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년기 여성의 밸런스워킹PT 참여동기,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도의 우선순위를 분석하고, 이들의 참여동기가 심리적 행복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954680
서울 :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학위논문(석사) --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학과 학교체육행정전공 , 2024. 2
2024
한국어
서울
(The) effect on middle-aged women'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balance walking PT of psychological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iv, 67장 : 도표 ; 26 cm
중앙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유정애
참고문헌수록
I804:11052-00000024030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년기 여성의 밸런스워킹PT 참여동기,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도의 우선순위를 분석하고, 이들의 참여동기가 심리적 행복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
본 연구는 중년기 여성의 밸런스워킹PT 참여동기,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도의 우선순위를 분석하고, 이들의 참여동기가 심리적 행복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전국의 보건소, 복지관, 문화센터, 평생학습관, 주민센터 등에서 밸런스워킹PT 강좌를 수강하고 있는 40세 이상의 중년기 여성 250명을 임의로 표집하여 구글폼을 통한 비대면 설문조사 및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회수된 총 247부의 설문지 중 응답이 불성실하다고 판단되는 무기입 또는 이중 기입된 설문지 23부를 제외한 224부의 설문지를 최종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WIN 통계프로그램 22.0을 활용하였으며 요인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일원변량분석, 단순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밸런스워킹PT에 참여하는 중년기 여성은 내적 동기에 의해 참여하고 있었으며, 참여를 통해 유능감이 높아짐에 따라 심리적 행복감과 생활만족도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년기 여성의 밸런스워킹PT 참여동기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참여동기는 심리적 행복감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년기 여성의 밸런스워킹PT 참여동기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참여동기는 생활만족도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ioritie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psychological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and to determine the impact of middle-aged women'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Balance Walking PT on their psychologic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ioritie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psychological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and to determine the impact of middle-aged women'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Balance Walking PT on their psychological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we randomly sampled 250 middle-aged women aged 40 or older who were taking Balance Walking PT courses at public health centers, welfare centers, cultural centers, lifelong learning centers, and community centers across the country, and distributed non-face-to-face surveys and questionnaires through Google Forms. Of the total 247 questionnaires collected, 224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final data analysis, excluding 23 unfilled or double-filled questionnaires whose responses were judged to be insincere.
SPSS/WIN statistical program 22.0 was used for statistical processing, and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simpl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middle-aged women who have joined in Balance Walking PT were participated by intrinsic motivation and have felt psychological happiness as self-efficacy was increased and life satisfaction throughout participating Balance Walking P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middle-aged women'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Balance Walking PT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was found to have a partially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middle-aged women'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Balance Walking PT on life satisfaction,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was found to have a partially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