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년기 성인의 부부친밀감과 노화불안과의 관계에서 자녀애착의 매개효과 = The Relation between Marital Intimacy and Anxiety about Aging for Middle-aged Adults: Mediational Effects of Attach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054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arital intimacy and attachment toward children on anxiety about aging for middle-aged adults. For this research, the data from 364 people having a child were analyzed. The findings in the study show...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arital intimacy and attachment toward children on anxiety about aging for middle-aged adults. For this research, the data from 364 people having a child were analyzed. The findings in the study showed th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marital intimacy and attachment avoidance to children and the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marital intimacy and anxiety about aging. Meanwhile, it was found that attachment avoidance to children positively correlates with anxiety toward aging. Additionally, attachment avoidance to children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marital intimacy and anxiety toward aging. Findings in the current study indicates that it is necessary for middle-aged adults to develop intangible exchange resources(i.e. marital intimacy and attachment to children) to reduce anxiety toward aging and prepare their stable older ag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자녀가 있는 중년기 성인들의 부부친밀감, 자녀애착과 노화불안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교환이론에 의하면 부부간, 부모-자녀 간에 교환자원의 부족과 가치 저하로 노...

      본 연구는 자녀가 있는 중년기 성인들의 부부친밀감, 자녀애착과 노화불안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교환이론에 의하면 부부간, 부모-자녀 간에 교환자원의 부족과 가치 저하로 노화불안이 경험된다. 노화불안은 노년층뿐 아니라 노년을 대비하는 중년층에서도 나타난다. 노년기 교환자원 부족과 가치 저하를 보완해 줄 수 있는 요소가 부부친밀감과 자녀와의 애착이다. 다양한 관련 논의를 바탕으로 부부친밀감과 노화불안과의 관계를 자녀애착회피가 매개한다는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중년기 성인 36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부부친밀감은 자녀애착회피, 노화불안과 부적 상관을 보였고, 자녀애착회피는 노화불안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부부친밀감과 노화불안과의 관계에서 자녀애착회피가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중년기 성인의 부부친밀감이 노화불안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동시에 부부친밀감이 자녀애착회피를 낮추어 간접적으로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노년기의 노화불안을 줄이며 안정적인 노년기의 삶을 준비하기 위해 중년기 성인으로 하여금 부부친밀감, 자녀애착을 잘 형성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Vaillant, G. E., "행복의 조건" 프런티어 2010

      2 김지원, "한국적 부모자녀관계와 대학생의 자아분아의 관계 : 부모자녀 의사소통방식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2012

      3 안정신, "한국 중노년 성인들의 성공적 노화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13 (13): 225-245, 2009

      4 박영주, "한국 여성의 폐경연령, 갱년기 증상 관련요인" 7 (7): 473-485, 2001

      5 윤정화, "폐경기 중년여성이 경험하는 심리적 현상연구" 한국상담학회 14 (14): 2195-2212, 2013

      6 김성현, "친밀 관계 경험 검사 개정판 타당화 연구 : 확증적 요인분석과 문항 반응 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04

      7 김양이, "중년층의 노후준비 수준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소 19 : 55-82, 2008

      8 김정희, "중년여성의 적응과 일상적 스트레스 및 정서적 경험의 관계 : 심리적자원과 사회적 자원의 영향" 4 (4): 54-63, 1992

      9 고정옥, "중년여성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노후생활 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5 (5): 17-39, 2009

      10 안지선, "중년기 은퇴로의 전이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의 성차 : 가족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 17 (17): 65-85, 2012

      1 Vaillant, G. E., "행복의 조건" 프런티어 2010

      2 김지원, "한국적 부모자녀관계와 대학생의 자아분아의 관계 : 부모자녀 의사소통방식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2012

      3 안정신, "한국 중노년 성인들의 성공적 노화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13 (13): 225-245, 2009

      4 박영주, "한국 여성의 폐경연령, 갱년기 증상 관련요인" 7 (7): 473-485, 2001

      5 윤정화, "폐경기 중년여성이 경험하는 심리적 현상연구" 한국상담학회 14 (14): 2195-2212, 2013

      6 김성현, "친밀 관계 경험 검사 개정판 타당화 연구 : 확증적 요인분석과 문항 반응 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04

      7 김양이, "중년층의 노후준비 수준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소 19 : 55-82, 2008

      8 김정희, "중년여성의 적응과 일상적 스트레스 및 정서적 경험의 관계 : 심리적자원과 사회적 자원의 영향" 4 (4): 54-63, 1992

      9 고정옥, "중년여성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노후생활 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5 (5): 17-39, 2009

      10 안지선, "중년기 은퇴로의 전이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의 성차 : 가족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 17 (17): 65-85, 2012

      11 김명자, "중년기 연구" 교문사 1989

      12 김명자, "중년기 발달" 교문사 1998

      13 이유신, "중년기 남성의 생활불안과 노후대책에 관한 연구 : 수도권 지역 중년남성의 노후대책에 관한 의식조사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2005

      14 김명희, "중년기 기혼남녀의 부부친밀감과 부부의사소통이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상명대학교 2006

      15 윤지은, "중고령자의 경제활동상태와 정신건강: 소득수준과 가족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노년학회 29 (29): 743-759, 2009

