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시 포켓파크의 지속가능성 평가요소 연구 - 경감생태학(landsenses ecology) 이론을 바탕으로 - = A Study on the Sustainability Evaluation Elements of Urban Pocket Parks - Based on the theory of landsenses ecology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168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도시의 인구 밀도가 높아지고 부지가 부족하며 도시 공원의 수는 제한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더 많은 소규모 도시 녹지를 사람들의 일상 생활에 통합하는 것이 도시 계획의 발전 추세이다. 지속 가능한 발전은 현대 사회가 직면한 중요한 도전이며 미래 인류의 삶의 질과 자원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현재의 요구를 충족시켜야 한다. 도시 계획 분야에서 지속 가능한 발전의 개념은 광범위한 관심을 끌었고 도시 개발의 궁극적인 목표는 지속 가능한 발전이므로 포켓 파크의 출현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경감생태학의 이론적 토대를 바탕으로 포켓파크의 지속성 평가요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목표는 포켓파크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이론적 지침을 제공하고 도시 녹지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촉진하며 도시 거주자에게 더 나은 생활환경과 지역 사회 상호 작용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관련 자료를 참고하여 포켓파크, 경감생태학, 지속 가능한 발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경감생태학 및 지속 가능한 발전 이론을 결합하여 지속 가능한 포켓파크의 평가요소를 제시하였다. 평가기준에 따라 포켓파크 사례를 수집, 선별, 분류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평가요소의 실제 적용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평가 요소를 분석 및 요약하고 포켓파크에서의 적용을 제시 하였다. (결과) 본 연구는 포켓파크의 지속가능성 평가요소를 물리적 지각, 심리적 인지 및 사회적 효익의 3가지 평가 차원으로 구분하여 도출하였다. 각 항목별 세부 평가요소는 물리적 지각은 주변 경관의 융합, 동식물 경관의 다양성, 에너지 절약, 재생 경관의 운용, 공간 활용의 극대화, 미기후의 조절, 먼지, 소음, 냄새의 제거이며, 심리적 인지는 조경공간의 안정감, 경관의 지역 문화성, 공간의 교제 활동성이며, 사회적 효익에는 공공서비스 시설, 공원의 접근성, 공간의 혁신성으로 제시하였다. 사례 분석을 통해 포켓파크는 일반적으로 물리적 지각 차원 중 동식물 경관의 다양성 및 미기후 조절과 심리적 인지의 공간의 교제활동성, 사회적 효익의 공간의 접근성 및 혁신성 요소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몇몇 사례는 소음 및 냄새 제거 및 공공서비스 시설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제시된 도시 포켓파크의 지속가능성 평가요소는 포켓파크의 자원이용, 환경보호, 지역사회 참여 및 사회적 이익 등의 성과를 체계적으로 판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합리적 의견과 의사결정을 지원·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앞으로 포켓파크를 기획, 개발, 조성하는 데 참고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도시의 인구 밀도가 높아지고 부지가 부족하며 도시 공원의 수는 제한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더 많은 소규모 도시 녹지를 사람들의 일상 생활에 ...

