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82년을 전후로 동아시아가 당면한 문제 해결의 위한 논의가 있었다. 이는 서세동점이라는 전지구적 사건에 대한 동아시아 삼국 나름의 자구의 시도였다. 그 당시 동아시아론의 중심 주제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1882년을 전후로 동아시아가 당면한 문제 해결의 위한 논의가 있었다. 이는 서세동점이라는 전지구적 사건에 대한 동아시아 삼국 나름의 자구의 시도였다. 그 당시 동아시아론의 중심 주제는...
1882년을 전후로 동아시아가 당면한 문제 해결의 위한 논의가 있었다. 이는 서세동점이라는 전지구적 사건에 대한 동아시아 삼국 나름의 자구의 시도였다. 그 당시 동아시아론의 중심 주제는 조선이었고, 이는 조선의 지리적·정세적 위치 때문이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동아시아 각국이 서세동점이라는 초유의 사태를 극복할 수 있는 대응을 모색하여 제출한 것이 황준헌의 『朝鮮策略』이다. 1880년 황준헌에 의해 작성된 이 문건은 親中國, 結日本, 聯美國으로 구체화 되어있다. 『조선책략』의 유입으로 인해 조선 내부에서는 본격적으로 동아시아론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어 조선은 壬午軍亂(1882년)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서구주도의 근대화의 과정에 편입되었고, 이는 근대 동아시아 형성의 계기가 되었다. 淸과 日의 간섭과 상호간의 이해관계를 조율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던 동아시아론은 그 목적은 달리했으나 하나의 동아시아를 구상하는 데 기여했고, 근대 동아시아의 개념을 형성하는데 일조했다.
근대화의 과정 속에서 임오군란을 경험했던 조선 지식인들은 서세동점의 상황 속에서 자국의 생존에 대한 고민을 거듭하였지만, 제한된 정보와 외부 소통의 부재로 타자에 의해 해석된 근대를 접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여있었다. 따라서 이들은 임오군란기에 내방한 중국인사들을 통해 서구 주도의 근대화에 대비할 수 있는 안목을 확립하고 대응 방식을 수립하는 하나의 방편으로 삼았다. 그 과정에서 김창희는 군란 수습을 위해 내방한 중국인사들의 접빈을 맡아 이들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면서 외세에 대한 정보를 습득해 나가며 근대전환기 조선의 자구책을 모색하게 되었다.
그 결과물로 제출된 것이 『六八補』이다. 이 문건은 張謇과 李延祜의 대조선정책 보고서인 「朝鮮善後六策」과 「戎幕十議」에 대하여 조선의 실정에 맞추어 보충한 것이다. 「육팔보」의 주요내용은 민생과 국가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사안을 기술한 것으로, 조선 當局자들이 주체를 확립하고 실행해야함을 주장하였다. 즉 조선 지식인으로서 그 당시 형성된 동아시아론에 대한 반응을 피력한 기술이자, 아울러 自强을 통해 서세동점의 조류에 맞서고자 했던 노력이라고 평가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iscussion for resolving problems of East-Asia had faced, had started Around 1882. It was a trying as a resolve from the worry against the movement toward the East-Asia of the western countries by themselves. At that time, because of its geographi...
The discussion for resolving problems of East-Asia had faced, had started Around 1882. It was a trying as a resolve from the worry against the movement toward the East-Asia of the western countries by themselves. At that time, because of its geographical position and circumstances, the theme of the discussion was Chosun(朝鮮). In these progress, called as 'Suh Se Dong Jum(西勢東漸)', East-Asian countries submit some results that called "Chosun Chaek Ryak(『朝鮮策略』)" written by Hwang Jun Hun(黃遵憲). The contents of this document written by Hwang Jun Hun(黃遵憲) in 1880, can be sum up as 'Having friendly relations with China', 'Getting acquainted with Japan' and 'Making alliance with America'. From the time after the "Chosun Chaek Ryak(『朝鮮策略』)" had flowed in Chosun(朝鮮), discussion for resolving the problems of East-asia were started In earnest.
