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청소년의 공동체의식 변화 유형 분류와 주요 예측변인 영향력 검증 = Classifying the Trajectory of Sense of Community in Adolescents and Testing the Impacts ofKey Predict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978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key predictors of change in sense of community during adolescence, to classify latent classes of sense of community changes, and to test the impact of key predictors on classification of latent classes. To this end, SEMforest was applied to KELS 2013 data from 3rd to 8th wave to derive the key predictors of changes in sense of community during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and discontinuous piecewise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was utilized using a three-step approac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SEMforest, five student-related variables were found to be common to both the middle and high school years, and two student-related variables were selected differentially for each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years. Additionally, one parental-related variable was derived to be common to both middle and high school years, and two parental-related variables were selected discriminatively for each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years. Second, three latent classes in sense of community during adolescence were identified: low-level decline (22.2%), middle-level gain-decline (52.0%), and high-level gain-decline (25.8%). Third, self-concept (academic and social), rule observance, multicultural acceptance (relationship with multicultural neighbors/friends), and volunteerism awarenes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lassifying latent classes in both the middle and high school years. Finally, based on the main results,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fostering a sense of community among adolescents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key predictors of change in sense of community during adolescence, to classify latent classes of sense of community changes, and to test the impact of key predictors on classification of latent classes. To thi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key predictors of change in sense of community during adolescence, to classify latent classes of sense of community changes, and to test the impact of key predictors on classification of latent classes. To this end, SEMforest was applied to KELS 2013 data from 3rd to 8th wave to derive the key predictors of changes in sense of community during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and discontinuous piecewise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was utilized using a three-step approac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SEMforest, five student-related variables were found to be common to both the middle and high school years, and two student-related variables were selected differentially for each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years. Additionally, one parental-related variable was derived to be common to both middle and high school years, and two parental-related variables were selected discriminatively for each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years. Second, three latent classes in sense of community during adolescence were identified: low-level decline (22.2%), middle-level gain-decline (52.0%), and high-level gain-decline (25.8%). Third, self-concept (academic and social), rule observance, multicultural acceptance (relationship with multicultural neighbors/friends), and volunteerism awarenes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lassifying latent classes in both the middle and high school years. Finally, based on the main results,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fostering a sense of community among adolescents were discus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예은 ; 정혜원, "혼합효과 랜덤 포레스트를 적용한 청소년기 진로성숙도 발달 예측 변인 탐색: SHAP을 활용한 해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평가학회 36 (36): 473-498, 2023

      2 남나라, "혼합효과 랜덤 포레스트 기법을 활용한 중학생의 학업성취도 예측 요인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3 박경호, "한국교육종단연구: 고등학생의 교육 경험과 성장(Ⅱ)(연구보고 RR 2020-27)" 한국교육개발원 2020

      4 이선영, "학생의 학교 참여 수준과 특징 분석(연구보고 RR2020-08)" 한국교육개발원 2020

      5 윤수경 ; 이윤희 ; 임소현 ; 김은영, "학생의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교육연구소 19 (19): 353-374, 2018

      6 정송 ; 우연경 ; 송주연 ; 노언경, "학교급 전환기 학교적응의 유형화 및 종단적 변화 탐색"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3 (33): 183-209, 2022

      7 조서연 ; 임명재 ; 임다미, "프로젝트 기반 학습이 학습자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영향"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13 (13): 213-219, 2021

      8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 1])"

      9 한대동 ; 오경희, "초등학교에서의 공동체적 수업실천과 공동체의식이 학교폭력 자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사회학회 23 (23): 207-235, 2013

      10 이문수 ; 박희진, "초기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 및 공동체 의식의 유형분류 및 영향 요인 탐색" 한국다문화교육학회 14 (14): 111-140, 2021

      1 백예은 ; 정혜원, "혼합효과 랜덤 포레스트를 적용한 청소년기 진로성숙도 발달 예측 변인 탐색: SHAP을 활용한 해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평가학회 36 (36): 473-498, 2023

      2 남나라, "혼합효과 랜덤 포레스트 기법을 활용한 중학생의 학업성취도 예측 요인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3 박경호, "한국교육종단연구: 고등학생의 교육 경험과 성장(Ⅱ)(연구보고 RR 2020-27)" 한국교육개발원 2020

