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J. S. Bach Partita no.1 in B-flat major, BWV 825에 나타난 이탈리아 양식과 효과적인 연주법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5096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Italian modes shown in J. S. Bach’s suite <Partita No.1 in B-flat Major, BWV 825> and its effective contemporary performances being conscious of the Baroque age music.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Italian modes shown in J. S. Bach’s suite <Partita No.1 in B-flat Major, BWV 825> and its effective contemporary performances being conscious of the Baroque age music.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s how the instrumental music and suite had developed in the Baroque age, and thereupon, examines how effectively the suite would be performed, being conscious of J. S. Bach’s keyboard performance technique.
      During the Baroque age, the instrumental music developed remarkably, while the music works were fundamentally based on the religious music. This study examines the major keyboard instruments for the instrumental music, focused on J. S. Bach’s representative instruments organ, cembalo and clavichord. The suite during the Baroque period was established by Johann Jakob Froberger in the mid-17th century when chamber music and orchestra boomed, allowing for the free style suites.
      The Italian mode effects shown in J. S. Bach’s <Partita No.1 in B-flat Major, BWV 825> are as follows. First, the name ‘Corrente’ implies that the suite was an Italian style. Secondly, although J. S. Bach did not much used it, the 8-line octave overlap used much by the Italian virtuosos was shown. Thirdly, in all the movements except for Praeludium and Gigue, the main melody is positioned, which shows the traces of the Italian music form.
      In order to perform the suite effectively, it is necessary to keep the unity, focused on B♭Major and F Major, while repeating the scale sequence and keeping the pedal point of B♭.
      Furthermore, it is also necessary to perform the suite with the clear tone at large, while following the different articulations and expressing the dynamics according to the upward and downward progression of the notes. The ornaments needs to be performed within the musical chart left by J. S. Bach for them, but depending on performers’ ability, an impromptu ornament may well be applied to enhance the effects of the performance.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ould be helpful to the piano performers who would add their own performance styles and interpretations being consciou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roque music and its form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J. S. Bach의 모음곡 <J. S. Bach Partita No.1 in B-flat Major, BWV 825>에 나타난 이탈리아 양식과 바로크시대에 따른 현대의 연주법에는 어떠한 방법이 효과적인지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

      본 논문은 J. S. Bach의 모음곡 <J. S. Bach Partita No.1 in B-flat Major, BWV 825>에 나타난 이탈리아 양식과 바로크시대에 따른 현대의 연주법에는 어떠한 방법이 효과적인지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바로크시대의 기악음악과 모음곡이 어떻게 발전하였는지 알아보았고, J. S. Bach의 건반악기 연주방법에 따라 어떠한 방법으로 하면 연주자들이 효과적인 연주법으로 연주할 수 있을지 살펴보았다.
      바로크시대는 기악음악이 크게 발전하였으며 음악은 근본적으로 종교음악에 바탕을 두었는데, 기악음악의 큰 부분인 건반악기를 J. S. Bach의 대표적 악기인 오르간과 쳄발로, 클라비코드에 대해 살펴보았다. 바로크시대 모음곡은 17세기 중반 프로베르거에 의하여 확립되었으며, 이 시대에는 실내악과 관현악으로 이루어져 자유로운 성격을 하고 있는 모음곡이 만들어졌다.
      <J. S. Bach Partita No.1 in B-flat Major, BWV 825>에 나타난 이탈리아 양식의 영향으로는 첫째, ‘코렌테(Corrente)’라는 명칭이 이탈리아 스타일의 작품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프렐루디움(Praeludium)에 J. S. Bach가 거의 사용하지 않았지만, 이탈리아 거장들이 많이 쓴 기법인 8도 베이스 중복이 나타났다. 셋째, 프렐루디움(Praeludium)과 지그(Gigue)를 제외한 나머지 악장의 상성부에 주된 선율을 위치하여 이탈리아적인 음악 양식의 영향이 나타났다.
      효과적인 연주법을 연구하기 위해 작품을 살펴보았을 때, B♭Major와 딸림조인 F Major를 중심으로 통일성을 나타내고 주제 선율과 동형 진행의 반복, B♭음의 페달 포인트가 공통적으로 나타나며 작품 간의 연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 작품을 연주할 때에 전체적으로 맑은 음색으로 또렷하게 연주하며, 각기 다른 아티큘레이션에 따라 연주하고 음의 상, 하행에 따라 다이내믹을 표현해야 할 것이다. 꾸밈음(장식음)은 J. S. Bach가 남겨놓은 꾸밈음 도표 안에서 연주하되 연주자의 능력에 따라 즉흥적으로 장식하여 연주하면 연주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연주자들이 바로크시대 음악의 특징과 그에 따른 양식, 효과적인 해석을 함으로서 시대에 따른 연주법과 연주자 자신의 해석을 더해 연주하는 데 참고가 되어 좋은 연주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2
      • Ⅱ. 본 론 3
      • 1. 바흐의 생애와 기악음악 3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2
      • Ⅱ. 본 론 3
      • 1. 바흐의 생애와 기악음악 3
      • 1) 바흐의 생애 3
      • 2) 바로크 기악음악 5
      • 2. 모음곡의 발전 8
      • 1) 영국 모음곡 9
      • 2) 프랑스 모음곡 10
      • 3) 파르티타 13
      • 3. 바흐 건반악기 연주방법 15
      • 1) 꾸밈음 15
      • 2) 아티큘레이션 19
      • 3) 프레이징 21
      • 4) 다이내믹 22
      • 4. J. S. Bach Partita No.1 분석 및 연주법 23
      • 1) 작품배경과 이탈리아 양식 24
      • 2) 제 1곡 프렐루디움(Praeludium) 25
      • 3) 제 2곡 아르망드(Allemande) 31
      • 4) 제 3곡 코렌테(Corrente) 37
      • 5) 제 4곡 사라반드(Sarabande) 44
      • 6) 제 5곡 미뉴에트(MenuetⅠ, Ⅱ) 49
      • 7) 제 6곡 지그(Gigue) 54
      • Ⅲ. 결 론 62
      • 참고문헌 64
      • 국문초록 65
      • ABSTRACT 6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