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후기 중세 한국어에서 △의 음운 자격 = A Phonological Study on Semi-dental(△) in Late Middle Kore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907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후기 중세 한국어에서 △의 음운 자격을 밝히려는 연구이다. 2장에서 어원에 따라 한자어에 있는 △과 고유어에 있는 △을 나누어 그들의 음운자격에 대해 살펴보았다. 韓國 日母 漢...

      본고는 후기 중세 한국어에서 △의 음운 자격을 밝히려는 연구이다. 2장에서 어원에 따라 한자어에 있는 △과 고유어에 있는 △을 나누어 그들의 음운자격에 대해 살펴보았다. 韓國 日母 漢字音의 변화는 ``z > j >Ø``로 보고 日母는 15세기부터 이미 접근음 [j]를 거쳐 사라지기 시작하였다. 대부분 △을 가진 한자어의 중성 자리에 활음 [j] 또는 [i] 모음이 존재했기 때문에 △을 가진 한자어에서 △이 발음될 수 없다. 그리하여 ``신(人):신(信)``, ``일(日):실(室)``, ``육(肉):슉(叔)``을 비롯한 단어들은 서로 최소대립쌍을 이루지 못하고 △을 음소로 볼 수 없다. 또한, 고유어에 있는 △은 형태소 경계와 형태소 내부에 모두 출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은 ㅅ에 소급할 수 있고 수의적인 ``ㅅ→△``의 음변화에 의해 생기기 때문에 △과 ㅅ은 변별적 대립을 이루지 못한다. 이에 따라 △은 음소로 보기어렵다. 후기 중세 한국어에서 △과 같은 계열에 있는 □, ㅇ은 음운 변화 과정에서의 음성표기로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후기 중세 한국어에서 △은 음소가 아니고 ``ㅅ>Ø``의 변화 과정에서의 한 음성 표기로 생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makes a phonological study on Semi-dental(△). Chapter 2 makes a phonological study on the △ in Sino-Korean and Korean respectively. The change of Korean ilmo(日母) words is like ``z > j > Ø`` and ilmo began to disappear after b...

      This paper makes a phonological study on Semi-dental(△). Chapter 2 makes a phonological study on the △ in Sino-Korean and Korean respectively. The change of Korean ilmo(日母) words is like ``z > j > Ø`` and ilmo began to disappear after becoming [j] since 15th century. Because there was a [j] glide or [i] vowel in the medial of most vocabulary with △, so △ in Sino-Korean vocabulary cannot be pronounced. Therefore the words like ``인(人):신(信)``, ``일(日):실(室)``, ``육(肉):슉(叔)`` are not minimal pairs and △ is not a phoneme. The △ in Korean can appear both in the morpheme boundary and morphemic internal. But since this △ is formed by voluntary phonological rules, △ and ㅅ cannot form a distinctive opposition. Thus we conclude that △ was not a phoneme in Late Middle Korean. In the Late Middle Korean, the ㅸ and ㅇ, which are in the same series with △,can be considered to be phonetic symbols in the phonological change. So the △ is not a phoneme, but a phonetic symbol in the phonological change of ``ㅅ>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21세기 세종계획, "한민족 언어 정보화 통합 검색 프로그램"

      2 조운성, "한국 한자음 표기에 쓰인 「ㅿ」에 관한 연구"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9

      3 박창원, "중세국어 자음 연구" 한국문화사 1996

      4 김동소, "중세 한국어 개설" 대구가톨릭대학교 출판부 2002

      5 오구라 신페이, "조선어방언사전" 한국문화사 2009

      6 소신애, "점진적 음변화로서의 ㅅ>ㅿ - 방언 반사형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 국어국문학회 (162) : 45-83, 2012

      7 소신애, "국어의 ㅿ>ㅈ 변화에 대하여" 진단학회 (114) : 357-390, 2012

      8 이호영, "국어음성학" 태학사 1996

      9 이경희, "국어 마찰음의 유성음화 현상"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0 : 107-125, 2000

      10 최남희, "고대국어표기한자음연구" 박이정 1999

      1 21세기 세종계획, "한민족 언어 정보화 통합 검색 프로그램"

      2 조운성, "한국 한자음 표기에 쓰인 「ㅿ」에 관한 연구"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9

      3 박창원, "중세국어 자음 연구" 한국문화사 1996

      4 김동소, "중세 한국어 개설" 대구가톨릭대학교 출판부 2002

      5 오구라 신페이, "조선어방언사전" 한국문화사 2009

      6 소신애, "점진적 음변화로서의 ㅅ>ㅿ - 방언 반사형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 국어국문학회 (162) : 45-83, 2012

      7 소신애, "국어의 ㅿ>ㅈ 변화에 대하여" 진단학회 (114) : 357-390, 2012

      8 이호영, "국어음성학" 태학사 1996

      9 이경희, "국어 마찰음의 유성음화 현상"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0 : 107-125, 2000

      10 최남희, "고대국어표기한자음연구" 박이정 1999

      11 魏國峰, "고대 한국어 음운 체계 연구-전승 한자음을 대상으로" 서강대학교 2015

      12 鄭然粲, "개정 한국어 음운론" 한국문화사 1997

      13 鄭允子, "近代 國語 活用語幹에 대한 形態音素論的 연구"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0

      14 朱曉農, "語音學" 商務印書館 2010

      15 董同龢, "漢語音韻學" 中華書局 2011

      16 王力, "漢語語音史" 商務印書館 2010

      17 鄭然粲, "欲字初發聲을 다시 생각해 본다" 국어학회 16 : 11-40, 1987

      18 장석, "文獻으로 본 日母 漢字音의 變化" 한중인문학회 (45) : 343-366, 2014

      19 金英培, "平安方言硏究·資料篇" 太學社 1997

      20 李基文, "國語音韻史硏究" 塔出版社 1972

      21 金龍卿, "國語學論集" 螢雪出版社 85-169, 1975

      22 金亨圭, "國語學史·上" 白映社 1953

      23 姜吉云, "國語史精說" 한국문화사 1993

      24 金完鎭, "國語 語彙 磨滅의 硏究" 震檀學會 35 : 34-59, 1973

      25 金泰均, "咸北方言辭典" 京畿大學校 出版局 1986

      26 孫上洛, "半齒音‘ㅿ’考" 東岳語文學會 22 : 131-178, 1987

      27 朴鐘熙, "中世國語 音韻單位에 關한 硏究-脣輕音ㅸ을 中心으로" 圓光大學校 16 : 91-112, 1982

      28 李崇寧, "ㅿ音攷" 서울大學校 3 : 51-235, 1956

      29 張碩, "ㅿ>ㅈ, ㅅ>ㅈ의 변화로 본 ㅿ의 음가" 口訣學會 1-21, 2016

      30 장석, "ㅿ-ㅸ의 연쇄로 본 ㅿ의 음가" 구결학회 (36) : 203-235, 2016

      31 崔明玉, "ㅸ, ㅿ와 東南方言"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14 (14): 185-194, 1978

      32 위진, "ㅅ(>ㅿ)의 유지와 탈락" 한국언어문학회 (69) : 29-51, 2009

      33 이동석, "‘ㅸ’의 음가론" 국어사학회 (17) : 71-118, 2013

      34 Ladefoged, Peter, "the Sounds of World's Languages" Blackwell Publishing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Cultural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6-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Korean Culture ->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민족문화연구 29호 -> 민족문화연구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1 0.7 1.385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