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삶 중심 미술 감상 학습 방안 연구: 미술가의 삶과 미술작품의 관계 탐색을 중심으로 = Life Value Centered Appreciation of Art: Relationship between Artists’ Life and Their Artwor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222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삶 중심 미술 감상 학습 방안 모색」이라는 선행 연구의 후속 연구로서 해당 연구 문제에 대한 실제적 아이디어 탐색과 논의 발전을 목적으로 한다. 미술교육의 인문학적 가치가 활발히 논의되면서 미술과 삶의 관계성은 미술교육의 주요한 연구 지점이 되고 있다. 미술과 삶의 관계에 대한 미술교육 연구와 실제는 보편적인 것이라 인식하지만, 실제적인 연구는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가의 삶과 미술작품 그리고 감상자의 삶을 연계시킨 수업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미술과 삶의 관계를 추구하는 미술교육의 실제에 다가가고자 한다. 본 연구는 00 대학의 교육대학원생을 대상으로 2019년 겨울 진행한 미술 수업 사례를 소개한다. 연구 결과는 삶 중심 미술 감상 학습 방안 탐색을 위한 미술과 교수 학습 방안에 대한 적용 아이디어 탐색 과정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삶 중심 미술 감상 학습 방안에 대한 보다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적용 사례 연구가 가능하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삶 중심 미술 감상 학습 방안 모색」이라는 선행 연구의 후속 연구로서 해당 연구 문제에 대한 실제적 아이디어 탐색과 논의 발전을 목적으로 한다. 미술교육의 인문학적 가치...

      본 논문은 「삶 중심 미술 감상 학습 방안 모색」이라는 선행 연구의 후속 연구로서 해당 연구 문제에 대한 실제적 아이디어 탐색과 논의 발전을 목적으로 한다. 미술교육의 인문학적 가치가 활발히 논의되면서 미술과 삶의 관계성은 미술교육의 주요한 연구 지점이 되고 있다. 미술과 삶의 관계에 대한 미술교육 연구와 실제는 보편적인 것이라 인식하지만, 실제적인 연구는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가의 삶과 미술작품 그리고 감상자의 삶을 연계시킨 수업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미술과 삶의 관계를 추구하는 미술교육의 실제에 다가가고자 한다. 본 연구는 00 대학의 교육대학원생을 대상으로 2019년 겨울 진행한 미술 수업 사례를 소개한다. 연구 결과는 삶 중심 미술 감상 학습 방안 탐색을 위한 미술과 교수 학습 방안에 대한 적용 아이디어 탐색 과정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삶 중심 미술 감상 학습 방안에 대한 보다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적용 사례 연구가 가능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sponding to the previous research entitled “A study on the method of art appreciation emphasizing investigation into learner’s life”, this follow-up research involves more practical ideas and addresses further discussion in the same research direction. As humanistic value of art education catches more attention,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life becomes an essential core of art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s. Recent research into the goal of art education reaches a consensus showing that research of the relationship is undebatable. Practical research, however, is still tardy. Therefore, this article shares a case study pursuing more practical ideas of how to organize and manage art lessons in a way to focus on the relationship among life story of artists, artworks, and life story of learners. Several graduate students joining in a graduate program in art education at 00 university in South Korea participated into this case study. The result of this art program hints us a practical example of life centered appreciation of art lesson. Furthermore, this result is expected to help art teachers conduct better practices.
      번역하기

      Responding to the previous research entitled “A study on the method of art appreciation emphasizing investigation into learner’s life”, this follow-up research involves more practical ideas and addresses further discussion in the same research d...

