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 실버세대 건강기능식품 패키지디자인의 행동유도(Affordance) 특성 연구 = A Study of the Affordance Characteristics of Chinese Silver Generation Health Supplement Package Desig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6802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여 본 연구는 건강기능식품 패키지디자인이 고령 소비자의 사용 편의성과 정보 이해도를 어떻게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이론적 틀로는 어포던스 이론을 적용하였으며, 감각적 어포던스, 인지적 어포던스, 기능적 어포던스, 행동적 어포던스의 네 가지 범주로 분석 체계를 구성하였다. 분석 대상은 중국의 대표 전자상거래 플랫폼인 타오바오와 티몰에서 판매 순위 상위권에 위치한 건강기능식품 중, 탕천베이젠, 만익란, 노농기, 즈스 등 4개 브랜드의 5개 제품이다. 본 연구는 시각 디자인 요소(텍스트, 색상, 그래픽, 레이아웃)와 기능 디자인 요소(형태 구조, 재료 공법, 개봉 방식)를 중심으로 정성적 사례 분석과 정량적 빈도 분석을 병행하였다.
      분석 결과, 각 어포던스 차원에서 효과적인 디자인 요소가 도출되었다. 감각적 어포던스에서는 고대비 색상과 촉각적 질감이, 인지적 어포던스에서는 명확한 정보 구조와 가독성이, 기능적 어포던스에서는 인체공학적 개봉 구조가, 행동적 어포던스에서는 자연스러운 시각 흐름과 조작 유도 방식이 고령 소비자의 사용 경험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패키지디자인이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고령 소비자의 신뢰 형성과 조작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핵심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실버세대의 생리적·인지적 특성을 반영한 건강기능식품 패키지디자인의 구체적인 설계 전략을 제안함으로써, 향후 제품 디자이너, 브랜드 기획자, 정책 담당자에게 실질적인 방향성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여 본 연구는 건강기능식품 패키지디자인이 고령 소비자의 사용 편의성과 정보 이해도를 어떻게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이론적 틀로는 어포던스 이론을 적...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여 본 연구는 건강기능식품 패키지디자인이 고령 소비자의 사용 편의성과 정보 이해도를 어떻게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이론적 틀로는 어포던스 이론을 적용하였으며, 감각적 어포던스, 인지적 어포던스, 기능적 어포던스, 행동적 어포던스의 네 가지 범주로 분석 체계를 구성하였다. 분석 대상은 중국의 대표 전자상거래 플랫폼인 타오바오와 티몰에서 판매 순위 상위권에 위치한 건강기능식품 중, 탕천베이젠, 만익란, 노농기, 즈스 등 4개 브랜드의 5개 제품이다. 본 연구는 시각 디자인 요소(텍스트, 색상, 그래픽, 레이아웃)와 기능 디자인 요소(형태 구조, 재료 공법, 개봉 방식)를 중심으로 정성적 사례 분석과 정량적 빈도 분석을 병행하였다.
      분석 결과, 각 어포던스 차원에서 효과적인 디자인 요소가 도출되었다. 감각적 어포던스에서는 고대비 색상과 촉각적 질감이, 인지적 어포던스에서는 명확한 정보 구조와 가독성이, 기능적 어포던스에서는 인체공학적 개봉 구조가, 행동적 어포던스에서는 자연스러운 시각 흐름과 조작 유도 방식이 고령 소비자의 사용 경험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패키지디자인이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고령 소비자의 신뢰 형성과 조작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핵심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실버세대의 생리적·인지적 특성을 반영한 건강기능식품 패키지디자인의 구체적인 설계 전략을 제안함으로써, 향후 제품 디자이너, 브랜드 기획자, 정책 담당자에게 실질적인 방향성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response to the challenges of an aging society, this study investigates how health functional food package design can improve usability and information comprehension for elderly consumers. The research framework is based on affordance theory, which is categorized into four dimensions: perceptual, cognitive, functional, and behavioral affordance. The study analyzes five top-selling health supplement products from four leading brands—By-Health, Wonderlab, Laonong, and Zishi—selected from China's major e-commerce platforms, Taobao and Tmall. A mixed-methods approach was employed, combining qualitative case analysis with quantitative frequency analysis, focusing on visual design elements (text, color, graphics, layout) and functional design elements (structure, material technique, and opening method).
      The results identify effective design elements for each dimension of affordance. High-contrast colors and tactile textures contributed to perceptual affordance; clear information structure and high readability enhanced cognitive affordance; ergonomic and easy-to-open packaging supported functional affordance; and intuitive visual flow and guided interaction patterns were effective for behavioral afforda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ackaging design plays a critical role not only in delivering product information but also in building trust and enhancing usability for elderly consumers.
      This study proposes concrete design strategies that reflect the physiological and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the silver generation, providing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for product designers, brand developers, and policymakers in the field of health supplement packaging design.
      번역하기

      In response to the challenges of an aging society, this study investigates how health functional food package design can improve usability and information comprehension for elderly consumers. The research framework is based on affordance theory, which...

      In response to the challenges of an aging society, this study investigates how health functional food package design can improve usability and information comprehension for elderly consumers. The research framework is based on affordance theory, which is categorized into four dimensions: perceptual, cognitive, functional, and behavioral affordance. The study analyzes five top-selling health supplement products from four leading brands—By-Health, Wonderlab, Laonong, and Zishi—selected from China's major e-commerce platforms, Taobao and Tmall. A mixed-methods approach was employed, combining qualitative case analysis with quantitative frequency analysis, focusing on visual design elements (text, color, graphics, layout) and functional design elements (structure, material technique, and opening method).
      The results identify effective design elements for each dimension of affordance. High-contrast colors and tactile textures contributed to perceptual affordance; clear information structure and high readability enhanced cognitive affordance; ergonomic and easy-to-open packaging supported functional affordance; and intuitive visual flow and guided interaction patterns were effective for behavioral afforda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ackaging design plays a critical role not only in delivering product information but also in building trust and enhancing usability for elderly consumers.
      This study proposes concrete design strategies that reflect the physiological and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the silver generation, providing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for product designers, brand developers, and policymakers in the field of health supplement packaging desig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