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The) spillover effect of Hallyu content transgressions on country image and other contents : based on prototype the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152621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Graduate School, 2016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6

      • 작성언어

        영어

      • 주제어
      • DDC

        658.18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한류 콘텐츠의 일탈 행동이 국가 이미지와 다른 콘텐츠에 미치는 파급 효과: 프로토타입 이론을 기반으로

      • 형태사항

        81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한국외대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전종근
        참고문헌 : p. 54-61

      • 소장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류 콘텐츠의 일탈 행동이 국가 이미지와 다른 콘텐츠에 미치는 파급 효과: 프로토타입 이론을 기반으로

      본 논문은 한류 콘텐츠의 일탈 행동(transgression)이 국가 이미지와 다른 콘텐츠에 미치는 파급 효과를 프로토타입(prototype)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연구한다. 특히, 본 연구는 한류 콘텐츠 일탈 행동의 전형성(typicality) 여부에 따라 국가 이미지와 다른 콘텐츠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지 분석한다. 또한, 더 나아가서 전체적인 사고를 하는 동양인과 분석적인 사고를 하는 서양인간에 한류 콘텐츠의 일탈 행동을 받아들이는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류라는 현상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면, 주로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그리고 외교적 수준에서 파생될 수 있는 영향력과 혜택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하지만, 이 연구는 국가 및 국가 제품들에 대한 태도는 한류 콘텐츠의 일탈 행동의 의하여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기존 연구에 이론적 기여를 한다.
      따라서 경험적 연구를 통해서, 한류 콘텐츠의 일탈 행동이 국가 이미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다른 한류 콘텐츠들에게 부정적인 파급 효과를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며 한류가 국가 이미지와 얼마나 강하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보여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서 한류 콘텐츠의 전형성의 정도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나타났다. 즉, 전형적인 한류 콘텐츠의 일탈 행동(K-Pop의 경우)와 덜 전형적인 한류 콘텐츠의 일탈 행동 (K-Book의 경우) 의 파급 효과에 차이가 있었다는 것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분석적인 인식을 보유하고 있는 서양인들과 전체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동부 아시아인들은 한류 콘텐츠의 일탈 행동이 전형적인 또는 덜 전형적인 콘텐츠에서 발생하는 것과 관계없이, 서로 다른 방법으로 영향을 받는 다는 점이 연구에서 입증되었다.
      번역하기

      한류 콘텐츠의 일탈 행동이 국가 이미지와 다른 콘텐츠에 미치는 파급 효과: 프로토타입 이론을 기반으로 본 논문은 한류 콘텐츠의 일탈 행동(transgression)이 국가 이미지와 다른 콘텐츠에 미...

      한류 콘텐츠의 일탈 행동이 국가 이미지와 다른 콘텐츠에 미치는 파급 효과: 프로토타입 이론을 기반으로

      본 논문은 한류 콘텐츠의 일탈 행동(transgression)이 국가 이미지와 다른 콘텐츠에 미치는 파급 효과를 프로토타입(prototype)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연구한다. 특히, 본 연구는 한류 콘텐츠 일탈 행동의 전형성(typicality) 여부에 따라 국가 이미지와 다른 콘텐츠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지 분석한다. 또한, 더 나아가서 전체적인 사고를 하는 동양인과 분석적인 사고를 하는 서양인간에 한류 콘텐츠의 일탈 행동을 받아들이는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류라는 현상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면, 주로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그리고 외교적 수준에서 파생될 수 있는 영향력과 혜택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하지만, 이 연구는 국가 및 국가 제품들에 대한 태도는 한류 콘텐츠의 일탈 행동의 의하여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기존 연구에 이론적 기여를 한다.
      따라서 경험적 연구를 통해서, 한류 콘텐츠의 일탈 행동이 국가 이미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다른 한류 콘텐츠들에게 부정적인 파급 효과를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며 한류가 국가 이미지와 얼마나 강하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보여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서 한류 콘텐츠의 전형성의 정도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나타났다. 즉, 전형적인 한류 콘텐츠의 일탈 행동(K-Pop의 경우)와 덜 전형적인 한류 콘텐츠의 일탈 행동 (K-Book의 경우) 의 파급 효과에 차이가 있었다는 것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분석적인 인식을 보유하고 있는 서양인들과 전체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동부 아시아인들은 한류 콘텐츠의 일탈 행동이 전형적인 또는 덜 전형적인 콘텐츠에서 발생하는 것과 관계없이, 서로 다른 방법으로 영향을 받는 다는 점이 연구에서 입증되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INTRODUCTION 5
      • 1.1 Background of Research 5
      • 1.2 Structure 8
      • II. Theoretical Background and Literature Review 9
      • I. INTRODUCTION 5
      • 1.1 Background of Research 5
      • 1.2 Structure 8
      • II. Theoretical Background and Literature Review 9
      • 2.1 Hallyu (Korean Wave) 9
      • 2.1.1 Hallyu Content Transgressions 13
      • 2.2 Country Image 16
      • 2.3 Prototype Theory 17
      • 2.4 Holistic VS Analytic Congnition (Thinking) 19
      • III. Conceptual Development 21
      • 3.1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21
      • 3.2 Research Framework 28
      • IV. Empirical Study 29
      • 4.1 Research Methodology 29
      • 4.1.1 Questionnaire 29
      • 4.2 Sample and Data Collection 31
      • 4.2.1 Participants 32
      • 4.3 Measurement Development 32
      • 4.4 Manipulation Check 33
      • V. Results and Discussion 36
      • 5.1 Sample Analysis 36
      • 5.2 Validity and Reliability Analysis 40
      • 5.3 Hypothesis Testing 43
      • VI. Conclusion 50
      • 6.1 Summary 50
      • 6.2 Implications of the Study 51
      • 6.3 Limitations and Further Reseach Directions 52
      • REFERENCES 54
      • KOREAN ABSTRACT 8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