Then after 'Im O Gun Ran(壬午軍亂)' occurred in 1882, Chosun(朝鮮) had led to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in earnest, and this had become the factor of formation of modern East Asia. The discussion of East-Asia that had arised in the process of interference and mutual understanding and relationships between Ching(淸國) and Japan(日本), The purpose were different but contribute to an idea of making East-Asia initiative, and had been helped to form the modern idea of East Asia.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Chosun(朝鮮) clerisys who had experienced 'Im O Gun Ran(壬午軍亂)' continued to worry about its own survival in the situation of 'Suh Se Dong Jum(西勢東漸)', but they had been placed in the situation that are bound to encounter the Modern that had been interpreted by others because of the lack of information and the absence of external communication. So they had regarded as a perspective to prepare the modernization led by West, and a way to establish a corresponding way through Chinese personnel who visited in the period of 'Im O Gun Ran(壬午軍亂)'. In the process, Kim Chang Hee(金昌熙) who In charge of hosting for Chinese people who had come for quell the rebellion, had measured to save ChosunI(朝鮮) in transition period to modern, had been forming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m, and getting information about foreign,So That was 'Yupalbo(『六八補』)' that had been submitted as results. This document had been supplemented for Policy report on ChosunI(朝鮮) written by ChangGun(張謇) and Leeyunho(李延祜) that named Chosunsunhooryukchak(「朝鮮善後六策」) and Yungmaksipii(「戎幕十議」), in accordance with actual state of ChosunI(朝鮮). The main contents of 'Yupalbo(『六八補』)' is welfare and national development issues that might be helpful in, insists politicians of ChosunI(朝鮮) should must run this agenda in the situation that establish a main agents. In other words, 'Yupalbo(『六八補』)' can be estimated as the effort against the tide of 'SuhSeDongJum(西勢東漸)' by making themselves stongly, and this is the document what express response, as a clerisy of ChosunI(朝鮮), for the discussion about East-Asian problems formed at the time.
참고문헌 (Reference)
1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 학술원, "해외한국학자료총서 8-중국인이 본 임오군란 자료"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 학술원 2004
2 김용태, "임오군란기 한중(韓中) 문인의 교유 양상-조면호(趙冕鎬)?김창희(金昌熙)의 활동을 중심으로-" 우리한문학회 17 (17): 499-525, 2007
3 하정원, "석릉 김창희 산문 비평 연구 : 『회흔영』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9
4 이광린, "開化期硏究" 일조각 1994
5 朝鮮總督府 朝鮮史編修會, "近代日鮮關係の硏究" 朝鮮總督府 1940
6 田愚, "艮齋先生文集"
7 金昌熙, "石菱集"
8 하정원, "石菱 金昌熙의 古文作法과 散文批評에 대한 一考" 우리한문학회 25 : 383-423, 2011
9 朴趾源, "熱河日記"
10 "淸史稿"
1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 학술원, "해외한국학자료총서 8-중국인이 본 임오군란 자료"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 학술원 2004
2 김용태, "임오군란기 한중(韓中) 문인의 교유 양상-조면호(趙冕鎬)?김창희(金昌熙)의 활동을 중심으로-" 우리한문학회 17 (17): 499-525, 2007
3 하정원, "석릉 김창희 산문 비평 연구 : 『회흔영』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9
4 이광린, "開化期硏究" 일조각 1994
5 朝鮮總督府 朝鮮史編修會, "近代日鮮關係の硏究" 朝鮮總督府 1940
6 田愚, "艮齋先生文集"
7 金昌熙, "石菱集"
8 하정원, "石菱 金昌熙의 古文作法과 散文批評에 대한 一考" 우리한문학회 25 : 383-423, 2011
9 朴趾源, "熱河日記"
10 "淸史稿"
11 金昌熙, "東廟迎接錄"
12 黃遵憲, "朝鮮策略"
13 周家祿, "朝鮮樂府"
14 金昌熙, "會欣穎"
15 石井孝, "日本國交成立の國際的背景, In 明治初期の日本と東アジア" 有隣堂 1982
16 陳玉樹, "後樂堂集"
17 백종기, "壬午軍亂을 둘러싼 淸․日 兩國의 對韓政策에 관한 一管見" 16 : 1982
18 長谷川直子, "壬午軍亂後の 日本の 朝鮮中立化構想" 綠陰書房 32 : 1994
19 藤間生大, "壬午軍亂と近代東アジア世界の成立" 春秋社 1987
20 백종기, "壬午軍亂 때의 日本의 對韓考察에 關한 政策" 10 : 1965
21 高橋秀直, "壬午事變と明治政府-江華條約より壬午事變まで朝鮮政策の展開-" (601) : 1989
22 "修信使記錄" 國史編纂委員會
23 임형택, "19세기말 20세기초 동아시아 세계관적 전환과 지식인의 동아시아 인식" 대동문화연구원 50 (50): 1-27, 2005
24 金喆凡, "19세기 산문론에서 ‘實’의 문제" 한국한문학회 35 (35): 7-35, 2005
25 津田多賀子, "1880年代 日本政府の 東アジア政策展開と列强" 91 : 1982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6 | 0.36 | 0.3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7 | 0.36 | 0.746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