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 후기의 선원 조직과 선박 운영 = The Organization of the Crew and the Management of Ship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144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can be said that the meaning of sailo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ich occupies the history of Korean sailors, was in the process of moving from a pre-modern sailor to a modern sailor. Along with the history of the ship, the existence of sailors...

      It can be said that the meaning of sailo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ich occupies the history of Korean sailors, was in the process of moving from a pre-modern sailor to a modern sailor. Along with the history of the ship, the existence of sailors appeared, but originally, the crew also played the roles of fishermen and sailors, but gradually the two roles were differentiated into sailors of different functions. Since then, sailors who play the role of modern sailors have been unified into sailors active in fishing boats and merchant ships. In this respect, it can be seen that sailors of the late Joseon Dynasty show a transitional aspect of moving forward as sailors of merchant ships that appear with the growth of the modern shipping industry.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sailors moving toward modern sailors appeared as differentiation of functions and specialization of work in the organization of sailors. In addition, in the operation of the ship, it can be confirmed by improving the status of sailors and paying wages for labor. At the same time, government ships were replaced by private ships except for military ships, and in the operation of ships, the state-run system was operated centering on the operation of military ships, and the rest were operated under private systems.
      First of all, in the organization of sailo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en viewed from ships represented by communication lines, the division of functions appeared as upper and lower crew members and affiliated crew members. This is a differentiated function, like the organization of sailors seen in modern merchant ships. In addition, in the military ship, it is meaningful that it was recruited as a naval force that received a toll in the process of inclusive military service.
      In particular, in the operation of sailo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was found that they moved toward personal operating system rather than the state management system. In other word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f sailors escaping from new areas, replacing military services with lead guns, the emergence of sailors as forest workers, and the accumulation of capital by the transportation industry are a modern proc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선원의 역사에서 조선 후기의 船員이 차지하는 의미는 전근대적 선원에서 근대적 선원으로 나아가는 과정에 있는 선원이었다고 할 수 있다. 배의 역사와 함께 선원의 존재가 출현했지...

      한국 선원의 역사에서 조선 후기의 船員이 차지하는 의미는 전근대적 선원에서 근대적 선원으로 나아가는 과정에 있는 선원이었다고 할 수 있다. 배의 역사와 함께 선원의 존재가 출현했지만, 초기 선원은 대부분 漁撈人과 水軍의 역할을 겸하였지만, 군사제도가 정비되면서 점차 역할이 다른 직능의 선원으로 분화되어 나갔다. 근대에 이르러 선원은 수군이 海軍으로 군사 업무로 역할이 완전히 분리되어 나가자, 본래의 선원은 漁船과 商船에서 활동하는 선원으로 일원화되었다. 이런 측면에서 조선 후기의 선원은 근대 해운업의 성장과 함께 나타나는 상선의 선원으로 나아가는 과도기적 단계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조선 후기 선원이 근대 선원으로의 변화 과정을 나름대로 살펴보았다.
      조선 후기에 선원이 근대 선원으로 나아가는 모습은 선원의 조직에서 나타나는 직능의 분화와 업무의 전문화에서 찾을 수 있다. 아울러 선박의 운영에서는 선원의 지위 향상과 선원 노동자에 대한 임금의 지급 등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사회경제적 변화 속에서 해운업이 발달하면서 관선인 軍船을 제외하면 대부분 私船이 업무를 대체해 나갔다. 이에 따라 선박의 운영도 관영제는 군선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나머지는 대부분 사영제로 운영되었다.
      우선 조선 후기의 선원 조직에서는 비록 특수한 경우이지만, 통신사선에서는 상층 선원과 하층 선원 및 부속 선원으로 직능이 분화되어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이 주목된다. 이런 모습은 선박이 대형화한다면 근대 상선에서 보이는 선원 조직과 직능의 분화가 적용되어 진행될 수 있음을 말해준다. 아울러 군선에서도 군역의 布納化 과정에서 役價를 지급 받는 수군으로 충원되어 나갔다는 점은 선원의 지위가 향상되는 모습으로 파악할 수 있어서 의미를 지닌다.
      특히 조선 후기의 선박 운영에서는 官營制보다는 私營制로 나아가고 모습을 다양하게 확인할 수 있다. 즉 物主나 船商이 선박을 이용하여 해운 활동에 종사하게 되자 身役에서 벗어나는 선원의 존재, 軍役을 納布로 대신하는 행위, 임금을 지급 받는 선원의 출현, 물주와 선주가 운송업으로 자본을 축적하는 모습 등은 근대적인 선원과 해운업으로 나아가는 전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태현, "한국해운사" 위드스토리 2011

      2 나애자, "한국근대해운업사연구" 국학자료원 1998

      3 안미정 ; 최은순, "한국 선원의 역사와 특징"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9 (19): 95-123, 2018

      4 국립해양박물관, "통신사 선단의 항로와 항해" 2017

      5 김현구, "조선후기 통제영 선단의 탑승 동태와 운용"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8) : 167-214, 2021

      6 김병륜, "조선후기 선박의 櫓 구조와 軍船 格軍의 편성과 운용" 한국역사민속학회 (54) : 7-40, 2018

      7 고동환, "조선후기 서울상업발달사연구" 지식산업사 1998

      8 고동환, "조선후기 商船의 航行條件" 한국사연구회 (123) : 10-340, 2003

      9 이원철, "조선 후기 해운 용어에 관한 소고" 30 : 2000

      10 김재승, "대일통신사선의 운항조직과 운항실태-1763~1764년 제11차 사행록 癸未隨槎錄을 중심으로-" 12 : 2004

      1 손태현, "한국해운사" 위드스토리 2011

      2 나애자, "한국근대해운업사연구" 국학자료원 1998

      3 안미정 ; 최은순, "한국 선원의 역사와 특징"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9 (19): 95-123, 2018

      4 국립해양박물관, "통신사 선단의 항로와 항해" 2017

      5 김현구, "조선후기 통제영 선단의 탑승 동태와 운용"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8) : 167-214, 2021

      6 김병륜, "조선후기 선박의 櫓 구조와 軍船 格軍의 편성과 운용" 한국역사민속학회 (54) : 7-40, 2018

      7 고동환, "조선후기 서울상업발달사연구" 지식산업사 1998

      8 고동환, "조선후기 商船의 航行條件" 한국사연구회 (123) : 10-340, 2003

      9 이원철, "조선 후기 해운 용어에 관한 소고" 30 : 2000

      10 김재승, "대일통신사선의 운항조직과 운항실태-1763~1764년 제11차 사행록 癸未隨槎錄을 중심으로-" 12 : 2004

      11 金在瑾, "韓國船舶史硏究"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4

      12 "續大典"

      13 "經國大典"

      14 "漂人領來謄錄"

      15 "海行摠載"

      16 "東萊府邑誌"

      17 松浦章, "東 世界地域" 東京 山川出版社 1999

      18 "朝鮮王朝實錄"

      19 崔完基, "朝鮮後期 船運業史硏究 ; 稅穀運送을 中心으로" 일조각 1989

      20 방상현, "朝鮮初期 水軍制度" 민족문화사 1991

      21 "日省錄"

      22 "承政院日記"

      23 "度支志"

      24 "大典會通"

      25 "同文彙考"

      26 "典客司日記"

      27 "六典條例"

      28 "備邊司謄錄"

      29 김성준, "『표해록』에 나타난 조선 시대 선원 조직과 항해술" 한국항해항만학회 30 (30): 787-791, 2006

      30 김성준, "18世紀 英國 商船 船員의 配乘 構造와 勤勞 條件" 한국항해항만학회 26 (26): 55-65,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7 1.012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