      4 이선영, "학생의 학교 참여 수준과 특징 분석(연구보고 RR2020-08)" 한국교육개발원 2020

      5 윤수경 ; 이윤희 ; 임소현 ; 김은영, "학생의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교육연구소 19 (19): 353-374, 2018

      6 정송 ; 우연경 ; 송주연 ; 노언경, "학교급 전환기 학교적응의 유형화 및 종단적 변화 탐색"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3 (33): 183-209, 2022

      7 조서연 ; 임명재 ; 임다미, "프로젝트 기반 학습이 학습자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영향"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13 (13): 213-219, 2021

      8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 1])"

      9 한대동 ; 오경희, "초등학교에서의 공동체적 수업실천과 공동체의식이 학교폭력 자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사회학회 23 (23): 207-235, 2013

      10 이문수 ; 박희진, "초기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 및 공동체 의식의 유형분류 및 영향 요인 탐색" 한국다문화교육학회 14 (14): 111-140, 2021

      11 김선숙 ; 안재진, "청소년의 여가활동이 공동체의식 발달에 미치는 영향: 자원봉사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8 (18): 71-92, 2016

      12 강가영 ; 장유미,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0 (10): 97-123, 2013

      13 이기혜 ; 방수민 ; 이은혜, "청소년의 공동체의식 영향요인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학업성취수준 및 학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7 (27): 105-135, 2017

      14 추지윤 ; 이은지 ; 장선희, "청소년의 공동체의식 변화 양상 및 영향 요인 분석: 부산교육종단연구(BELS)를 중심으로" 교육발전연구소 31 (31): 421-441, 2021

      15 박현정 ; 김전옥 ; 손윤희, "청소년기 공동체 의식의 종단적 변화와 영향요인 분석" 교육연구소 16 (16): 105-127, 2015

      16 박소영 ; 정혜원, "청소년과 부모의 삶의 만족도 잠재프로파일 분류 및 주요 예측변인 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2 (32): 63-96, 2021

      17 박가나, "청소년 참여활동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6 (16): 273-306, 2009

      18 김선숙 ; 안재진,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또래애착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3 (43): 339-363, 2012

      19 박지선, "중・고등학교 전환기 학생 지원 방안 연구(Ⅰ): 교수・학습특성 및 지원 실태 분석(연구보고 RRI 2019-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20 전종희, "중학생의 독서활동, 봉사활동, 수업 상호작용, 규칙 준수와 공동체 의식 사이에서 자기 관리, 사회적 자아개념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8 (28): 89-116, 2021

      21 한상준 ; 현순안 ; 허균, "잠재성장 모형을 활용한 진로성숙과 공동체의식의 관계 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40 (40): 91-106, 2021

      22 신윤범, "일반고 고등학생의 자기관리역량 유형 분류 및 예측 요인 탐색" 부경대학교 대학원 2023

      23 김현경 ; 김신영, "인권친화적 학교문화가 청소년의 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7 (47): 29-52, 2015

      24 오미섭, "융합적 학교적응과 공동체의식의 매개검증에 관한 연구" 한국융합학회 7 (7): 183-188, 2016

      25 장윤희, "유희적 미술체험을 통한 학교급 전환기 학교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연구 -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의 전환기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53 : 159-190, 2018

      26 곽수란, "아동·청소년기 창의성과 공동체의식 결정요인: 학업성취 맥락에서" 한국교육개발원 44 (44): 5-28, 2017

      27 전현정 ; 정혜원, "순차적 경로 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한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과 다문화 수용도의 잠재집단 간 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335-360, 2017

      28 지은림 ; 선광식, "세계시민의식 구성요인 탐색 및 관련변인 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9 (39): 115-134, 2007

      29 구미령 ; 유진은, "분할함수 성장모형을 이용한 아동·청소년기 공동체의식의 변화와 영향요인 탐색" 한국교육학회 59 (59): 361-386, 2021

      30 최미혜, "부모의 방임․학대 양육방식이 청소년기 자녀의 학교적응과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자아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7 (27): 59-92, 2016

