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高麗 木塔址 基壇部의 構成과 特性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736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탑은 삼국시대부터 조영되기 시작하여 고려시대에도 다수의 목탑이 건립되었음을 ..高麗史.., ..陽村集.. 등의 문헌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 고려 목탑은 현존하는 예가 없고 모두 터만 남...

      목탑은 삼국시대부터 조영되기 시작하여 고려시대에도 다수의 목탑이 건립되었음을 ..高麗史.., ..陽村集.. 등의 문헌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 고려 목탑은 현존하는 예가 없고 모두 터만 남아 있어 이에 대한 연구도상대적으로 미진한 실정이다. 그나마 발굴조사를 통해 그 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은 7개소에 이른다. 고려목탑지 기단부는 평면 . 기단 . 계단 . 심초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각 구성요소와 특성을 살펴보았다. 고려 목탑지의 평면 규모가 가장 큰 것은 실상사 목탑지로 7×7칸이며, 만복사지 목탑지는 5×5칸이다. 원향사지 목탑지는 5×5칸으로 추정되고, 사자사지 목탑지는 3×3칸이다. 중방리사지 목탑지는 3×3칸으로 추정할수 있다. 평면형태는 정방형과 팔각형으로 대별되는데, 정방형 평면은 만복사지 . 사자사지 . 실상사 . 중방리사지 . 원향사지 목탑지가 해당되고, 흥왕사지 목탑지는 팔각형이다. 초석은 만복사지 목탑지만 다듬돌 원형초석이고, 사자사지 . 실상사 . 천왕사지 목탑지는 자연석을 사용하였다. 기단토 구축방법은 굴광성토형 . 지상성토형 . 지상판축형으로 구분된다. 굴광성토형은 실상사 . 중방리사지 . 천왕사지 . 원향사지 목탑지가 있다. 만복사지 목탑지는 지상성토형으로 파악하였고, 사자사지 목탑지는 지상판축형으로 확인되었다. 외장축조기법에서 가구식 석조기단의 예는 만복사지 . 실상사 . 흥왕사지목탑지가 해당되며, 사자사지 목탑지는 축단식 기단이고, 천왕사지 목탑지는 가구식 석전병용기단으로 보았다. 중방리사지 목탑지는 전축기단의 사례로 주목된다. 계단이 2개소에 설치된 것은 만복사지 . 실상사 . 흥왕사지 목탑지가 있고, 1개소만 마련된 경우는 사자사지 . 중방리사지 목탑지가 있다. 만복사지 목탑지 계단은 디딤돌과 소맷돌까지 정연하게 다듬었고, 사자사지. 중방리사지 목탑지 계단석은 장대석으로 시설하였다. 만복사지 . 사자사지 . 중방리사지 목탑지 심초석은 중앙에 위치했을 것으로 판단되고, 실상사 목탑지 심초석은 중앙에 놓여 있다. 심초 설치방법은 대부분 지상식의 특성을 보이며, 심초의 형태는 실상사 . 천왕사지 목탑지의 경우 방형이고, 정방형은 사자사지 심초석이 있다. 중방리사지 심초석은 장방형 평면에 원형 사리공이 있어 특이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cording to Goryeo History, Yangchonjip Collection, and other literature, wood pagoda began to be constructed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a number of wood pagodas were constructed in the Goryeo period as well. No Goryeo wood pagodas have surviv...

      According to Goryeo History, Yangchonjip Collection, and other literature, wood pagoda began to be constructed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a number of wood pagodas were constructed in the Goryeo period as well. No Goryeo wood pagodas have survived to the present day; instead, only their sites remained, making studying them difficult. Note, however, that seven such sites were excavated to be able to identify the styles of wood pagodas. The Goryeo wood pagoda site's stylobate unit consists of the ground, stylobate, staircase, and base stone,so their components and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Among the Goryeo wood pagoda sites, the Silsangsa Temple wood pagoda site area is the biggest with 7×7 kan,and the Manboksa Temple wood pagoda site measures 5×5 kan. The Wonghyangsa Temple wood pagoda site was presumed to be 5×5 kan, whereas the Sajasa Temple wood pagoda site measures 3×3 kan. The Jungbangrisa Temple wood pagoda site was presumed to measure 3×3 kan. The ground types are classified into a square and an octagon;the square type includes wood pagoda sites in the Manboksa Temple, Sajasa Temple, Silsangsa Temple, Jungbangsa Temple, and Wonhyangsa Temple sites, whereas the Heungwangsa Temple wood pagoda site is an octagon. For foundation stones, only the Manboksa Temple wood pagoda site used a trimmed circle foundation stone, whereas wood pagoda sites in the Sajasa Temple, Silsangsa Temple, and Cheonwangsa Temple sites utilized natural stones. Stylobate soil construction methods are classified into the excavated soil creation type, ground soil creation type,and ground plate creation type. The excavated soil creation type includes wood pagoda sites in the Silsangsa Temple, Jungbangrisa Temple, Cheonwangsa Temple, and Wonhyangsa Temple sites. While the Manboksa Temple wood pagoda site is of the ground soil creation type, the Sajasa Temple wood pagoda site is of the ground plate creation type. For the external construction method, furniture-type stone foundation examples include wood pagoda sites in the Manboksa Temple, Silsangsa Temple, and Heungwangsa Temple sites; the Sajasa Temple wood pagoda site has a piled staircase-type stylobate, whereas the Cheonwangsa Temple wood pagoda site has a furniture-type, offering table-combined stylobate. The Jungbangrisa Temple wood pagoda site draws attention as an example of brick stylobate. Wood pagoda sites with two staircases installed include those in the Manboksa Temple, Silsangsa Temple, and Heungwangsa Temple sites, whereas wood pagoda sites with one staircase installed include those in the Sajasa 高麗 木塔址 基壇部의 構成과 特性/ 류형균 57Temple and Jungbangrisa Temple sites. The Manboksa Temple wood pagoda's staircase features well-trimmed stepping stones and railings, whereas staircases in the Sajasa Temple and Jungbangrisa Temple wood pagoda sites were made of large and long stones. Base stones in the Manboksa Temple, Sajasa Temple, and Jungbangrisa Temple wood pagoda sites were presumed to be located at the center, whereas the base stone in the Silsangsa Temple wood pagoda site is centered. The base stone installation method is characterized mostly by the ground-type method. For the base stone shape,wood pagoda sites in the Silsangsa Temple and Cheonwangsa Temple sites resemble a rectangle, with the Sajasa Temple wood pagoda site having a square base stone. The base stone in the Jungbangrisa Temple site has rectangle and circular sarira spac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木塔址의 現況
      • Ⅲ. 高麗 木塔址 基壇部의 構成
      • Ⅳ. 高麗 木塔址 基壇部의 特性
      • Ⅴ. 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木塔址의 現況
      • Ⅲ. 高麗 木塔址 基壇部의 構成
      • Ⅳ. 高麗 木塔址 基壇部의 特性
      • Ⅴ. 맺음말
      • 국문초록
      • Abstract
      • 參考文獻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靈巖 天皇寺Ⅰ"