      16 김주성, "중·노년층의 라이프스타일이 노후준비도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2011

      17 김정희, "중, 노년 남성의 갱년기 지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15 (15): 31-38, 2003

      18 장휘숙, "인간발달 : 전생애 발달심리학" 박영사 2000

      19 원자희, "어머니의 애착유형 및 부부의 갈등해결방식과 자녀의 애착유형" 숙명여자대학교 2005

      20 안명희, "어머니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정서와 심리적 통제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29 (29): 867-885, 2010

      21 황영훈, "애착이론과 자아분화이론의 유사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11 (11): 6-177, 2003

      22 정옥분, "애착과 발달" 학지사 2009

      23 정화용, "아동이 지각한 부부갈등과 부모-자녀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2000

      24 박영림,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부?모 애착, 부부갈등 지각 간의 관계" 한국상담심리학회 14 (14): 741-755, 2002

      25 최성재, "수도권 지역 중년기 이후 세대의 노후생활 인식과 노인에 대한 인식*" 한국노년학회 29 (29): 329-352, 2009

      26 정옥분, "성인발달의 이해 : 성인․노인 심리학" 학지사 2000

      27 장휘숙, "성인발달 및 노화심리학" 박영사 2012

      28 장휘숙, "성공적 노화에 이르는 길-성공적 노화의 개념과 전략" 15-25, 2007

      29 정민승, "생애발달과 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6

      30 박영주,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우울경험양식의 매개효과" 한국임상심리학회 29 (29): 441-452, 2010

      31 조영란, "부부의 갈등과 자녀의 학업성취도와의 상관연구" 연세대학교 1994

      32 이경희, "부부간 친밀감 척도개발에 대한 연구" 33 (33): 235-249, 1995

      33 문혁준, "부모역할만족도와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39 (39): 205-219, 2001

      34 송명자, "발달심리학" 학지사 1995

      35 김숙남, "노화불안 척도의 타당화 연구" 정신간호학회 17 (17): 292-301, 2008

      36 박상철, "노화란 무엇인가-인식전환과 장수시대" 31-44, 2007

      37 김도환, "노인이 지각한 가족지지, 자아존중감 및 우울과의 관계 연구" 13 : 113-114, 2001

      38 임주영,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배우자 유ㆍ무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4 (24): 71-87, 2004

      39 정여진, "노인의 부부친밀감과 성공적 노화간의 관계에 대한 자녀애착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회 32 (32): 185-206, 2012

      40 이유리, "노인생애체험이 중년기 성인의 노화불안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인복지학회 46 (46): 193-214, 2009

      41 이호선, "노인상담" 학지사 2005

      42 장선웅, "기혼남녀가 지각한 원가족 경험과 부부 친밀감이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 15 (15): 93-111, 2011

      43 이학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AMOS 7. 0" 법문사 2008

      44 김명자, "교환이론적 관점에서의 가족학연구에 대한 고찰" 28 (28): 147-160, 1990

      45 최성재, "고령화 사회의 노인복지학"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46 홍은영, "결혼만족과 부모-자녀 만족의 관계 : 청소년 자녀를 둔 학부모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10

      47 한국가족관계학회, "가족학 이론" 교문사 2002

      48 Klein, D. M., "가족이론" 대학출판사 2000

      49 尹萬石, "夫婦關係와 子女의 健康 및 學業 成績과의 關係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1992

      50 Umberson, D., "The parental experience in midlif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93-531, 1996

      51 Bowlby, J., "The nature of the child’s tie his mother" 39 : 350-373, 1958

      52 Homans, G. C., "Social Behavior: Its Elementary Forms" Harcourt;Jovanovich 1961

      53 Hagestad, G. O., "Review of Human Development" Jone Wiley & Sons 1982

      54 Ainsworth, M. D. S., "Patterns of attachment: A psychological study of the strange situation" Erlbaum 1978

      55 Main, M.,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0" 66-104, 1985

      56 Watkins, R. E., "Measurement of Aging Anxiety in an Elderly Australian Population" 46 (46): 319-332, 1998

      57 Lasher, K. P., "Measurement of Aging Anxiety : Development of anxiety about aging scale" 37 (37): 247-259, 1993

      58 Lynch, S. M.,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aging anxiety" 22 (22): 533-558, 2000

      59 Duvall, E. M., "Marriage and family development" Lippincott 1977

      60 Sigelman, C. K., "Life-span human development" Brooks/Cole Publishing Co 1995

      61 Nye, F. I., "Family Mini Theories as Special Instances of Choice and Exchange Theory" 42 (42): 479-490, 1980

      62 Dowd, J. J., "Exchange rates and old people" 35 (35): 596-602, 1980

      63 Blau, P. M., "Exchange and Power in Social Life" J. Willey 1964

      64 Moss, B. F., "Defining intimacy in romantic relationships" 42 (42): 31-37, 1993

      65 Brennan, K. A., "Attachment theory and close relationships" Guilford Press 46-76, 1998

      66 Fraley, R. C., "An item response theory analysis of self-report measures of adult attachment" 78 (78): 350-365, 2000

      67 송양민, "6개 옛 명문고 베이비붐 세대 3500명 인생 추적-하"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07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2 2.32 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9 2.58 3.685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