      Responding to the previous research entitled “A study on the method of art appreciation emphasizing investigation into learner’s life”, this follow-up research involves more practical ideas and addresses further discussion in the same research direction. As humanistic value of art education catches more attention,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life becomes an essential core of art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s. Recent research into the goal of art education reaches a consensus showing that research of the relationship is undebatable. Practical research, however, is still tardy. Therefore, this article shares a case study pursuing more practical ideas of how to organize and manage art lessons in a way to focus on the relationship among life story of artists, artworks, and life story of learners. Several graduate students joining in a graduate program in art education at 00 university in South Korea participated into this case study. The result of this art program hints us a practical example of life centered appreciation of art lesson. Furthermore, this result is expected to help art teachers conduct better practi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정애, "펠드만 법칙 미술감상의 문제점과 그 대안"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6 (16): 19-38, 2015

      2 김사라, "펠드만 감상의 대안을 찾아서 - 바흐친의 대화주의 관점에서 바라본 미술 감상교육 실행연구 -"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9 (19): 81-112, 2018

      3 이미정, "초등 교사를 위한 현대미술 감상프로그램의 방향 탐색- 국내 현대미술 작가의 작품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9 (19): 71-91, 2018

      4 원영미, "질문지와 대화법을 활용한 자기 주도적 감상교육 방안"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7 (17): 127-149, 2016

      5 이재영,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 신장을 위한 미술 감상 학습 방안 연구: 미술교육의 인문학적 가치를 기반으로"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 (20): 69-92, 2019

      6 이재영, "인문학적 접근으로 바라본 시각문화미술교육" 한국미술교육학회 23 (23): 1-22, 2012

      7 이재영, "인문학적 가치 탐구를 위한 미술교육"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5 (15): 99-120, 2014

      8 조광제, "예술, 인문학과 통하다" 웅진지식하우스 2008

      9 이지연, "예비 초등교사를 위한 미술 감상 및 비평 교육의 방법론 탐구"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9 (19): 73-94, 2018

      10 이재영, "시각 이미지의 정치성과 비평적 담론: 인문학적 접근을 위해"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6 (16): 17-37, 2015

      1 박정애, "펠드만 법칙 미술감상의 문제점과 그 대안"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6 (16): 19-38, 2015

      2 김사라, "펠드만 감상의 대안을 찾아서 - 바흐친의 대화주의 관점에서 바라본 미술 감상교육 실행연구 -"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9 (19): 81-112, 2018

      3 이미정, "초등 교사를 위한 현대미술 감상프로그램의 방향 탐색- 국내 현대미술 작가의 작품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9 (19): 71-91, 2018

      4 원영미, "질문지와 대화법을 활용한 자기 주도적 감상교육 방안"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7 (17): 127-149, 2016

      5 이재영,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 신장을 위한 미술 감상 학습 방안 연구: 미술교육의 인문학적 가치를 기반으로"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 (20): 69-92, 2019

      6 이재영, "인문학적 접근으로 바라본 시각문화미술교육" 한국미술교육학회 23 (23): 1-22, 2012

      7 이재영, "인문학적 가치 탐구를 위한 미술교육"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5 (15): 99-120, 2014

      8 조광제, "예술, 인문학과 통하다" 웅진지식하우스 2008

      9 이지연, "예비 초등교사를 위한 미술 감상 및 비평 교육의 방법론 탐구"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9 (19): 73-94, 2018

      10 이재영, "시각 이미지의 정치성과 비평적 담론: 인문학적 접근을 위해"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6 (16): 17-37, 2015

      11 이재영, "삶 중심 미술 감상 학습 방안 모색: 미술가의 삶 속에서 작품 들여다보기"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 (20): 59-83, 2019

      12 이재영, "미술교육의 인문학적 가치를 중심으로 한 미술교육의 변화 모색"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7 (17): 1-17, 2016

      13 김창식, "미술과 감상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연구: 포스트모던 조소작품 감상과 창의력 신장의 문제"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8 (8): 101-126, 2007

      14 류지영, "미술감상 : 중층적 네트워크와 커뮤니케이션 구축" 교육과학사 2018

      15 백윤소, "미술 비평 교수ㆍ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 펠드먼 비평 모델을 넘어"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9 (19): 95-115, 2018

      16 김수진, "구성주의적 감상 교육에서 “주제”의 생성 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 (20): 109-135, 2019

      17 Knobler, N., "The visual dialogue : An introduction to the appreciation of art" Holt, Rinehart, and Winston 198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2 0.82 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75 0.897 0.6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