      (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도시의 인구 밀도가 높아지고 부지가 부족하며 도시 공원의 수는 제한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더 많은 소규모 도시 녹지를 사람들의 일상 생활에 통합하는 것이 도시 계획의 발전 추세이다. 지속 가능한 발전은 현대 사회가 직면한 중요한 도전이며 미래 인류의 삶의 질과 자원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현재의 요구를 충족시켜야 한다. 도시 계획 분야에서 지속 가능한 발전의 개념은 광범위한 관심을 끌었고 도시 개발의 궁극적인 목표는 지속 가능한 발전이므로 포켓 파크의 출현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경감생태학의 이론적 토대를 바탕으로 포켓파크의 지속성 평가요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목표는 포켓파크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이론적 지침을 제공하고 도시 녹지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촉진하며 도시 거주자에게 더 나은 생활환경과 지역 사회 상호 작용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관련 자료를 참고하여 포켓파크, 경감생태학, 지속 가능한 발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경감생태학 및 지속 가능한 발전 이론을 결합하여 지속 가능한 포켓파크의 평가요소를 제시하였다. 평가기준에 따라 포켓파크 사례를 수집, 선별, 분류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평가요소의 실제 적용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평가 요소를 분석 및 요약하고 포켓파크에서의 적용을 제시 하였다. (결과) 본 연구는 포켓파크의 지속가능성 평가요소를 물리적 지각, 심리적 인지 및 사회적 효익의 3가지 평가 차원으로 구분하여 도출하였다. 각 항목별 세부 평가요소는 물리적 지각은 주변 경관의 융합, 동식물 경관의 다양성, 에너지 절약, 재생 경관의 운용, 공간 활용의 극대화, 미기후의 조절, 먼지, 소음, 냄새의 제거이며, 심리적 인지는 조경공간의 안정감, 경관의 지역 문화성, 공간의 교제 활동성이며, 사회적 효익에는 공공서비스 시설, 공원의 접근성, 공간의 혁신성으로 제시하였다. 사례 분석을 통해 포켓파크는 일반적으로 물리적 지각 차원 중 동식물 경관의 다양성 및 미기후 조절과 심리적 인지의 공간의 교제활동성, 사회적 효익의 공간의 접근성 및 혁신성 요소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몇몇 사례는 소음 및 냄새 제거 및 공공서비스 시설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제시된 도시 포켓파크의 지속가능성 평가요소는 포켓파크의 자원이용, 환경보호, 지역사회 참여 및 사회적 이익 등의 성과를 체계적으로 판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합리적 의견과 의사결정을 지원·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앞으로 포켓파크를 기획, 개발, 조성하는 데 참고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林雅真, "民眾參與與社會資本之研究-以彰化縣伸港鄉泉厝社區營造口 袋公園為例" 臺灣大學 2008

      2 唐立娜, "景感生态学方法与实践综述" 40 (40): 8015-8802, 2020

      3 董仁才, "景感生态学原理及应用" 2022

      4 阎鸣题, "基于城市规划建设可持续发展的分析" 2017 (2017): 67-68, 2017

      5 石龙宇, "城乡交错带景感生态规划的基本思路与实现" 37 (37): 8-, 2017

      6 段皓严, "国外口袋公园研究前沿及对中国的启示-2007—2017 Web of Science 相关文献综述" 37 (37): 11-14, 2019

      7 Kim, H. S., "Understanding the local impact of urban park plans and park typology on housing price : a case study of the busan metropolitan region, korea" 184 : 1-11, 2019

      8 Lee, B. X., "Transforming our world: implementing the 2030 agenda through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indicators" 37 (37): 13-31, 2016

      9 Costanza, R., "Toward an ecological economics" 38 (38): 1-7, 1987

      10 Zhao, J., "The planning, construction, and management toward sustainable cities in china needs the environmental internet of things" 20 (20): 195-198, 2013

      1 林雅真, "民眾參與與社會資本之研究-以彰化縣伸港鄉泉厝社區營造口 袋公園為例" 臺灣大學 2008

      2 唐立娜, "景感生态学方法与实践综述" 40 (40): 8015-8802, 2020

      3 董仁才, "景感生态学原理及应用" 2022

      4 阎鸣题, "基于城市规划建设可持续发展的分析" 2017 (2017): 67-68, 2017

      5 石龙宇, "城乡交错带景感生态规划的基本思路与实现" 37 (37): 8-, 2017

      6 段皓严, "国外口袋公园研究前沿及对中国的启示-2007—2017 Web of Science 相关文献综述" 37 (37): 11-14, 2019

      7 Kim, H. S., "Understanding the local impact of urban park plans and park typology on housing price : a case study of the busan metropolitan region, korea" 184 : 1-11, 2019

      8 Lee, B. X., "Transforming our world: implementing the 2030 agenda through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indicators" 37 (37): 13-31, 2016

      9 Costanza, R., "Toward an ecological economics" 38 (38): 1-7, 1987

      10 Zhao, J., "The planning, construction, and management toward sustainable cities in china needs the environmental internet of things" 20 (20): 195-198, 2013

      11 Lauria, A., "The Pocket Park System as a Regeneration Strategy for the Historic City" 01 : 103-111, 2020

      12 Mokhtar, F. N., "Sustainable vest-pocket parks as an effective tool in sustainable urban design-Egypt" 12 (12): 6949-6966, 2017

