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농업과 농촌은 물론 도시생활의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의 하나로 그린투어리즘(농촌관광)이 대두되고 있다. 그린투어리즘은 주 5일 근무제 도입과 체험형 여가활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0217104
광주 :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05
학위논문(석사) --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 행정학과 , 2005. 8
2005
한국어
388.9 판사항(20)
광주
ⅶ, 93 p. : 삽도 ; 29 cm.
지도교수: 전태갑
참고문헌 포함
부록: 설문지 수록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들어 농업과 농촌은 물론 도시생활의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의 하나로 그린투어리즘(농촌관광)이 대두되고 있다. 그린투어리즘은 주 5일 근무제 도입과 체험형 여가활동...
최근 들어 농업과 농촌은 물론 도시생활의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의 하나로 그린투어리즘(농촌관광)이 대두되고 있다. 그린투어리즘은 주 5일 근무제 도입과 체험형 여가활동에 대한 인식이 고조되면서 산적한 농촌문제 해결의 한 해법이 되고 있다. 농촌에 있는 자연경관과 소박한 인정, 전통문화 등을 도시민들에게 제공하여 농촌에서는 이미지 제고와 소득 증대를, 도시민들에게는 색다른 체험을 통한 여가를 제공하는 윈윈(Win-Win)전략이다.
지난 2002년 출범한 참여정부는 국가균형발전을 국정의 핵심 의제 중 하나로 채택하고 다양한 지역활성화 정책들을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지역활성화 정책의 주요 정책 추진 현황으로 농림부에서는 산하 농촌진흥청과 산림청 등과 함께 농촌체험, 녹색관광을 주제로 마을 단위 공간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지역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대두되는 농촌관광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국내외 사례분석 그리고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추진중인 다양한 농촌관광 프로그램의 실태와 문제점 분석을 통해 앞으로의 농촌관광의 발전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영암군을 중심으로 영암군이 농협과 함께 추진하는「녹색 농촌체험 마을」로써 "원행정마을", "영보마을", 신덕정마을"의 현황과 실태 분석을 하고 연구대상인 영암군의 농촌관광을 분석하기 위해 연구방법은 설문조사방식을 사용하는데 그 분석방법은 영암군의 농촌체험관광을 체험한 이용자를 대상으로 농촌관광 체험에 대한 생각과 문제점 및 발전방안을 물어보았다.
설문조사결과 관광객들은 농촌관광의 목적은 모두 "농촌의 자연경관을 즐기고 싶어서"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아이들의 교육학습을 위해서가 라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부부동반 또는 가족여행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연령층으로는 30~40대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방문지에 대한 정보는 인터넷을 통해 아는 경우가 가장 많아 인터넷을 통한 홍보효과 큼을 알 수 있어 인터넷의 홈페이지 구축과 홍보가 필요함을 느꼈다.
각종 시설물에 대한 만족도 비교적 높은 편이었으며 개선해야 할 문제점으로는 시설물과 체험프로그램의 부족이 지적되었다.
영암군은 풍부하면서도 독특한 문화자산과 개발의 손길이 미치지 않은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특산물과 향토음식이 산재해 있어 농촌관광의 성공가능성이 어느 지역보다 높지만 보다 나은 농촌관광 활성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안들을 추진하여야 한다.
첫째, 주민들의 공감대 형성 및 경영능력 향상이다. 둘째, 일반관광과는 구별되는 농촌 및 농업자원을 활용한 여가 체험 프로그램에 중점을 두고 차별화해야 한다. 셋째, 도시민과의 지속적인 교류활동을 통해 수요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따라서 영암군에서도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역내 농촌관광 자원을 조직화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서비스 품질관리를 위해 인증제도를 도입하는 등 지속적으로 관련 시스템을 구축한다면 농촌 활성화는 물론 관광상품 다양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