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즈연주에서 섭디비전(Subdivison)의 효율적인 사용은 연주자에게 박자의 정확도와 역동적인 그루브(Groove)감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하는 가장 기본적인 리듬의 개념이다. 그리고 그루브감은 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883587
대전: 목원대학교 대학원, 2018
2018
한국어
781.65 판사항(22)
대전
Research on the Efficient Uses of Various Inner Subdivisions to Make a Solid Groove and Accuracy in Time Feel When Playing Jazz
10, 54 p.: 삽화; 26 cm
목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정재열
참고문헌: p. 49-51
I804:25006-20000010371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재즈연주에서 섭디비전(Subdivison)의 효율적인 사용은 연주자에게 박자의 정확도와 역동적인 그루브(Groove)감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하는 가장 기본적인 리듬의 개념이다. 그리고 그루브감은 밴...
재즈연주에서 섭디비전(Subdivison)의 효율적인 사용은 연주자에게 박자의 정확도와 역동적인 그루브(Groove)감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하는 가장 기본적인 리듬의 개념이다. 그리고 그루브감은 밴드의 연주력과 전체적인 음악적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재즈 연주에서의 역동적인 그루브감은 수직과 수평으로 움직이는 박자와 리듬의 정확도를 기초로 만들어 진다. 리듬과 박자의 정확도 그리고 좋은 그루브감을 연출해내는 데 있어 섭디비전의 효율적인 사용은 그 중심에 있다.
음악적 용어로서의 섭디비전은 박자를 안에서 나눈다는 뜻이다. 본 논문에서는 섭디비전의 효율적인 사용을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첫째, 각 4분 음표 간의 리듬 세분화.
둘째, 엇 2박 3연음에서 파생되고 응용되는 각 4분 음표들 간의 연계성.
셋째, 이븐 리듬에서 파생되고 응용되는 각 4분 음표들 간의 연계성.
넷째, 재즈 그루브에 적용되는 더블 타임 필과 하프 타임 필의 섭디비전.
이상 네 가지 리듬적 개념을 채보를 통해 분석하였다.
리듬의 세분화를 통한 섭디비전은 연주자가 실질적으로 연주를 하지는 않으나 4분 음표 안에서 나누어 질 수 있는 세분화된 박자를 자신의 연주에 내면적으로 적용시킴으로써 수평적으로 움직이는 4분 음표의 위치에 대한 정확도를 더욱 극대화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스윙 리듬에서 엇 2박 3연음을 섭디비전으로 적용할 때는 그 엇 2박 3연음을 각 4분 음표들과 연결시키는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각 4분 음표의 박자들이 수평적으로 움직일 때 한 박 한 박의 박자 사이에 존재하는 세분화된 소단위의 박자들을 섭디비전의 개념으로 분할한 후 그 안에서 움직이는 일정한 리듬의 패턴(엇 2박 3연음)을 적용하여 수평적 리듬의 연결을 만들어 낸다. 이러한 패턴들은 실질적으로 연주를 하지는 않으나 원래 템포의 4분 음표 박자의 움직임 안에 내포하여 진행함으로써 각 박자의 위치를 견고하게 만드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블 타임의 개념은 느린 템포의 연주시에는 역동적인 그루브감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하며, 반대로 빠른 템포의 연주시에는 하프 타임의 개념을 적용함으로서 수평적인 그루브의 움직임을 안정적으로 표현하는 기능을 한다. 더블 타임과 하프 타임을 적용시킬 수 있는 재즈 그루브들은 더블 타임 비밥 스타일과 하프 타임 펑크 그루브, 재즈 발라드 연주 시 사용하는 더블 타임의 개념, 보사노바와 삼바 리듬의 관계, 그리고 보사노바 리듬을 기초로 한 이븐 8분 음표(Even 8th) 그루브 등이 있다.
다양한 섭디비전의 개념을 연주에 적용시킴으로써 연주자들은 탄탄한 그루브와 정확한 리듬을 구사할 수 있다. 섭디비전 개념을 기초로 하여 만들어지는 타임 필과 그루브 감은 재즈 연주자들이 여러 악기의 편성으로 즉흥적인 연주를 할 때 각 연주자들이 음악을 통해 펼쳐내는 예술적 표현과 생각들을 서로 교감을 통해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