의 시각" 이대 대학원관 중강당 109-122, 2017

      11 이근, "북한경제의 추격성장 가능성과정책 선택 시나리오" 평화문제연구소 28 (28): 195-220, 2016

      12 성기영, "박근혜 정부의 대북정책 성공 가능성 -북한 행동 변수와 미중관계 전망에 따른 시나리오 분석-" 통일연구원 17 (17): 5-37, 2013

      13 공임순, "민족과 국민, 정체성의 재구성" 179-204, 2009

      14 정성임, "미리 보는 통일한국 시나리오 2"

      15 고경민, "남북한의 정책 선택과 통일시나리오 분석" 한국동북아학회 20 (20): 85-110, 2015

      16 차승주, "남북한 '평화통일' 인식 비교"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52) : 179-202, 2016

      17 임재천, "‘상시전비국가(Nation-in-Arms)’ 개념의 북한 적용 가능성" 북한연구학회 19 (19): 263-295, 2015

      18 우평균, "21세기 통일교육의 방향성 : 현행 체제에 대한 평가와 지향"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2 (12): 99-120,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