      31 김재우 ; 김동진, "민주적 학교문화가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잠재성장모형의 활용" 교육연구소 27 (27): 5-27, 2021

      32 이기정 ; 김영식, "랜덤 포레스트 기법을 활용한 장애근로자의 고용유지 예측 요인 탐색" 특수교육연구소 37 (37): 73-95, 2021

      33 김미림 ; 유예림 ; 황은희, "데이터 마이닝을 활용한 청소년의 공동체의식 영향요인 분석: 중학교와 고등학교 시기 비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1 (31): 205-233, 2020

      34 장성민 ; 박진희 ; 정민수,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청소년의 학습습관과 공동체의식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종단적 관계" 한국교육방법학회 32 (32): 699-722, 2020

      35 김동진 ; 김태한, "근접맥락에서의 사회적 관계가 청소년의 공동체의식과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0 (50): 23-47, 2018

      36 이혜영, "공동체적 사회연대 구축을 위한 품성교육의 방향" 3 (3): 113-134, 1993

      37 김수진 ; 장형심,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과잉간섭이 공격성,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또래애착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851-874, 2019

      38 윤영 ; 성지훈, "고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공동체 역량 예측변인 탐색: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하여" 한국청소년학회 28 (28): 383-410, 2021

      39 van Buuren, S, "mice: Multivariate imputation by chained equations in R" 45 (45): 1-67, 2011

      40 Erikson, E., "Youth: Identity and crisis" W.W. Norton 1968

      41 Brandmaier, A. M., "Theory-guided exploration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ests" 21 (21): 566-582, 2016

      42 Sarason, S. B., "The psychology sense of community: Prospects for a community psychology" Jossey-Bass 1974

      43 Lo, Y., "Testing the number of components in a normal mixture" 88 (88): 767-778, 2001

      44 Browne, M. W.,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Sage 136-162, 1993

      45 Hong, S., "Testing configural, metric, scalar, and latent mean invariance across in sociotropy and autonomy using a non-western sample" 63 (63): 363-654, 2003

      46 Byrne, B. 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MPLUS: Basic concepts, application, and programming" Routledge 2012

      47 Brandmaier, A. M., "Structural equation model trees" 18 (18): 71-86, 2013

      48 McMillan, D. W., "Sense of community : A definition and theory" 14 (14): 6-23, 1986

      49 Brandmaier, A. M., "Semtree : Recursive partitioning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s"

      50 Arnold, M., "Score-guided structural equation model trees" 11 : 564403-, 2021

      51 정혜경 ; 이용상 ; 김인숙, "SEMtree를 활용한 우리나라 청소년의 창의성 성장 모형 분석 사례 연구" 한국교육평가학회 35 (35): 787-812, 2022

      52 Breiman, L., "Random forests" 45 (45): 5-32, 2001

      53 Li, J., "Predicting students’ attitudes toward collaboration : Evidence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 trees and forests" 12 : 604291-, 2021

      54 Boker, S. M., "OpenMx: Extend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55 Muthén, L. K., "Mplus Users Guide" Muthén & Muthén 2017

      56 Clark, S. L, "Mixture modeling with behavioral data" University of California 2010

      57 Breiman, L., "Manual for setting up, using, and understanding random forest V4.0"

      58 Alhadabi, A., "Latent heterogeneity in high school academic growth : A comparison of the performance of growth mixture mod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ree, and forest" 16 (16): 355-372, 2022

      59 조영진 ; 노혜림 ; 류지훈, "ECLS-K:2011 자료에서 SEMtree와 SEMforest의 적용" 한국교육평가학회 35 (35): 299-326, 2022

      60 Nylund, K. L., "Deciding on the number of classes in latent class analysis and growth mixture modeling : A monte carlo simulation study" 14 (14): 535-569, 2007

      61 Hu, L. T., "Cut 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6 (6): 1-55, 1999

      62 Asparouhov, T., "Auxiliary variables in mixture modeling : Three-step approaches using Mplus" 21 (21): 329-341, 2014

      63 Jung, T., "An introduction to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and growth mixture modeling" 2 (2): 302-317,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