      2 金東賢, "한국 목조건축의 기법" 발언 1998

      3 정자영, "한국 고대 목탑지 기단 및 심초부 축조기법 연구 : 부여군수리사지를 중심으로" 崇實大學校大學院 2007

      4 "한 ․ 중 ․ 일 고대 사지 비교연구(Ⅰ)-목탑지편-" 國立扶餘文化財硏究所 2009

      5 유문용, "전통건축물의 기초와 기단"

      6 윤덕향, "옛절터" 대원사 1989

      7 탁경백, "백제 사비기 불탑의 조형기술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1

      8 류형균, "고대와 고려 목탑지의 비교 연구" 한국고고학회 (85) : 152-189, 2012

      9 "高麗史"

      10 黃壽永, "高麗 興王寺址의 調査, In 黃壽永全集1" 혜안 1999

      1 "靈巖 天皇寺Ⅰ"

      2 金東賢, "한국 목조건축의 기법" 발언 1998

      3 정자영, "한국 고대 목탑지 기단 및 심초부 축조기법 연구 : 부여군수리사지를 중심으로" 崇實大學校大學院 2007

      4 "한 ․ 중 ․ 일 고대 사지 비교연구(Ⅰ)-목탑지편-" 國立扶餘文化財硏究所 2009

      5 유문용, "전통건축물의 기초와 기단"

      6 윤덕향, "옛절터" 대원사 1989

      7 탁경백, "백제 사비기 불탑의 조형기술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1

      8 류형균, "고대와 고려 목탑지의 비교 연구" 한국고고학회 (85) : 152-189, 2012

      9 "高麗史"

      10 黃壽永, "高麗 興王寺址의 調査, In 黃壽永全集1" 혜안 1999

      11 張慶浩, "韓國의 傳統建築" 文藝出版社 1993

      12 李鍾允, "韓國木造建築의 基壇에 關한 硏究" 嶺南大學校大學院 1986

      13 朱南哲, "韓國建築意匠" 一志社 1990

      14 金東賢, "韓國古建築斷章(下)" 東山文化社 1977

      15 "陽村集"

      16 "陜川 竹竹里 廢寺址"

      17 尹德香, "萬福寺址 伽藍配置에 대하여" 東國大學校博物館 10 : 1991

      18 "萬福寺 發掘調査報告書" 全北大學校博物館 1986

      19 崔孟植, "百濟 版築工法에 관한 硏究, In 碩晤尹容鎭敎授停年退任紀念論叢" 碩晤尹容鎭敎授停年退任紀念論叢刊行委員會 1996

      20 김혜정, "百濟 泗沘期 寺刹 基壇 築造工程과 位階와 관한 硏究" 韓國上古史學會 70 : 2010

      21 柳炯均, "湖南地域 高麗 木塔址 硏究" 호서고고학회 25 : 2011

      22 "河南 天王寺址 試掘調査報告書" 韓國文化財保護財團 2001

      23 "普門寺址 地表調査" 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 1992

      24 佐川正敏, "日本古代木塔基壇의 構築技術復原과 心礎設置形式의 변천에 관한 연구" 忠南大學校百濟硏究所 44 : 2005

      25 "新羅狼山 遺蹟調査" 東國大學校 慶州캠퍼스博物館 1985

      26 朴日勳, "慶州 狼山西麓의 木塔址" 韓國美術史學會 63 ․ 64 : 1965

      27 "彌勒寺 遺蹟發掘調査報告書" 文化財硏究所 1989

      28 "實相寺Ⅱ 發掘調査報告書" 國立扶餘文化財硏究所 2006

      29 "實相寺 發掘中間報告" 國立扶餘文化財硏究所 1999

      30 崔仁善, "全南地域 佛敎와 城郭遺蹟의 最近 調査成果" 韓國大學博物館協會 58 : 2001

      31 "元香寺"

      32 鄭明鎬, "丹陽 逸名寺址 發掘調査 報告-1983 ․ 84年度-, 忠州댐 水沒地區 文化遺蹟 發掘調査 綜合報告書(佛蹟分野)" 忠北大學校博物館 1984

      33 "三國遺事"

      34 "三國史記"

      35 朴柱達, "7-9세기 신라 사찰의 기단에 관한 연구 : 가구식기단의 부재분석과 사용척도를 중심으로" 明知大學校大學院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2-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Dongak Art History -> Association of Dongak Art Histor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71 0.807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