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 대표적 경관인 오름에 대한 경관 선호성을 분석하기 위해 총 18개 오름을 대상으로 경관평가를 시도하였다. 지상과 공중에서 촬영한 총 84장의 사진 슬라이드를 평가매체로 비 제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186318
2008
Korean
제주 오름 ; 부감경관 ; 선호도 ; 평가비교 ; Jeju Oreum ; Overlooked Landscape ; Preference ; Assessment Comparison
330
KCI등재
학술저널
1-12(1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제주도의 대표적 경관인 오름에 대한 경관 선호성을 분석하기 위해 총 18개 오름을 대상으로 경관평가를 시도하였다. 지상과 공중에서 촬영한 총 84장의 사진 슬라이드를 평가매체로 비 제주...
제주도의 대표적 경관인 오름에 대한 경관 선호성을 분석하기 위해 총 18개 오름을 대상으로 경관평가를 시도하였다. 지상과 공중에서 촬영한 총 84장의 사진 슬라이드를 평가매체로 비 제주인(1그룹), 제주인(2그룹) 그리고 외국인(3그룹)에대한 선호도를 비교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전체 총 84장의 오름경관에 대한 선호도평가 결과, Group 1은 4.93, Group 2는 5.22 로 전체 국내인 평균 평가치는5.11이었으며 Group 3의 평가치는 5.54로 나타나 제주 오름에 대한 외국인의 상대적으로 높은 선호 경향이 발견되었다.전체적으로 평가치가 가장 높은 오름경관은 Scene 8(7.60)의 비양도 부감경관이었으며 다음으로 평가치 7.59를 보인 Scene58과 평가치 7.35를 보인 Scene 48등이 보임에 따라 성산일출봉, 비양도, 송악산 등은 제주도의 대표적인 경승으로서 손색이없음이 실증적 재차 확인되었다. 한편 3개 평가 집단 간 선호도 평가치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한 ANOVA와 Duncun-test결과, 집단 간 평가치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된 평가오름은 총 63개에 이르러 오름별 평가치에 대해 그룹간의 차이가 인정된다.또한 평가그룹 간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는 21개의 오름 중에는 항공에서 조감된 부감경관은 단 하나도 포함되지않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21개 오름경관 가운데 전체 평균치인 5.34를 상회하는 오름경관은 Scene16, Scene78 그리고Scene29의 단 3개에 불과하였음을 볼 때, 부감경관에 대한 차별화된 긍정적 선호성이 입증되었다.더불어 총 18개 오름에 대한 평가치 중 민오름과 산굼부리를 제외한 총 16개 평가치가 높은 특성을 보여 하늘에서 부감한오름경관에 대한 뚜렷한 선호경향을 보였으며 이 경향은 특히 Group 3 즉 외국인 그룹에 있어 부각되었는데 지상에서 촬영한산굼부리의 지상경관 또한 굼부리 중심의 부감경관임을 감안하면 이러한 경향을 더욱 뚜렷하다고 볼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ze the landscape preference of non-Jeju people, Jeju people, and foreigners taking photographs on the ground and mid-air. This study targeted a total of 18 Oreum photos that represent Jejudo. The foll...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ze the landscape preference of non-Jeju people, Jeju people, and foreigners taking photographs on the ground and mid-air. This study targeted a total of 18 Oreum photos that represent Jejudo.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The result of preference assessment of a total of 84 pieces of Oreum sceneries showed Group 1 (non-Jeju people) with 4.93, Group 2 (local people from Jeju) with 5.22, wherein the total average of local people was 5.11, while Group 3's (foreigners) average was 5.54. Foreigners tended to have a relatively high preference for these sceneries. In general, the highest assessment value was given to Biyangdo Bugam’s scenery of Oreum, which received an average score of 8 (7.60), and the next highest one was Scene 58 with a score of 7.59, and Scene 48 with 7.35. Hence, Seongsan Ilchoolbong, Biyangdo and Songaksan, etc. were confirmed as comparative to the beautiful representative scenery of Jejudo. ANOVA and Duncun’s multiple range tests were used to ascertain the significant degree of preference assessment values between the three assessment groups. Results showed tha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63, so the difference among groups was accepted. The noticeable thing is that out of 21 Oreums whose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assessment groups is not recognized, aerial views of the Bugam were not included. Moreover, out of the 21 Oreum sceneries, only three Oreum scenes surpassed the total average 5.34, namely Scene16, Scene78, and Scene 29. Excluding Minoreum and Sangumboori, the assessment value of the rest of the 16 sceneries was high, so they all showed a definite preference trend to vistas of Oreums viewed from the air, and this trend was distinct to the foreigners’ group. Given the scene overlooking the ground and Gumboori of Sangumboori, this trend was even more evident. Analysis of the viewers’ preference for certain form factors was done to understand the variables affecting their preference for sceneries of Oreums. Results confirm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as an independent variable only at the highest slope (X3) regardless of the assessment group, and the preference analysis according to the number of photos indicated that a long shot view showing the entire Oreum had a negative effect in the preference of all assessment groups. Given that a close-up view is a factor having a negative effect on the preference of foreigners, data suggests that the vistas of Oreums perceived from a great distance are more preferred compared to those perceived from close point of view. Also, the images of seawater and Jeju horses are shown to be the most positive factors in enhancing p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