      13 Rakhshandehroo, M., "Strategies to improve sustainability in urban landscape, literature review" 9 (9): 5-13, 2016

      14 Tuan, Y. F., "Space and place : The perspective of experience" U of Minnesota Press 1977

      15 Programme, U. N. E., "SDG 11 Issue Brief: Make Cities and Human Settlements Inclusive, Safe, Resilient and Sustainable"

      16 Zhao, J., "Remarks about landsenses ecology and ecosystem services" 27 (27): 196-201, 2020

      17 Almohandes, H., "Promoting Social Interaction Through Jeddah's Neighborhood Parks Design" 107-121, 2023

      18 Rosso, F., "Pocket parks towards more sustainable cities. Architectural, environmental, managerial and legal considerations towards an integrated framework : A case study in the Mediterranean region" 7 : 100402-, 2022

      19 Ikin, K., "Pocket parks in a compact city : how do birds respond to increasing residential density?" 28 : 45-56, 2012

      20 Gibson, H., "Pocket parks as community building blocks : A focus on Stapleton, CO" 47 (47): 732-745, 2016

      21 Bruce, A., "Pocket Park Design" The Images Publishing Group 2017

      22 Rosso, F., "Pocket parks for human-centered urban climate change resilience: microclimate field tests and multi-domain comfort analysis through portable sensing techniques and citizens' science" 260 : 2022

      23 Wackernagel, M., "Our ecological footprint : reducing human impact on the earth" New society publishers 1998

      24 Cappa, F., "Nudging and citizen science : the effectiveness of feedback in energy-demand management" 269 : 110759-, 2020

      25 Moulay A., "Legibility of neighborhood parks as a predicator for enhanced social interaction towards social sustainability" 61 : 58-64, 2017

      26 Zhao, J., "Landsenses ecology and ecological planning toward sustainable development" 23 (23): 293-297, 2016

      27 Marsh, W. M., "Landscape planning : Environmental applications" Wiley 2005

      28 Ujang, N., "Interrelation between legibility attributes and park utilization as determinants for responsive neighborhood parks" 12 (12): 40-, 2018

      29 Termorshuizen, J. W., "Incorporating ecological sustainability into landscape planning" 79 (79): 374-384, 2007

      30 Zhao, J., "Hyperfeedback : meliorization regulation mechanism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based on landsenses ecology" 28 (28): 588-592, 2021

      31 Lohrasbi H., "Evaluation of Urban Green Space in Achieving Social Sustainable Development Case Study: Islamic Republic Boulevard" 3 : 164-174, 2015

      32 Munasinghe, M., "Environmental economic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33 Park J., "Economic impacts of a linear urban park on local businesses : The case of Gyeongui Line Forest Park in Seoul" 181 : 139-147, 2019

      34 Harte, M. J., "Ecology, sustainability, and environment as capital" 15 (15): 157-164, 1995

      35 Kim, D., "Does happiness data say urban parks are worth it?" 178 : 1-11, 2018

      36 Cappa, F., "Citizens and cities : Leveraging citizen science and big data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31 (31): 648-667, 2022

      37 Cornelis, J., "Biodiversity relationships in urban and suburban parks in Flanders" 69 (69): 385-401, 2004

      38 Lee, Y. C., "Attitudes of citizens towards urban parks and green spaces for urban sustainability : The case of Gyeongsan City" 7 (7): 8240-8254, 2015

      39 Strohbach, M. W., "Are small greening areas enhancing bird diversity? Insights from community-driven greening projects in Boston" 114 : 69-79, 2013

      40 Ke-Yu, C., "Application of pocket park in the renovation of residential area in old-block-structure" Modern Landscape Architecture 2010

      41 Rogers, Jalal, P. P., "An introduction to sustainable development" 36 (36): 203-, 2009

      42 Liang, W., "A study of pocket park landscape design based on fractal theory" 2019

      43 Lau S. S., "A preliminary study on environmental performances of pocket parks in high-rise and high-density urban context in Hong Kong" 7 (7): 215-225, 2012

      44 赵秀池, "2030年可持续发展议程背景下我国土地可持续利用研究" 195 (195): 186-209, 202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